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순한 열정 (무선) -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9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9
아니 에르노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1월
평점 :
종종 내 이야기가 소설로 나오면 잘 팔릴 거라는 생각을 했다. 사연 없는 사람이 있겠냐마는 내 사연들도 꽤나 복잡하고 다이나믹 했더랬다. 지난 과거에 경험하고 느낀 것들이 지금의 글쓰기 활동에 엄청난 보탬이 되고는 있다. 왜 사람들은 자신의 발자국을 남기고 싶어 할까. 멜로디를 만들고 설계도를 그리고 비디오를 찍고 나무와 돌을 깎고. 나는 이런 행위들이 내가 더 나일 수 있게 만들어준다고 생각했었다. 지금은 그저 예술가의 혼이 나를 가만두지 않는 단순한 이유가 아닐까 싶다. 여튼 다양한 형태의 예술 가운데서 유독 문학은 대중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분야이다. 아무래도 글이란 게 누구나 쓸 수 있다 보니 상대적으로 만만해 보일 테고, 그래서 누구나 엄한 잣대를 쉽게도 들이대는 것이다. 그런 자들에게 속 시원하게 반박하고 일침을 놓는 프랑스 작가의 작품을 읽었다. 이 분은 문학에 대한 선입견들을 타파하고 예술에 대한 시각을 뒤집어놓았다.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을 소개해본다.
나는 외국인 유부남과 만나고 있다. 연락도 잘 없고 언어도 좀 안 맞지만 열렬히 그를 사랑한다. 내 삶에서 그 사람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내 시간들은 오롯이 그에게 바치는 시간이어야 한다. 나의 존재는 그의 몸을 가졌을 때 비로소 의미를 지닌다. 그와 떨어져 있는 이 순간에도 나는 내 사랑에 열정을 다한다. 그럼에도 그의 연락은 갈수록 뜸해지고 있다. 이제 내가 싫어서일까. 아니면 입장이 곤란해서일까. 사랑하는 마음 외에 버렸던 것들이 어느덧 제자리를 찾아간다.
사랑에 막 눈을 뜬 사람처럼 안절부절하며 벅차오르는 감정들을 두서없이 작성한 일기장의 느낌이다. 사실 한국에서는 유부녀의 바람난 이야기가 그리 매혹적이거나 끌릴만한 서사는 아니다. 아직까지는 한국의 정서적인 이유도 있고 하니까. 그런데 이 책은 금지된 사랑을 다루고 있음에도 전혀 불편한 기분이 안 든다. 사랑에 흠뻑 젖은 주인공 시점으로만 썼기 때문에, 그녀의 허리케인 같은 감정 씬 외에는 어떤 것도 개입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독자들은 그녀의 순수하고 열정적인 사랑에만 집중하게 되는 것이다. 딱 필요한 부분만 조명해주는 일인칭 플롯을 고른 건 탁월한 선택이었다.
금지된 사랑이 위험한 이유는 외부에서 오는 방해가 아니라 스스로를 갉아먹어 피폐하게 만드는 내부의 요인이 더 크다. 내가 사라져가는 그 감정, 겪어본 사람은 무슨 말인지 잘 알 거다. 사랑은 서로의 눈높이가 같을 때에 유지된다. 그런데 자신을 너무 낮추고 상대를 높게 여기면 그건 사랑이 아니라 동경이 돼버린다. 그런 상황에 중독되면 주인공처럼 자존감이 바닥을 치게 되므로 일상생활마저 불가해진다. 사랑 외에 다 갖다 버린 그녀가 기댄 곳은 글을 쓰는 행위였다. 그가 읽어주길 바람도 아니고, 자신의 슬픔을 달래기 위함도 아니었다. 대상도 목적도 없는 말 그대로 기록용 글쓰기를 하는 그녀, 그리고 책 밖에서 같은 글을 쓰는 아니 여사님.
살면서 겪었던 일들과 경험으로 작품을 쓴다고 유명한 작가더라. 자신의 성장과정이 모티프인 모든 작품은 자전소설이나 마찬가지이고, 이 책의 주인공도 작가를 그대로 빼다 박았다. 이 작품으로 자신의 불륜을 만천하에 공개한 셈인데, 그녀는 커다란 손실보다 작은 이익을 택하였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아니 에르노는 자신의 글이 ‘문학다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남들이 알아주지 않는 자신의 방식이 문학에 어떤 진보를 가져다줄 것을 예견하지 않았나 싶다. 사실은 나도 이 책에 어떤 깊이와 멋스러움이나 문학성을 발견하지는 못했는데 의도를 알고 나니 작가의 글쓰기 철학에 존경심이 생겼다. 이런 걸 보면 예술의 기준은 종이 한 장에 불과한 것이 맞나 보다.
나는 이 책을 한 여인의 이야기보다 자신을 알아가는 글쓰기 쪽에 더 흥미를 갖고 읽었다. 작품 해설에는 자아의 상실을 다룬 책이며, 주인공과 작가가 글쓰기를 통하여 자아를 재확립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 말에 나는 작가가 성냥개비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되었다. 온몸을 다 태워서 불을 밝히고 이어 조용하게 사그라드는. 온갖 풍파를 겪어온 그녀에게 단순했던 것은 사랑하는 것과 글을 쓰는 행위뿐이였을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내가 건조한 문체를 안 좋아해서 별점은 높게 못 주지만 꽤 신선하게 읽었다. ‘소설에 대한 전쟁 선포‘를 했다던데 과연 그에 맞는 개성을 보여주었고, 이내 다른 작품들도 읽고 싶어졌다. 그녀가 자부하는 ‘문학다움에 미치지 못하는 글‘이 가진 개성과 위력을 알게 된다면 현대의 문학도 한걸음 더 진보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