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스완에 대비하라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지음, 김현구 옮김, 남상구 감수 / 동녘사이언스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천재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늘 부러운 존재이다. 이 책의 저자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도 그런 사람같다. 움베르토 에코에게 느꼈던 것이 나심에게도 느껴진다. 철학자, 수학자, 역사가이며 현직 월스트리트 투자전문가이며 1960년에 레바논에서 태어나 서구에서 유학을 하며 그가 공부하고 취득했던 학위들도 여러가지이다. 그가 일찌기 발견한 '블랙 스완' 이론은 불확실한 세대에서 가질만한 엄청난 사고방식임에도 미국에서 혹평을 받았다고 한다. 하지만 그가 예언한 대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벌어지자 그는 새로운 현자로까지 불리운다고 한다.

 

나 역시 언제나 마음속에 두고 있던 의문들,, 왜 모든 학자들이나 이론가들의 이론은 과거에 얼마 일어나지도 않은 것 같은 데이터를 가지고 결론을 지으려 하는가. 하는 점들을 나심은 명쾌하게 지적하며 '자료를 평범의 왕국애서 찾고자 해서 오류가 날 수 있다' '과거 자료는 너무 짧은 사례가 많다'고 꼬집는 부분에서 나 역시 명쾌해졌다. 이 책은 수학자답게 여러가지 오류를 수학적인 의문에서 답해주기도 한다. 그런데 책이 어렵다거나 재미없지도 않다. 오히려 흥미진진하기까지 하다.

 

18세기 호주에 진출하기 전의 서구인들은 백조는 무조건 희다하고 생각했지만 호주에서 흑조를 발견하게 되면서 '백조는 희다'는 경험법칙은 무너지게 되었다. 현재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블랙스완'같은 존재나 경험은 무엇인가. 그것이 그가 말하는 것이고 우리도 궁금해 하는 것이다. 또한 블랙스완의 두 가지 특성은 예측 불가능, 과 대단한 파급효과이다. 이는 인터넷 세상이 된 현재에서 엄청나게 잘 통용되는 이론이 될 것 같다. 사람들은 80년이라는 짧은 인생을 살다가 간다. 그 인생살이에서 엄청난 경제위기나 위험도 지구의 역사를 통해 보면 아무것도 아닐 사건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무조건 우리의 인생을 그렇게 볼 수만도 없다고 생각한다. 인류는 저마다 위기의식과 위험을 당하며 자신의 인생이 가장 고귀하다고 여기며 살고 있기 때문에 뭐가 옳다 나쁘다라고 이것 역시 100프로 말할 수는 없는 일 아닌가. 나심 또한 자신의 오류에 빠지지 않길 바라며...개인적으로 아주 즐거운 독서를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