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문학사를 보다 1 - 문학사를 바탕으로 교과서 속 문학 작품을 새롭게 읽다 한국 현대 문학사를 보다 1
채호석.안주영 지음 / 리베르스쿨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현대문학사를 보다. 리베르 출판사는 교과서도 내는 출판사로 청소년을 위한 이미지와 스토리텔링 책들로 유명한 출판사다. 예전부터 ~를 보다 시리즈에 관심이 있었고 또 아주 잘 만든 책이라는 생각을 늘 해왔다. 이번에는 한국현대 그것도 현대문학사에 대한 책이다. 여전히 많은 이미지 사진들과 술술 쉽게 읽히는 스토리텔링이 돋보인다. 수능과 고등학교 내신을 위한 국어의 문학은 매우 중요한데 문학사를 알고 보면 교과서 속의 문학 작품이 새롭게 읽힌다. 개화기에서 일제 강점기의 우리나라의 문학 작품들은 어떤 것이 있었으며 어떤 의미를 지녔는지 이 책을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이번에 티비에서 방영되며 히트를 치고 있는 미스터션샤인이라는 작품을 통해서 더욱 개화기부터 일제 강점기라는 사실상 잊혀져 가는 시대에 대해서 다시 관심을 갖는 불을 붙인김에 이 책도 청소년에게 권하기 아주 좋은 책이었다. 평소에는 읽기 싫다라고 했던 중학생 자녀에게 이번에 드디어 통했던 것이다. 한번 읽기 시작하니 진도가 잘 나가게 되었다. 이렇게 좋은 책을 부모만 읽기에는 너무 아깝다.


이인직의 '혈의누'는 내가 고등학생인 시절에도 교과서에 등장한 작품이다. 역사책이었는지 국어책이었는지는 가물가물하다. 고전 소설은 잊어라! 1906년 <만세보>에 발표한 청일전쟁을 배경으로 다룬 혈의누는 신소설이었다. 1917년에는 이광수의 무정이 발표되면서 국문학 최초의 근대적 장편 소설이 탄생하였다. 청일전쟁 당시의 귀한 사진인 전쟁에 임하는 일본군의 사진과 독립 협회 주관으로 개최된 만인공동회에 정부 대신들이 참여해 열린 집회인 관민 공동회(1898)의 귀한 사진도 수록되어 있다. 바로 여기에서 개혁안인 헌의 6조를 결의하고 고종에게 건의했단다. 그러면서 또 독립 협회를 설명하는 작은 글씨가 아래 수록되어 있다. 이처럼 하나를 알게 되면 여러가지를 엮어서 알게 해주는 방식으로 이는 금수회의록으로 이어진다. 예전 교과서를 배웠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면서 점점 빠져든다.


해에게서 소년에게의 초판본도 볼 수 있고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도 다시 한번 볼 수있다. 당시 황성신문의 발행수는 3천부였는데 갑자기 1만부로 늘었다고 한다. 바로 시일야방성대곡이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한일합방이 일어난 1910년인줄 알았는데 잘못 알고 있었다. 1905년 11월 20일자에 실렸다. 1905년 11월 18일 새벽 일본은 고종의 반대를 무시하고 을사오적을 앞세운 을사늑약이 체결된 직후였던 것이다. 동표여 동표여 하는 이 글은 지금 읽어도 울컥해진다. 이 책의 마지막까지 읽고 나니 내가 너무나 무지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미스터선샤인을 보고 당시 상황에 대해 분개하고 알고 싶어 했던 시청자들이라면 이 책도 강하게 권하고 싶다. 청소년들만을 위한 책이 아니다 우리도 읽어야 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