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문트인 과학자 - 데이터 조각 따위는 흥미롭지 않아요. 특히 숫자!
랜디 올슨 지음, 윤용아 옮김 / 정은문고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우선 이 책은 과학콘서트 같은 과학 관련 책은 거의 아니다. 오히려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책이다. 물론 저자 역시 6년이 넘도록 하버드대에서 수학하고 해양과학자로서 지적인 여건이 충만한 과학자이지만 헐리우드로 넘어가 영화감독이 되면서 같은 과의 사람들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게 되었나 보다. 그곳에서 이 같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었다. 학력이 높을수록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나고 모든 면에서 우월할 것 같지만 의외로 그렇지 않다고 한다.
 
마술사들은 가장 속아넘기기 쉬운 사람이 공부만 하는 과학자, 교수같은 사람이라고 한다. 그들은 남의 말은 절대 듣지 않으며 지금까지 자신이 이룩한 과학적 학문적 업적으로 칭송만 받으며 살아왔기 때문에 귀를 닫고 살며 자신이 뛰어난 사람이라고만 생각한다는 것이다. 한미디로 재치가 있거나 유머가 넘치는 사람들은 아닌 것이다. 어떤 과제물을 주었을때 비전공자들이 훨씬 멋진 결과물을 내놓았다고 한다. 전공자들은 기술적으로는 그들보다 나았지만 창의성도 부족하고 결과물적으로 비주얼적인 부족했던 것이다. 트위터나 페이스북도 잘 다룰 줄 모르는 시대에 뒤쳐지는 사람들이라고 할까. 물론 지식인층이 아니더라도 그런 쪽에 무관심한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아주 기초적인 커뮤니케이션도 잘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해가 된다. 그런 학자는 아니지만 전화로 수다떠는 것 보다는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나에게 친구들이 너는 문어체적인 표현을 쓰는구나 했을때 깜짝 놀랐었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구어체 보다 문어체적인 말을 쓰고 친구들에게도 진지한 사람이라는 낙인이 찍힌다. 각종 모임에서 좌중을 휘어잡는 사람은 그런 학자 타입은 아니다. 이 책은 바로 그 점에서 착안하여 각종 재미있는 커뮤니케이션 이야기들을 쏟아낸다. 그 상대는 물론 과학자들이다.
 
그리고 헐리우드로 건너가 그가 겪게 되는 일들과 영화감독으로서의 일들도 이 책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영화는 이렇게 만들어지는 구나. 영화판에서의 대화는 이렇구나 하는 간접적인 경험도 하게 된다. 암튼, 다른 사람들이 착안하지 못한 과학자들의 커뮤니케이션 문제에 접근해서 재미있게 풀어쓴 방식이 무척이나 흥미롭고 재미있게 읽힌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 자신이 꽉 막힌 사람은 아닌가. 대화가 잘되고 재미있는 사람인가 아닌가 다시 살펴보게 된다. 한마디로 재미없는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 오늘도 노력해 본다. 우선 내 아이들에게 써먹어보았더니 깔깔대고 좋아라 웃는다. 동심으로 돌아가 같이 놀아주었더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