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지그래
교고쿠 나쓰히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교고쿠 나쓰히코는 일본의 설화나 기담같은 민속학의 연구가로서 그가 쓰는 미스테리는 장광설로 유명하며 이러한 일본의 설화나 기담과 같은 이야기들이 섞여 들면서 그만의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디자이너로도 활약을 한다는데 미야베 미유키 여사의 책 표지 디자인 같은 것을 맡아서 해주기도 했다고 본 것 같다. 이름때문에 여성인 줄 알았지만 그는 기모노를 즐겨 입는 남자이다. 일본 여행의 온천지에서 만나게 되는 일본풍의 문화들과 도깨비나 작은 스님같은 상들을 많이 본 데다가 깔끔한 그들의 마을과 도시에 매료되어서 일본에서 몇 년 살고 싶을 정도였는데 교고쿠 나쓰히코의 작품들은 그런 묘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이 작품은 현대적이고 그가 썼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그의 작품세계에서는 색다른 것 같았다. 한 사람의 죽음을 둘러싸고 인터뷰를 하는 형식은 아주 인상깊게 읽었던 누쿠이 도쿠로의 <우행록>을 떠올리게 할 정도로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읽는 기분이었다. 물론 이 작품은 살인사건을 취재하는 르포작가의 인터뷰는 아니었고 자살한 것으로 알려진 여인 '아사미'와 대화를 나누었다는 한 젊은 남자인 것이 다르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는 이 젊은 남자는 학교에서도 사회에서도 왕따를 당한 듯한 뭔가 동떨어진 사람이다.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기 때문인지 말투나 몸짓에서 어딘가 불량스럽다는 느낌을 인터뷰를 당하는 사람들은 느끼게 된다. 처음엔 정중하게 아사미에 대한 질문들을 하다가 어느 시점에서 화를 내거나 폭발하는 면모를 보이면서 이성적으로 사건을 취재하는 사람으로 등장하지는 않는 인물이다. 아사미와 도대체 어떤 관계인 것인지 책에서는 처음부터 명확하게 보여지지는 않는다. 그는 대체 왜 '아사미'에 대해서 알고자 하는가. 아사미의 죽음에 무슨 관계가 있는가.

아사미는 왜 그렇게 어릴적부터 희생당하고 바보같이 당하기만 하는지 왜 불평한마디 못하고 차라리 죽기만을 바랬는지.. 책을 읽으면서 그녀가 당했던 고통들에 화가 났고 바보같기만 해서 답답했고 그래서 인터뷰를 하러 다니는 그 남자가 이해가 되기도 했다. 짐작은 했지만 결말이 드러나고 아사미에 대한 과거가 하나씩 드러날 때마다 안타까움이 느껴졌다. 현대인들은 전쟁을 겪었던 세대보다 참을성도 없고 늘 불평불만을 달고 산다. 그렇게 살 바엔 '죽지 그래' 라는 이 한마디는 입을 다물게 만든다. 정말 무서운 말이다. 교고쿠 나쓰히코의 의외의 작품이었지만 그의 필력은 역시 살아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