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벵하민 라바투트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6월
평점 :
열두 살 어느 아침. 일어나보니 엄마도 아빠도 없었다. 곧 전화벨이 울리고 엄마는 아빠가 아파서 병원에 입원했다고, 밥 잘 챙겨먹고 걱정하지 말고 있으라고 했다. 누워 있던 아빠는 엄마가 방에 들어가자 몸을 일으키며 구역질을 시작했고, 엄마는 옆의 쓰레기통을 잽싸게 가져다 대 이불을 구했고, 토사물에서 처음 맡는 쌔한 냄새가 올라왔고, 구토를 마친 아빠는 기절했고, 병원으로 옮겨졌고 오래 의식을 잃다 깨어나서는 약을 먹었다고 했고, 그제서야 위세척을 했다는 건 내가 성인이 된 후 전해 들은 이야기이다. 두꺼운 캡슐제 안에 청산가리를 채우고 삼켰는데, 할아버지 말로는 천운으로, 삼키자마자 녹거나 터지기 직전에 다시 몸밖으로 나온 모양이었다. 나중에 집에 돌아온 엄마가 쓰레기통을 한참 살폈지만 밖에 나온 위액과 섞여 녹은 건지 흔적조차 없었다고 했다. 음독 후유증은 없었지만 심해진 우울증 때문에 아빠는 정신과로 전원해서 한동안 집에 돌아오지 못했다.
3초만, 3초만 지체할 것을. 이후 십 몇 년 더 가정폭력과 주사에 시달린 엄마는 서러움과 울분이 폭발한 어느 날 그런 말을 입밖에 내기도 했다. 귀금속 세공사인 아빠는 우울증과 자살시도 이력에도 불구하고 쉽게 온갖 화공 약품과 날카로운 연장들과 화력 좋은 버너 토치램프 같은 걸 구해 쟁일 수 있었다. 집집마다 염산이나 황산이나 청산가리 같은 건 간장 소금 후추처럼 갖추는 거 아니었어? 유년기는 그렇게 불안을 넘어 위험과 공포가 일상이었다. 벗어나기 위해 몇 번의 시험 통과와 탈출극이 있어야 했다.
그런 덕인가, 전쟁과 학살과 패배 앞의 집단자살 사이사이에 등장하는 시안화합물이 친숙하게 읽혔다. 전범의 삶의 말미와 도덕감 결여된 과학자의 불행한 개인사 같은 것에 몰입하게 만드는 과거사는 싫다. 화려한 장신구를 볼 때마다 아름다움을 느끼기 전에, 새빨갛고 새파란 보석을 연마하고 반짝거리는 금은의 광을 살리기 위한 약품 몇 방울이 동네 전체를 몰살할 만큼 유독하고, 연장들은 쉽게 살갗을 베거나 뚫고, 금을 무르게 하려면 유기체 쯤은 쉽사리 태워버릴 수 있는 온도까지 올려야 한다는 사실을 먼저 떠올리는 일은 진저리가 난다.
삶을 그때보다는, 그때 내 나이쯤이던 내 부모보다는 낫게 하겠답시고 뒤늦게 수학공부도 과학공부도 시작했다. 그렇지만 겨우 삼차함수 그래프의 미분과 비율 관계 앞에서 주저 앉아 엉엉 울며 생각했다. 나는 아인슈타인이나 슈바르츠실트가 끄적여 놓고 흐뭇해하거나 절망했던 방정식의 어느 한 줄에도 죽을 때까지 다가가지 못하겠구나. 양자 역학에 대한 교양서는 그저 비유로 가득찬 시집이나 신화집, 경전 같은 걸 읽듯 그저 어떤 느낌만 받거나 받지 못하고 이해나 깨달음의 영역에는 발가락 하나 디밀지 못하겠구나.
뭐 그래도, 숫자와 기호와 공식의 세계와 끝내 화해하지도 그곳에 접근하지도 못한다해도, 내가 읽을 수 있는 언어로, 산문으로 어슴푸레한 윤곽이나마 구경시켜주는 책들이 있어 다행이다. 무슨 말인지 완전하게는 모르더라도 내내 빠져 읽을 수 있었던 라바투트의 소설이 그랬고, 평생을 바쳐 알아낸 것들을 다른 이들과 나누기 위해 저술된 과학책들이 또 그렇다. 그래서 언제 다 읽을지도 모르면서 다윈과 월리스와 칼 세이건과 제임스 글릭과 올리버 색스 등등 수많은 책들을 자꾸만 쟁인다. 이 책들 다 읽을 때까지는 독에 담근 사과든 캡슐이든 삼킬 생각은 말아야지. 매끈한 곡선과 수식들이 자꾸만 눈에서 머리에서 튕겨나가도 오래 붙잡고 아는 데까지, 하는 데까지는 해 봐야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