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 장정일의 독서일기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 1
장정일 지음 / 마티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정일의 독서일기는 진즉 읽어보고 싶었는데 8번째 권이 나온 지금에야 읽어볼 수 있었다. '빌린 책, 산 책, 버린 책'이라는 제목이 특이하다 싶었는데 장정일씨는 도서관에서 책을 많이 빌려 읽는데 이 중에서 너무 좋다 싶은 책들을 금방 사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이런 검증을 거치지 않은 책들은 다 읽고 나서 버려지는 일들도 생긴다는데 순전히 개인의 취향일 것인 이 독서일기는 글쟁이인 장정일씨의 것이라 이렇게 인기가 많은지도 모르겠다. 책을 버리는 것 또한 특이했는데 외출할 때 버릴 책을 가지고 나가서는 아무 공중전화 박스위의 두고 온다니 어떻게 보면 참 낭만적인 방법이다. 그냥 재활용 쓰레기를 버릴때 버린다면 그저 버리는 책이겠지만 이렇게 공중전화 박스에 놓고 나오면 책 좋아하는 또 다른 사람이 횡재를 할 수도 있을 테니까.

 

 

나 역시 '독서일기'란 단어가 원래 있는 줄 알았는데 이 책을 보자면 1994년에 장정일씨가 쓴 나의 독서일기가 나오면서 이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독서일기의 시초가 바로 장정일씨인 셈이다. 이 책을 읽고 이견이 있다면 그 사람은 정당한 증거가 있는 덧글을 달기를 바랄 뿐이다. 장정일씨의 신간 소설이 왜 이렇게 나오지 않고 있나 궁금했었는데 이 책을 읽어보니 60세까지 20권의 독서일기를 내고 싶었는데 많이 밀려있다고 한다. 이쯤 되면 독서일기가 강박으로 다가올지도 모른다. 꼭 20권을 채워야 하나..신간 소설도 기다리는 독자들이 많을 테니 어서 써 주셨으면 좋겠는데 다행히 오래도록 구상한 소설을 올해 안에는 내고 싶다니 그 바램이 꼭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이 책은 읽기는 다 읽었는데 막상 리뷰를 써보려고 마음 먹으니 수많은 작품을 읽고 쓴 그의 독서일기에 대해서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다. 어쨌거나 다른 사람의 독서일기를 읽는 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었고 유쾌한 일이었다. 도서관에서 우연히 접하고 읽었던 1930년대에 프랑스에서 일어난 파팽 자매 사건을 그린 '잔혹과 매혹'을 이 책에서도 언급하고 있어서 반가웠다. 정말 기이한 사건이어서 푹 빠져서 읽었던 기억이 난다. 하녀인 두 자매가 주인집 모녀를 살해한 사건인데 경찰이 들이닥쳤을 때는 이 자매는 한 침대에 누워 있었다고 한다. 이 사건은 후에 수많은 연극이나 영화에 영향을 미쳤고 장 주네의 <하녀들>의 모티브가 되었다. 장정일씨가 읽은 <유니스의 비밀>이 한 가족을 살해하고 여자이고 가정부였다는 점이 파팽사건과 일견 비슷해 보이지만 지은이인 루스 렌들은 파팽 사건과 닮은 구석은 하나도 없다고 쓴 부분에서 이 잔혹과 매혹을 기억해 내고 관련된 책들을 읽은 것은 나의 읽기 방식하고도 비슷해서 유심히 보게 되었다.

 

실제로 장정일씨는 비슷한 작가의 작품이나 주제가 비슷하다던지 어느 한 부분이라도 연관이 있는 작품들을 동시에 보고 한 책을 덮고 다른 책을 읽기를 반복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한 작품을 읽고 그 작품에 언급된 다른 작품을 읽게 되는 것은 정말 나의 독서 방식과 유사했다. 우연히 이 책에서 언급된 사람이나 작품이 우리집 책장의 또 다른 한 곳에 꽂혀 있을 때 얼마나 놀랍고 기쁜 일인지.. 장정일씨의 책읽기는 정말 주제와 장르를 넘어서서 다양했다. 소설 <더 리더>에서부터 아멜리 노통브의 작품, 빅토리아 시대에서 현대의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거침이 없었다. 실제로 글을 잘 쓰려는 사람은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는 그의 지론은 맞는 말인 것 같다. 신간에서 이런 독서의 힘이 많이 발휘된 멋진 소설을 기대해 보는 것도 너무 앞서가는 것은 아니겠지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