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에도 적당한 거리가 필요합니다 - 침묵으로 리드하는 고수의 대화법
다니하라 마코토 지음, 우다혜 옮김 / 지식너머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과 대화를 하며 소통을 원할하게 해준다는 책들은 읽어봤어도 침묵을 강조하고 제대로 침묵한다는 것의 효과를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해주는 책은 처음인 것 같다. 한번 든 책을 정말 끝까지 바로 다 읽어버렸고 다음날에도 기억하고 싶은 부분을 또 읽게 되는 그런 책을 오랜만에 만났다.


우리는 둘이나 혹은 여럿이 모여서 대화를 할때에 생기는 공백 즉 침묵을 못견뎌 한다. 막 초조해진다. 그걸 깨기 위해 아무말이나 던지다 보니 왜 내가 그런 역할을 해야하나 하는 자괴감이 들 때도 있다. 그럴때에는 그냥 침묵을 즐기자. 아무말이나 하지 말고 오히려 다음 대화를 위한 생각다듬기 정도로 생각하면 좋다는 것이다. 그런것을 불편해 하기 보다는 이제는 혼자 초조해 하지 말아야 겠다는 결심을 해본다.


침묵은 상대의 마음을 움직인다. 침묵함으로서 오히려 대화의 장을 만들고 상대방의 긴장을 어떻게 풀 것인지 물꼬를 틀 기회를 얻기도 한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어떤 성공한 코미디언이나 영업사원이 등장하는데 모두 침묵을 활용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다. 코미디언은 1분의 20번이나 공백이 있었고 영업사원은 말을 주로 들어주며 공감해 주었더니 사람들이 알아서 그 사람의 물건을 사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제목이나 요즘 책들의 제목처럼 흥미유발을 해서 제목이 반을 먹고 들어가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아주 잘 활용된 '자이가르닉 효과'라고 한다. 자이가르닉 효과란 '달성한 일보다 달성하지 못했거나 중단된 일을 더 잘 기억하는 현상' 이라고 하는데 요즘 티비프로그램들의 광고 이전에 끊는 효과가 바로 이런 것이다. 다음을 궁금하게 만들어 채널을 고정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아주 잘 활용된 침묵의 효과를 여러 곳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화를 다스리는 방법, 그리고 상대방의 눈을 쳐다보는 이유, 퍼스널 스페이스를 잘 활용하는 방법, 좋은 질문을 잘 던져서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되게 하는 방법들을 알려주고 있다. 다만 질문을 던진 후에 곧바로 다른 질문을 던지는 것은 금물이라고 한다. 상대방이 첫번째 질문에 대한 답을 생각하고 있는데 다른 질문을 던져버리면 첫번째 질문의 효과가 없어지고 다시 대화는 산만해지는 것이고 예의없다는 이미지마저 얻게 된다. 반론하려면 먼저 동의부터 하고 질문을 하고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순으로 해야 상대와 다투거나 감정싸움을 하지 않고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 직장 상사, 발표를 하는 발표자, 변호사 같은 사람들이 읽으면 아주 좋을 것 같은 책이다. 나같은 일반인도 아주 좋은 방법을 배웠던 멋진 독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