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네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있다 - 타인의 생각 훔치기,‘멘탈리스트’가 되는 길
토르스텐 하베너 지음, 신혜원 옮김 / 위즈덤피플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몇년전부턴가 미국드라마의 매력에 빠져들기 시작하여 매 시즌마다 빼놓지 않고 보는 드라마들이 생겼다. 그러던 중 작년에 접했던 미국드라마중에선 멘탈리스트의 고정시청자가 되어버렸는데 주인공인 사이먼 베이커(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서 금발머리 칼럼니스트이자 주인공 아가씨를 좋아하고 도와주었던 멋진 미소의 남자)의 특유의 눈웃음과 능청스런 연기도 연기였지만 대본이 아주 재미있었기 때문이었다. 마치 셜록 홈즈처럼 상대방을 척 보고 이것저것 그에 대한 것을 맞추는 것이 아주 흥미로웠다. 어떻게 알았느냐는 주위 사람들의 반응에 그가 오른쪽 위를 쳐다보아서 과거를 회상하는 것이고 이건 저렇고 하고 설명을 해주면 아하 그래서 알게 되었구나 하고 무릎을 치게 되는데 바로 이 책 <나는 네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고 있다>가 독일의 '멘탈리스트' 드라마같은 책이라고 해서 집어든 책이었다. 책표지를 넘겨 책날개를 보면 영화배우 뺨치게 잘생긴 남자가 두 손을 내밀고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데 그가 바로 마술사이자 이 책을 지은 토르스텐 하베너라는 지은이였다.
 
생각보다 말끔하고 젊은 이 남자.. 과연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 호기심을 가지고 책을 읽기 시작하였는데 시작부터 예사롭지 않았다. 청소년기에 친형을 사고로 잃고 형의 방에서 찾은 마술도구를 만지다가 형을 잃은 아픔을 잊으려 했는지 마술에 푹 빠져서 엄마와 함께 마술쇼에 참가하고 공연을 다니고 세미나등을 찾아다니는 등 평범하지 않은 고교시절을 거쳐서 대학시절에서는 심리학과 같은 마음에 관련된 수업을 여럿 듣게 되었다는 지은이.. 마술쇼에 환호하는 사람들을 보다가 문득 자신이 이 사람들에 대해서 알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했을때 약간의 소름이 끼쳤다. 그런 자신만의 예민함을 발전시켜 상대방을 지목하여 그가 생각하고 있는 사람의 이름까지 맞출 정도가 되었다고 한다. 사기나 마술이 아니라 정말 순전히 마음을 읽어서 말이다. 그래서 지금은 순수한 마술쇼 보다는 이런 멘탈리스트적인 공연도 자주 하고 있다니 읽는 내가 실수라도 하면 어쩌나 긴장이 되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관객이 관대하지 못하여 다른 생각들로 흘러가게 해서 실패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럴 경우 관객이 최대한 협조를 해야 할 것인데 그러지 못할 경우는 전혀 예상밖의 신호를 받을 수 밖에 없으니 참으로 곤란하리라. 하지만 대부분은 관대한 관객들이라 하니 다행이었다.
 
이렇게 낙관적인 삶의 태도에 대해서도 많은 단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와이즈만이라는 사람이 했다는 실험과 그에 대한 결과도 흥미롭다. 사람들에게 신문의 한 면에 실린 사진의 갯수를 찾아보라는 실험이었는데 사람들은 사진을 세는데에만 급급해서 중간중간 자주 나오는 메시지를 놓쳤다고 한다. 바로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100파운드를 받을 수 있다'는 글을 말이다. 와이즈만이 했다는 "낙관주의자는 긍정적이고 에너지가 넘치며 새로운 기회와 경험에 대해 마음이 열려 있었다." 는 대목이 눈길을 끈다.
 
2장에서는 많은 부분을 우리들의 신체는 언어만큼이나 다양한 생각의 신호를 준다는 것에 할애를 하여 구체적인 실험등과 함께 자신이 어떻게 해서 사람들의 마음을 알아내는지 상대가 생각할때의 눈의 위치라든가 동공의 크기라든가 여러 신체적인 사인 등 아주 구체적인 것까지 다 밝히고 있지만 내가 직접 멘탈리스트 역할을 해 본다면 결코 쉽지않다. 저자도 엄청난 연습과 집중력, 그리고 특유의 관찰력과 예민함이 필요한 일이라니 아마도 이 책대로 한다고 다 마음을 읽게 된다면 모두 멘탈리스트 공연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럴 일은 없을 것 같다. 그저 또 하나의 심리학 서적을 가볍게 읽는다는 생각으로 읽게 된다면 다시금 책을 여러번 생활속에서 끄집어 내고 싶어질 것이다. 나 역시도 간단히 리뷰를 쓰기 위해 다시 읽어보니 또 새로운 재미와 흥미를 느꼈으니 말이다. 이제 나는 당신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조금이라면 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