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앱경영 시대가 온다 - 손 안에 펼쳐진 새로운 미래
김종승 외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12월
평점 :
요즘 앱, 앱경영이라는 책들이 많이 나온다. KT경제경영연구소의 이 책은 쉽게 읽히고 재미마저 있어서 단연 이런 종류의 책중에서 가장 재미있게 읽었다. 부록에서는 CEO나 회사원들이 가질만한 아이폰 앱을 소개해 주고 있고 안드로이드폰용 앱도 소개해 주고 있으며 아이패드에 유용한 앱까지 소개해 주고 있어서 남편에게 읽어보라고 했더니 아이폰 소유자인 남편은 거의 다 있는데 "런키퍼" 라는 앱은 몰랐다며 흥미를 가졌다. 런키퍼는 앱을 실행시켜놓고 주머니에 넣고 걷기나 달리기 같은 운동을 시작하면 만보기처럼 운동을 기록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중간에 운동을 그칠때는 pause 를 눌러 멈춤으로 할수도 있다. 다 하고 나면 그날의 운동량등을 측정해 준다. 스마트폰의 장점은 바로 이런 것이 아닌가 싶다. 그야말로 손안의 컴퓨터나 만능기기같다. 어떤 앱은 그대로 사진을 찍으면 그 책의 정보를 바로 알 수 있고 스캔을 하듯이 바로 알아볼 수 있는 '스캔서치'같은 것들이나 '포스퀘어'같은 앱의 기능은 정말 작은 휴대폰안에도 넓다란 세상이 그대로 담겨있음을 반증하는 앱들이다.
요즘은 세상을 활발히 살아가는 사람들 속에서 점점 컴퓨터로 모르는 사람들과 대화하거나 카페에서 만나 모임을 갖거나 이제는 트위터를 통해서 번개등을 통해 만남을 갖기도 한다. 언듯보면 외톨이 같지만 오히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분출구가 되기도 한다. 소통이 없다고 하지만 반대로 소통을 일으키는 것들이 바로 트위터나 페이스북이란다. 헌데 한국에서는 유독 페이스북은 인기가 많지가 않다. 한국만의 커뮤니티 사이트가 존재하기 때문인데 소위 지식인 물음을 통해 누구나 물어보고 답변을 찾아볼 수 있는 여기서 그 사이트는 장만 제공할 뿐이지 모든 것은 사용자가 알아서 채워나간다. 바로 이 매력으로 인해 그리고 그 안의 카페나 블로그로 인해 유독 그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은 것이다. 그래서 나도 페이스북이 뭔지 잘 모른다.
트위터는 이제 강세를 띄고 있어서 나도 가입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앞으로는 트위터로 인한 마케팅이 주를 이룰 것이라고 한다. 모든 것을 멈추지 않고 걸어다니면서 정보를 이용하고 답변을 하고 회사일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2014년이면 스마트폰이 거의 다가 될 거라고 예상한다. 따라서 지금 기기를 바꾸려면 먼저 스마트폰을 접하는 사람이 더욱 유리할 것이라는 얘기다. 남편이 폰이 너무 낡고 구식이라며 바꾸라고 하는데 나는 이대로도 좋다고 고집을 부렸다. 하지만 부모님 세대처럼 젊은 세대와 소통이 안되는 그런 일들을 겪지 않으려면 첨단 기기를 이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지금까지 남편이 매일 들여다보는 스마트폰이 무언지 어떤 앱이 들어있는지 관심도 없었는데 이 책을 읽고서 찬찬히 들여다보니 대단하긴 대단하다. 이런 것들이 주로 무료로 공유되다니.. 앞으로는 어떤 기업이든 TGIF(Thanks God. lt's Friday) 가 아닌 Twitter, Google, I phone, Facebook을 무시할 순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발빠르게 움직여야 할 것이다. 반도체 사업도 중요하지만 그동안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지 못했기에 인터넷 강국에서 16위로 밀려났다는 사실은 글로벌 세상에서 눈여겨 볼 일이다.
이 책은 이 모든 것들을 세심하면서 재미있게 보여준다. 요즘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이 책 하나로 알 수 있게 되었다. 나도 할머니가 되어서도 세상의 바뀌는 대세에 모르고 넘어가지는 않을 생각이다. 그러나 너무나 빨리 모든 것이 바뀌는 세상이 결코 좋은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조금씩 천천히 바뀌면 안될까? 암튼 이 책으로 큰 도움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