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웃고나서 혁명
아지즈 네신 지음, 이난아 옮김 / 푸른숲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RevolutionHumor
혁명, 그게 뭐 별건가?
때로 세상이 내 편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충분히 즐길 수 있다!
"중앙은행은 점령하지 맙시다."
혁명위원회의 일원인 미라라이가 말했습니다.
그러자 페릭 휴세인 장군이 왜냐고 물었지요.
"별 쓸모도 없는 공공기관들을 점령하느라 힘을 허비하지 말자는 얘기죠."
이 제안이 받아들여지자 쓸모없는 정부 부처, 그러니까 재무부, 시청, 인구통계청 등은 제쳐두었습니다.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정부 부처를 꼽다가, 쓸모 있는기관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 미라라이가 말했습니다.
"쓸모없다는 이유로 공공기관들을 점령하지 않는다면, 혁명을 포기해야 할 판인데요." 본문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밤중에 잠깨어 - 한시로 읽는 다산의 유배일기
정약용 지음, 정민 엮음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절망을 뛰어넘는위대한 정신의 내면풍경을 만나다『주역』에 감지次上란 말이 있다. 물이 흘러가다가 구덩이를 만나면,
구덩이를 다 채워 넘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벗어나려고 발버둥치면 나올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상처만 남는다.
묵묵히 감내하면서 자신이 구덩이에 빠진 원인을 분석하고 반성하며,
구덩이를 다 채워 흘러 넘칠 때까지 수양하며 기다릴 뿐이다.
다산의 유배 한시는 이렇듯 환난과 역경과 시련 속에 처한 인간이절망과 분노와 좌절을 극복하고 본래의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을진솔하게 보여준다.
다산의 위대함은 그가 이룩한 놀라운 성취 때문만은 아니다.
그 성취가 이런 절망을 딛고 나온 것이어서 우리는 그에게 더욱 놀라고 경탄한다.
보통은 작은 시련 앞에서도 남 탓하며 세상을 향해 원망과 적의를 품게 마련이다.
좌절의 시간은 누구에게나 온다. 다만 그때의 내 자세를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올해는 다산 선생 탄생 250주년이 되는 해다.
위대한 다산도 아름답지만, 인간적인 체취도 아름답다.
그도 우리와 같은 보통의 사람이었구나 하는 안도감을 준다.
나는 그간 다산의 자취를 찾아 여러 해를 길에서 헤맸다.
이제는 무심한 시구 속에서도 그의 내면을 훑고 지나가던이런저런 풍경들이 조금씩 보인다.
머리말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폭력의 위상학 한병철 라이브러리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김영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긍정성의 폭력은 부정성이 없는 같은 것의 공간 속에서 발전한다. 부정성의 결여는 긍정적인 것이 걷잡을 수 없이 번성하게 된다. ... ... 그것은 같은 것의 테러다.” p.118
재독 철학자 한병철 교수의 <폭력의 위상학(김영사, 2020)>을 읽었습니다.
<폭력의 위상학>이라는 제목에서 암시하듯 이 책은 폭력의 위상, 즉 자리매김을 통해 폭력의 구조, 역사, 정치, 심리, 가해자와 피해자가 동일화되는 성과사회의 시스템 폭력까지, 폭력에 관한 철학적 분석을 담은 책입니다.
먼저, 1부 폭력의 거시물리학에서는 주권사회에서 근대의 규율사회로, 다시 오늘날의 성과사회로, 사회의 변천과 더불어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는 폭력의 위상학적 변화 과정을 살피고 있습니다. ,
2부 폭력의 미시물리학에서는 시스템, 권력, 긍정성, 투명성, 미디어 드의 폭력이 가지는 내부화, 심리화 등의 특성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신자유주의사회는 성과지향의 사회입니다. 성과사회는 긍정의 과잉을 불러오고, 개인은 자유롭다고 착각하지만, 긍정의 내면적 폭력에 의해 끝없는 자기착취의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후기근대의 성과주체는 누구에게도 예속되어 있지 않다. ... ... 스스로를 긍정화한다. ... ... 타자에 의한 강제의 자리에 자유를 가장한 자기 강제가 들어선다. ... ... 자기 착취는 ... ... 스스로 불타버릴 때까지 스스로를 착취한다.” pp.20~21
“... ... 긍정성의 폭력은 박탈적인 것이 아니라 포화적이다. 실행이 아니라 소모, 배제가 아니라 충일이 그러한 폭력의 바탕에 있다. 그것은 억압이 아니라 우울로 나타난다.” p.115
“... ... 우리 모두를 호모 사케르로 만드는 것은 ... ... 성과의 추방령이다. ...... 자유롭다고 믿는 성과주체는 스스로 성과위 추방령 속으로 들어가 호모 사케르가 된다.” p.198
그렇습니다. 지금 우리는 (신)장유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번아웃될 때까지 착취하고 있습니다. 성과사회의 부품으로... 좀비처럼..
“......죽을 수 있기에는 너무 생생하고 살 수 있기에는 너무 죽어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폭력의 위상학 한병철 라이브러리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김영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긍정성의 폭력은 부정성이 없는 같은 것의 공간 속에서 발전한다. 부정성의 결여는 긍정적인 것이 걷잡을 수 없이 번성하게 된다. ... ... 그것은 같은 것의 테러다.” p.118

재독 철학자 한병철 교수의 <폭력의 위상학(김영사, 2020)>을 읽었습니다.

<폭력의 위상학>이라는 제목에서 암시하듯 이 책은 폭력의 위상, 즉 자리매김을 통해 폭력의 구조, 역사, 정치, 심리, 가해자와 피해자가 동일화되는 성과사회의 시스템 폭력까지, 폭력에 관한 철학적 분석을 담은 책입니다.

먼저, 1부 폭력의 거시물리학에서는 주권사회에서 근대의 규율사회로, 다시 오늘날의 성과사회로, 사회의 변천과 더불어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는 폭력의 위상학적 변화 과정을 살피고 있습니다. ,
2부 폭력의 미시물리학에서는 시스템, 권력, 긍정성, 투명성, 미디어 드의 폭력이 가지는 내부화, 심리화 등의 특성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신자유주의사회는 성과지향의 사회입니다. 성과사회는 긍정의 과잉을 불러오고, 개인은 자유롭다고 착각하지만, 긍정의 내면적 폭력에 의해 끝없는 자기착취의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

“후기근대의 성과주체는 누구에게도 예속되어 있지 않다. ... ... 스스로를 긍정화한다. ... ... 타자에 의한 강제의 자리에 자유를 가장한 자기 강제가 들어선다. ... ... 자기 착취는 ... ... 스스로 불타버릴 때까지 스스로를 착취한다.” pp.20~21

“... ... 긍정성의 폭력은 박탈적인 것이 아니라 포화적이다. 실행이 아니라 소모, 배제가 아니라 충일이 그러한 폭력의 바탕에 있다. 그것은 억압이 아니라 우울로 나타난다.” p.115

“... ... 우리 모두를 호모 사케르로 만드는 것은 ... ... 성과의 추방령이다. ...... 자유롭다고 믿는 성과주체는 스스로 성과위 추방령 속으로 들어가 호모 사케르가 된다.” p.198

그렇습니다. 지금 우리는 (신)자유의 이름으로 스스로를 번아웃될 때까지 착취하고 있습니다. 성과사회의 부품으로... 좀비처럼..
“......죽을 수 있기에는 너무 생생하고 살 수 있기에는 너무 죽어 있는 것이다.”

#폭력의위상학 #한병철 #김영사 #성과사회 #긍정성과잉 #자기착취 #우울증 #신자유주의 #폭력의거시물리학 #폭력의미시물리학 #피로사회 @ Busan 釜山, South Kore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티카 고전의세계 리커버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지음, 조현진 옮김 / 책세상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기회가 주어질 때마다 나의 증명을 이해하지 못하게 방해하는편견들을 제거하는 데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그러나 사람들로 하여금 내가 설명했던 방식으로 사물들의 연쇄를 포착하도록 하는 것을 방해했고 또한 여전히 방해하는 적지 않은 편견들이 남아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이성의 시험대에 그것들을 소환하는 것이 가치 있다.
고 생각한다. 여기서 지적하려고 하는 모든 편견들은 확실히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가정하는 다음의 것, 즉 모든 자연물들이 자신들처럼목적 때문에 행위한다는 것가정에 의존한다. 실로 그들은 신 자신이모든 것을 어떤 고정된 목적을 향해 가도록 정해놓은 것이 분명하다.
고 생각한다. 즉 그들은 신이 모든 것을 인간 때문에 만들었으며 또한{신이 자신을 공경하게 하기 위해 인간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따라서내가 고찰할 첫 번째 {논점은 우선 왜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런 편견에 만족해하며 또한 모든 이들이 왜 같은 것(편견을 그렇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BENEDICTUS DE SPINOZAETHIC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