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변해야 아이도 변한다
김경집.이시형.이유남 지음 / 꿈결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가 변해야 아이도 변한다는 제목처럼 심리서인줄만 알았는데 '엄마 인문학'의 김경집님과 정신과의사로 힐리언스 선마을 촌장으로 유명한 이시형 박사와 '엄마 반성문'의 저자인 이유남씨 이렇게 저자가 따로 나뉘어진 3부로 되어 있는 책이어서 더 다채롭고 좋았다. 특히 1부 김경집씨의 글은 엄마로서 많은 생각을 해볼 수 있는 부분이었다. 기성세대로서의 우리 부모가 인공지능의 시대가 도래하는 미래에 처한 아이들을 데리고 어떻게 키워야 되는가에 대한 생각을 말이다. 비공감 시대의 우리들의 모습을 비판하기도 하고 과거에 갇힌 교육에 대해서 내 아이만 아니면 된다는 우리 세대의 시각에 대해서 또한 아이들이 위에서부터 그냥 내려오는 주입식 교육이 아닌 스스로 물을 수 있는 교육에 대한 견해를 잘 보았다. 인문학자로서 든 예들이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었다. 24절기는 음력이 아닌 양력이라는 사실이 놀라웠다. 그것도 명나라때 시행된 것으로 음력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농사에 기초한 력을 24절기로 만든 것인데 우리나라에서 입춘인데 눈이 오고 입추인데도 더운 이유는 명나라 당시 북경(베이징)을 기초로 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이다. 그래서 명을 따를 수 밖에 없었던 조선으로서는 약 15일 가량 늦어지는 24절기를 갖게 된 것인데.. 이것도 맞지 않는다에만 초점을 맞출것이 아니라 15일이나 미리 대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보라는 것에 공감하였다. 앞으로의 아이들은 직업이 6번 바뀔 것이며 미래에 대해 막연한 공포를 기업이 심어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없어지는 직업이 이만큼이면 새로 떠오를 직업도 이만큼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며 막연히 아이들을 하나의 직업만 강요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을 말이다. 좁은 우물에서 성장한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서 어떤 사회를 이룰 사회구성원이 될지 지금대로라면 좀 아찔해 보이는게 사실이다. 부모가 깨어있어야 할 것임을 시사해준다.


이시형 박사편도 연장자로서 정신과의사로서 해줄 말이 많아보였다. 하나의 자원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잘 키워야 할 21세기의 아이들에 대한 조언을 아낌없이 쏟아놓으신다. 특히 심리적인 관점에서 건강한 성인으로 될 아이들을 키우는 법을 말이다. 빨리 대충 먹고 거의 걷지 않고 학원 집만 다니는 아이들을 위해서 좋은 식습관과 몸습관을 일러준다. 이제 대기업 좋은 대학만 미는 시대는 갔는데도 엄마들은 아직 그런쪽으로 유도하고 집착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건 기성세대로서 사회가 확 바뀌지 않는한 자녀가 걱정되므로 자연스럽게 이렇게 되는것 같다. 하지만 과한 엄마도 확실히 많다. 아이들은 어린시절을 어린이처럼 누릴 권리가 있다. 그런데 놀이터엔 아이들이 없다. 그저 핸드폰만 주어진다. 이어서 삶을 바꾸고 영혼을 살리는 코칭을 이유남 교장이 전해주고 있다. 두 아이의 엄마로서 아이들이 힘든 사춘기를 겪고 엄마도 통렬하게 반성한 장본인으로서 선배엄마로서 들려주는 이야기들이 주옥같다. 엄마가 변해야보다는 부모가 변해야로 제목을 바꿨으면 좋겠지만 나름 부모로서 읽어볼만한 책이다. 주변도 돌아보고 자신의 방법이 백프로 맞지 않을수도 있다는 것을 엄마들도 깨달았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