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력전쟁 - 그들은 어떻게 시대의 주인이 되었는가?
뤄위밍 지음, 김영화 옮김 / 에버리치홀딩스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중학교 시절엔가 어머니가 사주신 <이야기 한국사>라는 한 6권짜리 전집이 언제부턴가 집에 있어서 읽기 시작했는데 너무 재미있어서 읽고 또 읽고 했던 기억이 난다. 그런 식의 책이 있으면 우리딸에게도 읽혀주려고 마음먹고 있는데 잘 찾아보기가 어렵다. 한권으로 읽는 통한국사 이런식의 책만이 보이니 말이다. 대화체가 선명하고 마치 대하드라마를 읽는 것 같지만 역사속의 사료를 정확하게 참고해서 생생하게 그린 한국사였다. 성종이 나중에 폐비 윤씨가 되는 왕후에게 용안을 긁히게 되는 사건이 지금도 생생히 기억난다. 이후 이 일은 연산군의 피비린내나는 복수의 단초가 되었던 사건이었다.
이런 비슷한 책을 찾게 되었는데 중국의 역사속 인물과 권력투쟁을 그린 이 책 <권력전쟁>이었다. 중국의 역사인 것이 아쉬울 정도로 어린 시절에 읽었던 그 이야기 한국사와 비슷한 방식의 책이어서 아주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뤄이밍이라는 중국 고대 문학 연구에 힘쓰고 있는 저자가 펴 낸 책이라 역사적으로도 믿음이 가는 책이었다. 머리말에서 허구로 그려낸 대화체도 많다고 하지만 큰 틀에서는 역사적인 사료를 참고했다고 한다. 대하드라마처럼 재미있게 읽어내려 갔으며 성인이 되어 새삼 읽어보니 조나라가 기원전 260, 진나라가 기원전 210년 (바로 진시황제가 통치하던) 이런 식으로 연대를 새삼 보며 놀랐다. 기원후도 아닌 기원전이라니. 유럽으로 치면 중세시대보다도 훨씬 이전의 이야기가 아닌가. 그럼에도 중국의 역사들이 단편적으로 우리에게 이렇게나 알려져 있다니 놀랍다. 유방과 항우의 이야기도 그렇고 삼국시대도 지금으로 치면 고대에 속하는 시절이니 말이다.
'여불위'라는 엄청난 부자가 한명의 제왕(훗날 진시황제) 을 탄생시키는 장면은 실로 놀라웠다. 그토록 권력이 주는 즐거움은 비길데 없나 보다. 여불위 이야기 이후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권력을 가지기 위해서 숱하게 피바다를 이루며 존속들까지 제거하는 모습을 보니 말이다. 현대에는 그 정도는 아니지만 역시 정치에 뜻이 있는 사람들이 들어갔다 싶으면 또 나오고 하는 모습들을 볼 때에 거의 중독적인 습성이 아닌가 싶다.
진시황제 사후에 환관 '조고'라는 인물이 권력을 잡게 되는 과정도 놀랍기는 마찬가지이다. 결국 권력을 잡았으면 좋게 썼으면 좋았을 터인데 잔인무도하기까지 해서 좋은 통치를 하지 못하고 숙적을 제거하기에만 혈안을 올리고 죄없는 공주 열명까지 사지를 찢는 사형을 내렸다는 장면에서는 싸이코패스적인 인물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현대에 살았다면 살인마가 되었을지도..
권력을 잡기 위해서는 여성도 예외는 없었다. 못생긴 악처였던 '가남풍'의 이야기도 새로웠고 널리 알려진 '측천무후'의 이야기를 이 책으로 더욱 자세하게 접할 수 있었다. 측천무후는 다행히 당시 나라의 발전에 여러모로 힘을 썼다고 한다. 하지만 그녀 역시 갓 태어난 딸과 태자로 책봉되었던 아들 둘과 손자까지 죽음으로 내 몬 인물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런 살육의 기록보다는 어떻게 해서 정권을 잡게 되었는지 한 개인이 자신을 숨기며 권력을 위해 한발한발 내딛는 과정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다. 권력의 암투는 역사의 뒤안길에서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는구나 약속은 거의 지켜지지 않고 오히려 자신이 당하는구나. 현대에서도 목숨이 왔다갔다 할 정도는 아니지만 자신의 이익과 발전을 위해서 이해관계를 쉽게 저버리고 이쪽 저쪽을 다니는 정치가들을 볼 때 권력투쟁은 인류의 역사상 늘 있어온 일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