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는 것의 기술
하타무라 요타로 지음, 황소연 옮김 / 가디언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일본인들은 유독 수학을 사랑하는 것 같다. 논리적인 것들도. 네모네모 로직이나 스도쿠 같은 수학퍼즐, 게임들은 거의 다 일본에서 출간된 책들이다. 국내에 소개된 수학에 관련된 책들만 해도 일본인이 저술한 책들이 꽤 된다. 그들은 생활에 밀접하게 수학이 자리잡고 있는 것 같다. 정말 좋아하는 책인 <박사가 사랑한 수식>같은 소설조차도 수학교수인 주인공의 삶을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수학적인 문제들이 나오는데 아주 자연스럽고 정말 수학은 재미있는 건가 보다 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이 책을 지은 하타무라 요타로씨의 삶도 수학과 아주 밀접했다. 공학을 전공하고 고등학교까지 나름대로 수학을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대학수학을 따라가기가 어려워서 결국 60평생을 독학으로 수학을 마스터해서 쉽게 배우는 수학같은 책을 써냈다는 사실까지 이 책에서는 언급되어 있다. 그런 그의 삶의 태도가 '안다는 것' 의 의미와 맞물려 여러가지 두뇌 활용법을 알려주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실제로 써먹을 수 있는 여러가지 두뇌 활용법과 우리 뇌를 자극해서 '앎'으로 발전시키는 두뇌 템플릿이라는 것을 알기 쉬운 예를 들어가며 설명해 주고 있다. 특히나 나이가 많은 저자가 이렇게 활발하게 두뇌를 자극하는 훈련을 계속 하고 저술한 이 책을 읽다보면 많은 자극을 받게 된다.

 

이 책에서는 직관과 직감의 차이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 직관이라는 것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있다. 사고 과정을 보기 쉽게 회로로 표로 보여주고 있다. 단축 사고라는 것은 두뇌 템플릿을 만드는 데 중요하다. 신속하고도 정확한 해답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은 이미 오래전부터 부단히 노력하여 연습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런 노하우가 쌓이면 A를 본 순간 정답은 D3이다라고 직관으로 알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단순암기에서 적재적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 쌓기의 방법도 알려주고 있다. 100칸 계산등으로 수와 친해지는 것이 한 방법이라니 아이들과 수와 친해져봐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우리나라에서도 입시만을 위한 공부가 아닌 원리적인 공부, 수학을 좋아하게끔 만드는 수업, 수와 친해지는 방법등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단순히 입시만을 위한 공부를 해서 대학을 가면 그 이후부터는 현저히 떨어지는 수학실력이 아니라 다른 나라처럼 대학에 들어가서 진짜로 공부를 할 수 있는 나라의 토대를 마련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