일상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 1
정연식 지음 / 청년사 / 2001년 8월
평점 :
품절


말을 알아듣는 꽃

춘향전은 초등학생들에게도 필독서로 권장된다. 우리 고전이니 어릴 때부터 당연히 읽혀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생각하는 모양이다. 나도 별 고민 없이 아이들 논술 교재로 활용하는데 생각지도 않은 질문에 당황하기 일쑤다.

 

오늘도 호기심과 장난끼가 반반인 아이가 연거푸 질문을 한다. 변 사또가 춘향이더러 수청을 들라고 하는데 수청이 뭐예요? 게이샤가 나아요, 기생이 나아요? 수청이 뭐냐고 묻는 건 진심어린 질문이고, 게이샤와 기생을 비교해달라는 질문은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말장난을 흉내 낸 것이다. 그런데 두 질문 다 기생에 대한 왜곡된 시선이 전제되어 있는 것 같다. 어떤 영향이라고 딱히 말할 순 없지만, 어릴 때부터 기생에 대한 단편적 이미지를 우리가 학습해오고 있구나, 하는 느낌이 든다.

 

기생은 수청이나 드는 존재는 아니었다. 수청이란 말은 본디 관리가 숙소에서 잠을 잘 때 마루 즉, 청에서 심부름을 하며 수발을 들어준다는 뜻이다. 물론 춘향전에서의 의미는 수발만 드는 것을 뜻하지는 않을 것이다. 기생의 주된 임무는 노래와 춤을 넘어 시와 서예 등으로 뭇 잔치를 흥겹게 하는 것이었다. 요즘으로 치자면 만능 엔터테이너 개념이었다. 예술인이자 재능가인 그들은 해어화(解語花)로 불렸다. '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인데 당나라 현종이 양귀비를 그렇게 일컬었다. 미인을 뜻하는 이 말은 나중에 기생까지 아우르는 말이 되었다.

 

말을 알아들을 만큼 총명한 예능인이었던 기생의 이미지가 격하된 것은 일제 강점기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게이샤 문화에 대한 열등의식이라도 있었을까. 일본인들은 우리의 기생 문화를 폄하하고 왜곡했다. 멋들어진 예능인의 위상에서 술이나 따르는 하급 작부 이미지로 변질시켰다. 수청이 뭔지, 게이샤와 기생을 비교하기에 앞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기생 문화에 대한 진실부터 접근해야겠다. 말을 알아듣는 종합 예능인이 기생 그들이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