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2년생 김지영 ㅣ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나는 아직도 이 책이 서점에 처음 놓여지던 날을 기억한다. 그때 민음사에서 책에 걸맞는 디자인으로 표지를 한 젊은 작가 책을 여러권 출간했다. 나는 모두 다 읽고 싶었고 특히 이 책의 표지를 오래 만지작거렸지만, 당시 나는 책 읽는 속도가 너무 느렸고 볼 책들은 너무 많았다. 다음에, 다음에가 몇 번 쌓인 사이 책은 이미 입소문을 타고 베스트셀러가 되어있었다.
과연 김지영 신드롬이 일어날 만했다.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았고 다큐보다 더 다큐같았다. (실제 김지영 다큐도 방송되었고, 다큐 느낌이 든 이유는 작가의 이력과 우리 사회의 현실이 잘 설명해줄 것 같다.) 너무 공감이 가서 짜증이 났고 울고 싶어졌다. 나도 결혼하고 애만 낳지 않았을 뿐, 아직도 집안과 사회에서 변하지 않고 박혀있는 사상들에 싸우고 있는 김지영이었다. 하지만 역시 결혼과 출산, 육아를 겪고 있는 우리시대의 김지영들의 이야기에는 견줄 수 없겠지.
책을 조심스레 넘기며 다 읽고, 이 책을 읽고 싶다 했던 친척동생에게 보내줄까 라고 물어봤다. 이미 책을 샀다고 말하는 동생에게 너무 공감된다고 잘 읽으라고 말하며 생각해봤다. 친척동생도 이 이야기를 자신의 얘기처럼 공감하며 읽을까? ...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잠시 스쳤는데, 점차 이 책이 그렇게 변해갔음 좋겠다는 생각이다. 읽으면서 깜짝 놀랄 정도로, '이럴 때가 있었어?', '하긴 예전에는 그랬지?' 이런 말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사회가 변하고 체제와 생각들이 변하면 좋겠단 바람이다.
‘세상이 참 많이 바뀌었다. 하지만 그 안의 소소한 규칙이나 약속이나 습관들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세상은 바뀌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