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 시원한 글쓰기
오도엽 지음 / 한겨레출판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속에 길이 있다. 옳은 말이다. 하지만 꼭 그런 건 아니다. 가끔은 책을 덮고 풍경 속으로 들어갈 때 그 길이 보인다.

 

  뜻 있는 사람끼리 모여 글공부를 한다. 잘 익은 밤처럼 토실토실한 남의 글을 읽기도 하고, 덜 말린 대추 같은 누글누글한 제 글을 다듬어도 본다. 남의 좋은 글을 읽을 땐 감탄하고 부러워할 입과 맘만 있으면 된다. 하지만 자신의 글을 숙제로 내놓아야 할 날짜가 다가오면 안절부절못한다. 남보란 듯 합당한 이유가 생겨 떳떳이 결석할 수 있으면 좋으련만. 글 좀 잘 써보고자 모였는데 글이 제 발목을 잡아 버린다. 이런 부조리한 상황이 있을까?

 

  잘 쓰고 못쓰고를 떠나 훈련되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글쓰기는 부담스럽기만 하다. 만만하고 쉽다면 애초에 모임을 만들어 공부할 필요조차 없을 테니까. 결실의 계절이자 독서의 계절인 가을이 왔는데도 우리들의 쓰기는 지리멸렬하기만 하다. 수고 없이 좋은 글이 내 곁에 남을 리 없다. 그럴수록 책상 앞에 앉으면 압박감이 가슴을 짓누른다. 즐거워야 할 글쓰기가 괴로움이 된다면 생각을 바꿔야 한다. 무조건 쓰려고 한다고 되는 게 아니다. 글이 되지 않을 때는 글 밖으로 눈을 돌리는 게 맞다.

 

  활자 빽빽한 종이 대신 아름드리 소나무 솟고 늦은 민들레가 피는 풍경 속으로 들어간다. 이름 붙여 야외수업. 오늘 만큼은 숯불 삼겹살과 소주 한 잔도 풍경의 일부가 되어도 좋다. 밋밋한 평화보다야 울퉁불퉁한 들끓음이 글 소재로는 제격이 아니던가. 연필을 버려야 할 적당한 타이밍이었을까. 출석률이 좋은데다 여유가 넘친다. 유머가 길을 트니, 배려가 뒤따른다.

 

  책 속에 길이 있다는 건, 반만 맞는 말이다. 때론 책을 버리고 풍경 속에 흠뻑 젖을 때 길이 보인다. 푸성귀 뜯고 씻던 시린 손, 쉴 자리 마련하려 굽히던 무릎, 연기 마셔가며 모닥불 피우던 잔기침 소리, 바람막이로 서서 따뜻한 물 끓여내던 환한 미소 이 모든 것들이 자연 속에 어우러져 하나의 풍경을 만들고 내고 있었다. 글은 책 속에 있는 게 아니라 그렇게 풍경 속에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