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부모혁명 - 부모와 아이가 행복해지는 대한민국 가정 희망 프로젝트 핀란드 교육 시리즈 3
박재원.구해진 지음 / 비아북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언제 제일 이쁘세요?" "공부 잘할 때요."

여기에 하나 더 추가한다면, "잠잘 때요." 인 것 같다.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언제부터 '공부'가 모든 것을 좌지우지 하게 되었을까.

핀란드나 스웨덴 같은 나라는 어떻게 해서 국가평가나 학생들의 성적이

세계 1위권이면서 행복하기까지 할까. 모든 것이 국가와 부모의 역할이

적당했음을 보여주는 핀란드 교실혁명에 이어 <핀란드 부모혁명> 이 나왔다.

 

이 책을 읽으며 한숨부터 나왔다. 우리도 이렇게 될 수 있을까.

너무나 부러웠다. 학생들이 부모가 하래서 하는 공부가 아닌 본인이 필요해서

하고 싶어서 하는 공부였다. 그러니 당연히 수학도 역사도 모든 부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으리라. 본인이 하고 싶어서 몰두해서 하는 공부는 기억이 오래 남고

우울증도 걸리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학생들도 핀란드와 어깨를 겨룰 정도로

세계에서 훌륭한 성적을 올리지만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핀란드 학생들처럼

행복하느냐 하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핀란드의 아이들은 실컷 놀고 도서관을 잘 이용한다.

우리나라는 독서의 힘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숙제도 많고 학원에 의지하는

형태로 가기 때문에 사실상 도서관에 갈 시간도 책 한권을 자기것으로 만들 여유도 없다.

그저 교과서와 학원에서 주는 학습지, 그리고 숙제를 위한 숙제를 할 뿐이다.

 

너는 공부만 잘해, 나머지는 엄마가 알아서 할께 와 같은 발상을 쉽게 하는 나라.

정말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는데도 이것이 당연한 듯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같은 시간에 본인이 좋아해서 하는 독서와 인성을 기르는 아이들만 손해를 보는 일들이 생긴다.

왜 모든 것은 엄마가 알아서 해 주니까 버릇이 없어지고 타인을 하찮게 보는 아이들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청소년 범죄가 나날이 늘어가고 있는데도 정작 그 부모들은 자기 자식이 그럴리가 없다고 한다.

스트레스를 적당히 풀 길이 없는 우리 학생들이 불쌍하다. 이 책은 그런 모든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재미있는 실험을 하나 예로 든 부분이 인상이 깊다. 아이들에게 떠들고 말 안 듣는 학생들은 밖에 나가서 놀게 하고

말을 잘 듣는 학생들에게는 교실에 들어가 공부를 할 수 있게끔 해 줬더니 거의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교실에 들어가 공부를 하려고 노력했다는 그 실험말이다.

 

우리나라도 좀 똑똑한 교육을 했으면 좋겠다. 시민연합이나 학부모 연합등에서 국가를 향해

부르짖어야 할 일인데 모두 조용히 사교육에만 열중하고 있는 지금의 현실. 어디서부터 바뀌어야 할지

난감하다. 많은 학부모들이 이 책을 한번쯤 읽어보고 좋은 방향으로의 생각만이라도 한번 해본다면

앞으로 조금씩 바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