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400년전 7년 전쟁, 불멸의 영웅이 다가온다고 TV가 말한다. 서점에는 ‘이순신’ 코너가 따로 만들어져 있다. 대학교수가 쓴 학술적인 책부터 소설, 만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람들을 상대로 다양하게 쏟아져 나온 최근의 이순신 관련 책들이 이렇게나 많을까 싶을 정도로 쌓여있었다. 초등 학교 교정 한 켠에서부터, 광화문의 넓은 도로 한복판까지 늘 그렇게 꿋꿋하게 서 계시는 이순신 장군을 다시 문자로 부활시키는 일과 그것을 읽는 일, 그리고 드라마로 만나는 일이 순식간에 유행처럼 번져가고 있다. 주머니 속 짤짤거리는 백원자리 동전에 새겨질 만큼 누구에게나 잘 알려진 그 분에 대해서, 그리고 그 분과 짝을 이루어 남해의 바닷가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거북선에 대해서 무엇 새로울 것이 있기에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것일까.

  이순신에 대한 나의 첫 번째 기억은 국민학교 시절 무과에 응시해서 시험을 보다 말에서 떨어졌지만 버드나무가지로 부러진 다리를 묶고 끝까지 일을 마쳤다는 일화이다. 그리고 어려서부터 전쟁놀이를 좋아했으며 늘 대장을 맡았다는 유년시절과 왜군들을 용감하게 무찌른 수많은 전투 장면들이 신나게 펼쳐진 위인 만화였다. 대부분의 어른들이 아는 이야기가 이것일 것이고, 그들이 자녀에게 전하는 이순신의 모습 역시 이러했을 것이다.

  그러나, ‘칼의 노래’에 나오는 이순신은 이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지금껏 우리가 이순신의 겉모습과 외향, 그리고 그의 결과물에만 집중했다면, ‘칼의 노래’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이순신을 바라보게 한다. 적군을 맞아 싸워야만 하는 그의 속마음과 그 전쟁을 치뤄내는 과정에 집중하게 한다. 
  전쟁은 이순신 혼자 만의 것이 아니라, 조선과 일본 그리고 명나라가 관련된 아시아의 커다란 권력의 싸움이었다. 이순신은 그중 일부를 수행하는 한낱 약소국의 해군 장군일 뿐이다. 그가 감당해야할 적은 컸으나, 그의 위치는 작고 보잘 것 없었으며 연약하기마저 한 인간일 뿐이다.
  조선의 무능과 임금의 덧없는 슬픔. 그것을 극복하기위해 많은 목숨을 죽음으로 밀어 넣어야만하는 고뇌는 극복할 수 없는 절망이었다. 그리고 피할 수도 없는 절망이었다. 선택은 뻔하고 그 길은 고통과 절망을 수반한다. 전쟁이란 것은 애당초 승리라는 게 없다. 일어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다. 그러나 전쟁은 일어났고, 그 전쟁은 백성을 위해서라도 빨리 끝내야한다. 해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왜군이 다시 그들의 고향으로 돌아가고, 쫓겨난 조선의 백성이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면 끝나는 것이다. 그렇게 전쟁은 단순한 것이다. 그러나 7년 동안의 전쟁은 조선에서 돌아갈 고향을 파괴했다. 그렇기때문에 고향을 파괴한 그들을 온전히 고향으로 돌려보낼 수 없다는 분노는 강렬했다. 고향을 파괴하는 자와 파괴당하는 자 모두에게 고향은 소중하다. 파괴하는 자들은 자신의 고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 돌아가면 된다. 그러나 고향이 파괴된 자의 고통은 파괴되는 동안에도 지속되고, 파괴한 자들이 돌아간 뒤에도 지속된다. 전쟁의 단순성 앞에서 고통과 절망을 버티고 싸워온 무인과 백성들에게 전쟁의 상처는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다. 허망하게 삶의 끈을 놓아버린 수많은 목숨과 치떨리는 원한은 단순하게 되돌릴 수 있는 것이 아니기깨문이다.

  인류가 살아가면서 한번도 끊임이 없었다는 전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전쟁의 참상을  대중매체를 통해서 생생하게 바라보고 있는 지금, 우리는 또 다른 파괴자의 편에서 서서 다른 이의 고향 땅에 군대를 보내고 있다. 다른 나라로 향하는 우리의 병사를 바라보는 눈들은 다양한 생각을 한다. 그러나 그들이 수행하는 전투의 외적인 결과물에 관심을 갖기보다는 그들의 전투가 어떤 희생을 가져오며, 그들의 전투가 그 곳 고향 사람들에게는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지는가를 곰곰이 생각해보기를 바란다.
  이 책은 어떤 정치적 목적을 위해서 쓰인 책은 아니다. 그저 인간 이순신의 참다운 모습을 복원하고 싶은 의도였을 것이다. 그러나 단순하게 인간 이순신의 면모로만 읽어지지가 않는다. 그 뒤에 숨은 권력의 힘 앞에 절망한 인간 이순신. 그를 절망하게 한 권력의 무능함과 부도덕함을 지금의 현대 사회에서도 발견하고 말았다.

  간결하고 냉정한 문장이 읽는 이의 마음을 베고 슬픔과 분노로 물들인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uperfrog 2004-08-16 15: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밥벌이의 지겨움을 사 두고는 아직 표지를 넘기지 못했네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김훈과 칼의 노래.. 아직 한 권도 작품을 읽지 않았으면서 이렇게 많은 이야기를 듣게 된 작가는 처음이 아닌가 싶습니다. 조만간 김훈을 읽게 되겠지요.. 추천 하나 합니다..^^

메시지 2004-08-16 1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물장구치는금붕어님 감사합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그 문체는 깊습니다. 짧고 냉철한 문장들은 많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간결하면서도 깊은 울림이라고 해야할까요. 저의 아내는 그래서 오히려 꺼려진다고 하는데 전 그런 문체가 참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파란여우 2004-08-16 2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아...이순신의 칼날에 김훈의 감성에 감동 받으신 모양입니다.저도 이 책 읽었지만 리뷰는 좀 더 생각을 우려 낸다음 쓰려고 차일피일 미루다 오늘까지 그럭저럭 왔다는...^^ 개인적으로 김훈의 필체는 마음에 들지만, 김훈의 감성은 그리 높이 사지 않는 편이라서요..물론, 제 사견입니다만....복귀 하신 후 첫 리뷰라서 더 반갑습니다...

마냐 2004-08-17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이네요....아직 읽지 않고 버티는 책이라...님의 리뷰가 부담스럽습니다. 읽어라, 읽어봐라...너 뭐하니...이런 목소리가..^^;;

메시지 2004-08-17 11: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란여우님께서는 생각을 우려내시는군요. 어쩐지 리뷰가 깊은 숙성의 맛을 낸다싶었습니다. 저도 생각을 우려내는 연습을 좀 해야겠네요.
마냐님, 가끔 별로 땡기지 않는데 안읽어보고 버티기는 힘든 책들이 있긴 있어요. 저도 저 책을 미루고 미루다가 읽었답니다. 막상 읽고나니 잚했다는 생각입니다. 다른 분들의 추천에는 이유가 있구나싶습니다. 읽는 기간도 조금 길었습니다. 문장이 짧지만 쉽지는 않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