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왜 착한 선택을 해야 하는가 - 선택하는 인간을 위한 옳고 그름의 법칙
이언 킹 지음, 김정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인간이라면 특히 성인이라면 매 시간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가령 몸이 안 좋은데 더 누워있다가 아이를 유치원에 제때 못 데려다 준다든지 오늘 먹을 반찬은 뭘로 할까 라든지 같은 소소한 선택에서부터 직장인이라면 승진에서 그것도 여러번 누락되었을때 이 직장을 계속 다녀야 하는지 눈치를 보면서 가족을 위하여 그냥 버텨야 하는지 그런 인생의 큰 선택들을 늘 하면서 살아간다. 그런 선택을 어짜피 해야하는 인간이라면 좀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 옳고 그른 선택인지를 알 수 있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인간으로서 항상 선택을 해야하는 인간의 인문학적이면서 과학적인 모습을 꽤 많이 다루어주고 있다. 특히 과거에도 옳고 그름을 과학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던 기록글이 수백년에 걸쳐 수많은 책으로 옷을 입고 나왔었다니 말이다. 이 책에서는 말한다. 옳고 그름의 판단에 뉴턴식 혁명이 필요하다고. 그런 과학적인 이유외에도 실용적인 조언들 그러니까 좀 더 토크쇼의 상담이나 토론같은 분위기의 사람들의 어드바이스같은 부분도 중요하다고 다룬다. 이 책은 옳고 그름에 관한 주도적인 이론들을 면밀히 검토해서 각 이론의 장단점을 확인하여 단점은 보완하고 장점은 살리는 새로운 이론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그러니 이 책은 제목에서 느껴지는 것처럼 단순한 에세이식이나 자기계발서같은 책의 느낌은 거의 없다. 인문학 도서의 느낌이 더 많이 든다.
이 책은 인간이 더 나은 선택을 그러니까 착한 선택을 하지 못할 때 학대나 학살같은 무지막지한 일들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한다. 1부에서는 항상 결정을 내려야 하는 인간의 모습에 대해, 2부에서는 옳고그름의 역사들 혹은 철학적 심리학적 뿌리들을 찾아보고 있다. 3부에서는 옳고 그름을 마침내 결정하는 아홉가지 원리에 대해서, 4부에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옳은 결정을 내리자는 가장 대중적이며 재미있게 읽히는 부분이 5부 갈림길에 선 이들을 위한 선택의 윤리학이라는 부분까지 이어져서 이 책은 오히려 뒤로 읽어나갈수록 흥미진진해지는 내용이 가득하다. 6부에서는 지금까지의 옳고그른 선택에 대한 여러가지 고찰들 중에서 결론에 도달하는 내용들을 끄집어 낸다. 언제나 그것도 탁월한 결정과 옳은 선택을 하는 법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이 인문학 도서같은 책을 다 읽어나가다 보면 어떤 자기계발서를 읽을 때보다 더욱 옳은 선택을 하며 잘 살아야 겠다는 생각을 들게 해준다. 그렇다. 우리는 항상 착한 선택을 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아주 재미있게 읽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