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는 또 다른 목회자 - 주일학교 교사들을 위한 반목회의 모든 것!, 개정판
송삼용 지음 / 브니엘출판사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주일학교 교사들을 위한 반목회의 모든 것! 이란 표지의 문구에서 반목회란 단어가 생소하게 다가왔다. 반목이란 단어는 좋은 의미가 아니기에 자꾸만 반목회하면 다른 생각부터 들었다. 그러나 내용을 파고 들어 보니 아하! 하고 무릎을 쳤다. 주일학교 교사들은 학생 하나하나의 영혼을 위해 기도하고 목회자처럼 목회를 한다는 의미에서 반쯤 목회, 반목회라고 쓰셨던 것이다. 새로운 경험이었다. 그렇구나..주일학교 교사의 사명은 이리도 막중한 것이구나 새삼 느끼게 되었던 것이다.

 

어려서부터 모태신앙으로 자연스럽게 주일학교에 등록하고 다녔던 나는 자연스럽게 수련회를 갈 나이가 되면 수련회를 갔고 중등부, 고등부때는 임원을 맡게 되었다. 성경퀴즈대회에서도 자연스럽게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회계, 부회장 누구 하며 인정받는 학생이 나였다. 물론 수련회나 설교말씀을 통해서 회개하고 예수님을 구주로 영접하였지만은 이렇게 쉽게 가는 신앙이었기에 지금은 너무나 날라리 신자가 되어버렸다.

 

스무살적부터 십여년간 계속했던 성가대를 빼면 주일학교 교사도, 제대로 된 음식봉사도 한번 해본 적이 없는 그런 신자가 되어버렸다. 아이를 낳고 키우다 보니 성가대를 못하게 되는 사정이 생겼고 뜻하지 않게 턱관절이상이 생겨서 일상생활은 그럭저럭 영유하고 있지만 성가대는 할 수 없는 처지가 되어버렸다. 아이들을 키워놓고 나는 무슨 봉사를 할까...이런 생각도 지금 생각하면 자기만족이다. 남들이 다 하고 있으니 나도 해야 명함을 내밀지 않을까 하는...

 

그러나 한 가지, 진정해보고 싶은 것은 주일학교 교사이다. 나는 책임감이 강한 사람이기 때문에 한번 맡으면 열심으로 하긴 할 것이다. 그것이 진심에서 우러나든 아니든 간에 내 아이가 아닌 다른 아이를 맡는다는 것은 막중한 책임이 따르기 때문에 아마 최선을 다할 것이다. 그러나 그게 다인가? 아마 나같은 생각으로 교사를 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런 사람 중에서는 다 그런다는 것은 아니지만 이 책에서도 나와있듯이 마땅히 지켜야 할 학생 예배도 늦게 오고 약속시간을 자주 어기며 학생에게 따로 전화등을 하지 않게 되며 무늬만 교사인 사람들이 나오게 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주일학교 교사를 할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봐야 할 서적인 것 같다. 유치부인 유아부터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의 아이들의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페이지가 여럿있고 또 여러가지 반목회를 위한 예를 들어보이며 차분하게 교사를 할 사람들의 영혼을 일깨우는 책이기 때문이다.

 

반목회는 앞서 쓴 대로 교사가 학생 하나하나에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적으로 교사에게 달린 일이다. 정말 열정만 가진다고 될 일은 아닌 것 같다. 철저하게 미리 연구도 공부도 하고 마음가짐을 굳게 가지고 기도로서 항상 준비하고 성경말씀을 항상 묵상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아홉가지 수칙을 늘 기억한다면 훌륭한 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아홉가지 수칙은 이러하다. 제 1수칙은 철저히 공과를 준비하라, 제 2수칙은 매일 학생을 위해서 기도하라, 제3수칙은 교사의 영성 관리에 힘을 쏟으라, 제4수칙은 교사의 비전을 잃지 말라, 제 5수칙은 설교자의 심정을 가져라, 제 6수칙은 본문에서 자신이 먼저 은혜를 받으라, 제 7수칙은 본을 보여라, 제 8수칙은 시청각 자료를 사용하라, 제 9수칙은 교사의 권위를 지켜라.

 

마지막으로 이 책에서 '낮아지면 높아진다'는 문구가 마음에 와닿는다. 교사의 권위는 예수님의 권위에서 오는 것이라고 한다. 요즘 신세대인 아이들의 반항, 툴툴거리는 말투등에 권위로서 대하려고 하면 아이들에게 반감을 살 것 아니겠는가? 교사는 그럴때에도 미소로서 진정으로 한 영혼을 구원한다는 마음으로 기도하면서 대한다면 아이가 마음을 열고 교사에게 존대를 할 것 같다. 앞으로 교사를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이 책을 읽고 말씀을 묵상하며 그날을 위해 준비를 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