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sia 제17호 - Summer, 2010
아시아 편집부 엮음 / 도서출판 아시아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아시아인으로 산다는 것. 우리는 같은 아시아인이면서 일본인들은 세련되고 질서를 잘 지키고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하면서 동남아시아인들에 대한 편견은 뿌리가 깊다. 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겠지만
보편적으로 아주 반갑게 맞이하지는 않지 않은가.. 거기에 더...팔레스타인까지 아시아로 기억하고 있지 않았던 것 같다.
계간 아시아는 그런 편견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이 된 계간지였다. 아시아 지역의 문학과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는
이런 계간지가 있다는 사실조차 몰랐으니 말이다. 좋은 기회에 이렇게 접하게 되어서 얼마나 소중한 기회를 얻었는지 모르겠다.
똑같은 살과 피가 흐르는 같은 인간으로서 같은 종으로서, 왜 사람들은 피부색에 따라서 편견을 가지고
오해를 하고 스스로가 그런 그물에 갇혀서 살기를 선택하는지 모르겠다.
솔직히 말하자면 나 부터도 전철이나 버스에서 동남아시아나 얼굴이 검은 아시아인들을 만나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슬쩍 자리를 피하기 일쑤였다. 물론 편견없이 대하고 싶지만 우리가 백인을 보아도 영어가 되지 않아서
피하는 것처럼 외국인이라는 자체만으로 긴장을 하게 되어서 일수도 있다는 변명이 바로 이 글을 쓰면서 생각나 버린다.
암튼, 이번 17호의 주된 내용은 팔레스타인 문학이다. 팔레스타인이 쓴 소설, 에세이, 시등을 소개해 주고 있다.
이는 팔레스타인에 정통한 소설가 오수연씨가 맨 처음에 쓴 글에서 이번 특집호에 참여하게 된 것을 매우 기뻐하며
팔레스타인 문학의 거장들 소개에서부터 패기만만한 젊은 작가들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팔레스타인 문학사가 요약되어
있는 셈이라는 말에 더욱 열심히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이 계간지는 또 하나의 나의 얄팍한 생각인지는 몰라도, 영어도 같이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글로 번역된 팔레스타인 문학에 다시 영어로 번역된 영어글까지 읽을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한글이, 그 다음에 영역본이 다시 한번 나와서 영어공부겸 다시 읽어보는 것도 아주 좋았다.
팔레스타인 문학을 빛낸 4명의 별들과 오수연씨와의 좌담도 영역본도 같이 나와서 팔레스타인 문학을 이해하는데 일조한다.
단편소설인 샤키라의 사진, 파드와 뚜깐은 이제 탱고를 추지 않는다. 난민촌의 총 이라는 세 작품도 아주 특색있었다.
팔레스타인만의 고통과 슬픔이 배어나는 작품들이었다. 이스라엘에서는 팔레스타인의 존재 자체를 거부하기 때문에
보안검색도 엄청나지만 팔레스타인의 국기라든가 어떤 존재의 의미를 띤 물건들 자체를 들고 있으면 죄를 짓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라서 팔레스타인으로 산다는 것이 얼마나 힘겨운 일인지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았다.
세상을 이분법의 잣대로 나누지 말고 서로의 종교와 역사를 존중한다면 이 같은 일이 되풀이 되지 않을 텐데
안타까운 일이다. 아시아인으로서 산다는 것이 좀 더 큰 의미를 가지고 있을 것만 같다는 생각이 든다. 계간 아시아를 통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