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일곱 가지 교육 미신
데이지 크리스토둘루 지음, 김승호 옮김 / 페이퍼로드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 변화에 가장 둔감하고 변하지 않는 곳이 학교라고들 한다. 그러나 요즘의 학교는 과거와 무척 많이 달라졌다. 우선 교실 책상 배치를 ㄷ 자 형으로 하여 교사가 학생들의 앞이 아닌 학생들 가운데로 들어가게 만든 학교가 많아졌다. 물론 가장 중요한 변화는 수업이다. 과거 한 시간 내내 교사 혼자 설명하던 방식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수업을 거쳐, 요즘에는 학생들이 말하고 움직이며 배움을 실천하는 수업이 많아졌다. 이런 수업들은 배움중심 수업, 거꾸로 수업, 하브루타 수업, 프로젝트 수업 등 명칭과 방법은 다양히지만 핵심은 하나다. 수업의 주도권을 교사에서 학생에게 넘겨주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교사 주도의 강의식 수업을 낡은 것으로 여기고, 학생이 주도하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하는 요즘의 현상을 7가지로 나누어 미신이라 규정하고, 다양한 사례와 논리로 이러한 미신이 옳지 않음을 주장한다. 저자가 주장하는 잘못된 교육 미신은 다음과 같다.

 

1. 지식보다 역량이 중요하다.

2. 학생 주도의 수업이 효과적이다.

3. 21세기는 새로운 교육을 요구한다.

4. 인터넷에서 모든 것을 찾을 수 있다.

5. 전이 가능한 역량을 가르쳐야 한다.

6. 프로젝트와 체험 활동이 최고의 학습법이다.

7. 지식을 가르치는 것은 의식화 교육이다.

 

비판의 대상은 영국의 교육 현실이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교육이 처한 문제점과도 많은 내용이 맞닿아 있다. 자유학년제 도입으로 지필평가가 사라지고, 그 자리를 다양한 진로 체험과 주제선택 활동으로 채우면서 학력 저하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선 그 역량의 바탕이 되는 장기기억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 장기기억은 지식 습득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한다. 인터넷에서 많은 정보를 순식간에 찾을 수 있지만 그 정보와 관련된 장기기억이 없다면 정보를 이해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으니 활용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생활에 전이 가능한 역량을 기르기 위해선 반드시 지식 습득이 필요하고, 학교에서 교사가 주도하여 지식을 가르치는 과정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한다.

 

만약 학교에서 지식 습득을 소홀히 한다면 그나마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고급 지식을 접할 수 있는 상류층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취약계층 아이들 간에 학력 격차가 커진다는 점도 지적한다. 최근 우리사회의 빈부 격차 심화, 수저론 확산 등이 이러한 교육 변화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마음이 무거웠다.

 

또한 흔히 21세기에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문제해결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와 인간관계 능력 등은 과거에도 중요하게 여겼던 역량들이며 21세기에만 필요한 능력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며 지식 없이는 창의력도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나는 저자의 생각에 100% 동의하지는 않는다. 확실히 교사 주도의 강의식 수업을 할 때에는 무기력하던 아이들이 활동 중심 수업을 할 땐 생기있어지고, 의외의 발상을 내놓는 경우 또한 허다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그 아이들에겐 활동중심 수업이 수준낮은 지식이나마 습득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인 셈이다. 그러나 많은 부분 저자의 주장이 오늘날의 교육 문제를 진단하는 데 일리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균형... 교사와 학생 사이에서 수업의 균형을 찾는 게 모든 교사의 숙제이다.

 

 

학교에서 지식 교육을 축소하거나 경시하게 되면 우리 사회의 비민주성과 불평등성은 증가하게 될 것이다. - P199

편견은 지식이 아니라 무지에서 나온다. 편견을 없애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질문이 아니라 지식이다. 사실적 지식을 알고 있지 못하면 질문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