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Paperback)
밀란 쿤데라 지음 / HarperPerennial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와. 개가 웃어!“


우리 무명이를 보는 사람들의 낯설지 않은 반응이다.

무명이는 정말 웃는다. 


순수한 열정으로 테니스 공을 쫒아 달려가서는 내 앞에 툭, 떨구고 다시 던져달라며 환하게 웃는다.

나는 그 어처구니 없는 환한 미소에 완벽하게 무장해제된다.


마음껏 달릴 수 없는 집안에서는 공놀이 몇 번에 금방 시들해지곤 하지만, 경계 없는 잔디밭에선 풀어놓은 말처럼 뛸 때는 한 시간이고, 두 시간이고 말 그대로 무릎 십자인대가 끊어질 때까지 놀아도 지치지 않는다. 똑같이 웃는다. 바람에 실린 꽃향기를 맡느라 잠시 하늘을 향해 코를 킁킁 거리기도 하고, 애써 가져온 공을 친구가 뺏어가도 참을성 있게 기다리고, 너무 뛰어서 숨이 찰 때는 잠시 혀를 내밀고 숨을 고르기도 하지만, 공놀이만큼 순수하게 사랑할 수 있는 것도 없다. 아, 있다. 고기. 고기라면 공 따위는 던져버리고 고기 앞으로 가, 가 되는구나. 하지만 고기 조차도 이기지 못하는 것이 있으니 바로 사람이다. 함께 놀고 싶은 사람이 있으면 고기 따위도 안중에 없다. 한창 놀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 껴서 자신도 놀아야 하는 우리 무명이는 고기로 유인해도 꿈쩍하지 않는다. 고기보다 좋은 게 사람들과 어울려 노는 거라나? 순서로 치면 공 > 고기 > 사람인 셈이다. 정확히 말하면 함께하고 싶은 사람. 무명이는 그렇게 견생에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그대로 행동한다. 


인간만이 사랑의 의미를 두고 갑론일박을 벌인다.


그리고 저들의 생각으로 동물의 생각을 읽어내려고 안간힘을 쓴다.


<철학자와 늑대>의 저자 마크 롤랜즈는 인간은 시간을 직선으로 파악하고 개(또는 늑대)는 일직선이 아닌 원을 그린다고 추측한다. 우리는 시간의 화살에 매이길 거부하며 끊임없이 일탈을 꿈꾸며 행복을 바라지만 늑대는 각 순간들이 그 자체로 완전하다고 본다고 가정한다. 브레닌(그가 개인 줄 알고 입양한 늑대)에게 물어보지 않았으니 그저 관찰한 것으로 추론할 뿐이다. 거기에 니체의 영원회귀 개념이 등장하고, 니체의 영원회귀를 소설의 도입부에 떡 하니 가져다 놓은 쿤데라가 연결된다. 그리고 쿤데라에게 명성과 부를 안겨준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마지막 장은 ‘카레닌의 미소’다. (카레닌은 남자 주인공 토마스가 자신에 대한 사랑 또는 집착을 희석시킬 요량으로 테레사에게 선물한 개. 테레사는 그에게 두 사람이 처음 만날 때 그녀가 들고 있던 책 <안나 카레니나>의 ‘카레니나’에서 따온 이름을 붙이고 싶어하지만 토마스는 그렇게 생긴 개에게, 여자 이름을 붙일 수 없다며 카레니나의 남편 성을 따라 ‘카레닌’으로 명명할 것을 주장한다.) 


자신의 약함으로 자신보다 강한 토마스를 길들이고, 테레사가 없으면 죽을 것 같은 감정을 감히 사랑이라 부를 수 있을까 생각했던 토마스는 끊임없이 다른 여자와 관계한다. 네 명의 남녀가 사랑을 둘러싼 끊없는 모험을 펼치고 난 후 그들은 카레닌과 똑같이 평등하게 맞이하는 건 결국 죽음이다. 그리고 그들이 펼친 사랑이라는 모험은 테레사와 카레닌, 정확히 말하면 카레닌이 테레사를 향한 사랑 앞에서 다들 조금씩 모자라 보인다. 결국 완전한 사랑이란 복잡한 감정과 생각, 계산과 어리석음으로부터 자유로운 개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인가. 나는 모른다. 카레닌에게 물어보지 않았으니. 다만 죽음이 임박한 순간에서도 테레사를 보고 미소지을 수 있는 카레닌을 떠올리며 눈시울이 붉어질 뿐이다. 


“브레닌은 나에게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 모든 계산이 실패할 때 남는 내 본연의 모습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다. 계획했던 모든 것들이 좌절되고, 거짓으로 지껄이던 말들이 목에 걸려 나오지 않을 때 말이다. 결국 끝에 가서는 철저하게 운만 남는다. 그리고 신들은 운을 주었을 때처럼 언제든지 앗아 갈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운마저도 다했을 때 남겨질 나 자신이다.”

- <철학자와 늑대> 중에서 


자발적 실종을 선택한 작가 쿤데라의 영면 소식은 아직 접하지 못했다. 29년생, 94세가 훌쩍 넘은 나이일텐데, 건강과 안부가 궁금하다. 평생 도청과 감시에 시달리다가 스스로 선택한 망명, 그리고 알려지지 않았으나 비교적 최근에 이뤄진 국적 회복, 프랑스 문화 권력과 애증의 관계, 작은 언어를 쓰는 나라의 사람으로써 큰 언어를 쓰는 나라의 언어로 세계 독자와 만난 그가 보여주었던 거대한 문학의 세계. 카프카는 자신의 작품을 독일어로 썼다. 쿤데라는 체코어로 쓰다가 나중에는 프랑스어로 발표하기도 했다.(그것이 화근이 되긴 했지만) 그리고 자신의 검수를 거치지 않은 번역본에 대해 선을 그었다. 번역에 의해 그의 문체는 장중한 바로크체에서 간결한 미니멀리즘을 오고갔기 때문이다. 


그런 우여곡절 많은 그의 글을 영어로 읽었다. 체코어나 프랑스어를 읽고 쓰지 못하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는데, 솔직히 수십 년 전 읽었던 한글본과 너무 다른 소설이었다. (내가 달라진 건가?) 영어가 가진 간결함이 그의 문체와 제법 어울리는 듯했다. 뭔가 말단 부분이 깎여나간 메타 언어로서의 번역 언어가 주는 중간지대 느낌이 오히려 편했다고 할까. 과연 내가 과거에 읽은 그 책이 이 책이 맞나 싶을 정도로 몰입해서, 열광하면서, 무릎을 치며 읽었다. (읽기 쉬워서 그랬나?) 프랑스어로 읽으면 어떤 맛이 날까 궁금해졌다. 하지만 영어공부도 힘든데 프랑스어까지는 좀… 작작하라며 스스로를 말렸다. 잠깐만…. 영어 좀 수월해지고 나면, 그러고도 힘이 남아있으면, 주체할 수 없을 만큼 궁금해지면 그때 만나자. 


오늘 아침 신나게 공놀이하고 온 무명이가 구수한 냄새를 풍기며 천사처럼 자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학자는 왜 차크라를 공부할까 - 오래된 지혜 차크라와 현대 심리학의 만남
박미라 지음 / 나무를심는사람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도 과학이고, 요가도 과학이다. 모호했던 차크라 개념을 정신생리학, 융의 분석심리학, 윌버의 통합심리학의 렌즈로 줌 인&아웃하며 균형잡힌 차크라 이해를 돕는다. 이보다 좋은 차크라 입문서가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rave New World (Paperback) - 『멋진 신세계』 원서 Vintage Classics 360
Aldous, Huxley 지음 / Vintage New Ed edition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노가미와 프리섹스의 대립항은 좀 구식이나 여전히 유효한 질문(고통과 문제가 사라진 사회는 과연 행복할까? 등)을 곱씹어 볼 만한 고전. 평면적(특히 여자인 경우)이거나 단순한 인물 묘사는 시대적 한계라고 해두자. 하지만 그 시대에 지금과 놀랄 만큼 유사한 사회를 생각한 건 놀랍지 아니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의 역사 - '공무도하가'에서 '사랑의 발명'까지
신형철 지음 / 난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형철의 글을 다 읽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건 처음이다.
가장 정결한 시간을 골라 천천히 조금씩 읽었다. 
그렇게 정성을 다한 것도 처음이다.

그의 글을 읽고 글쓰기가 어려워졌다.
제멋대로 끄적이는 것이 지금 쓰는 글의 본령이라고 여기고 있지만,
멋대로 끄적이는 것조차 함부로 던지는 공이나 화살처럼 여겨진 탓이었다.
글을 쓰는 데 그렇게나 ‘노오력’을 다하고 ‘최애선’을 다해야 하나?
부러 심술궂은 마음이 들기도 했다.

기실 신형철은 좋아하는 카테고리에 속해있지 않은 사람이었다.
그의 문장력이야 널리 알려질대로 알려진 일이었으나
그의 명성에 이끌려 선택한 책들이 기대감을 충족시켜주지 못했고,
(엄청난 걸 기대했다가 짧은 감상문에 놀랐다고나 할까?)
가지고 있는 권력에 비해 견지하고 있는 침묵이 불편하게 다가오기도 했다.

그리고 박서보 표지라니!
나는 문학계에서 그의 권력 못지 않게 미술계의 박서보의 위상이 서로 접점을 찾았다는 게 
경악스러웠다. 
아무튼, 누구든 믿을 만한 사람에게는 지갑을 여는 법이니까.
표지에 그만큼 투자(?)할 수 있을 만큼 신형철의 책은 팔리는 책이니까.
당연한 사실이 씁쓸하게 다가오는 건 내 꼬인 정서 때문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해석에 기대어 익숙한 시들, 혹은 처음 보는 시들을 다시 보았다.
얼마간 고마워했고, 얼마간 숙연해졌다.
‘좀 알겠다 싶으면 당신은 아직 모르는 것이고, 어쩐지 점점 모르겠다 싶으면 당신은 좀 알게 된 것이다’는 말은 함부로 떠들지 말라는 충고처럼 들렸다. 

도대체 왜 쓰는가.

나는 자신의 감정 상태를 떠벌리는 이야기 앞에서 진저리를 친다.
여행이 특히 그렇다. 아무도 경험하지 않은 이야기들을 마치 저 홀로 처음 세상을 마주한 것처럼
잔뜩 열에 뜰떠 늘어놓는 찬사에 싸늘해진다. 
허나 가장 먼저 수첩을 열고, 자판을 누르고 싶어지는 때는
그렇게 나에게 둔중한 충격으로 밀고 들어오는 어떠한 사건, 충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떤 이는 그걸 애써 덤덤하게(비록 그것이 가장 절망적인 것일 지라도),
어떤 이는 한껏 부풀려(그것이 아무리 작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것일 지라도),
문자라는 도구를 빌려 남겨 놓는다.

쓰기는 자신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타인을 향한 것인가. 
쓰기라는 행위를 통해 우리가 얻고자 하는 보상은 과연 무엇인가.

기초적인 질문에 시라는 형태를 빌어 자신의 삶으로 답변했던 시와 시인들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그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거의 아무 것도 읽어내지 못했을 거라는 의미에서 나는 어쩌면 문맹이다. 

시를 읽는 일이 이렇게 어려운 일이었던가?

“누구도 시인들만큼 잘 묻기는 어렵다. 나는 그들로부터 질문하는 법을, 그 자세와 열도와 끈기를 배운다. 그것이 시를 읽는 한 가지 이유다. 인생은 질문하는 만큼만 살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누구도 똑같은 시를 쓸 수가 없다. 
우리 모두 각자 다 다른 시인이자 작가인 이유다.

신형철의 글에 비록 머쓱해지고, 부끄러워지더라도,
어쩌면 일기장 한 구석에나 적어놔야 하는 끄적임에도 불구하고 어딘가에 누가 보라고 적어놓는 이유는, 지금의 내가 끄적일 수 있는 만큼이기 때문이다.

‘혁혁한 업적’을 열망하는 마음을 내려놓고,
오늘의 초라한 나와 마주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3-03-13 17: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달의 당선작 축하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나뭇잎처럼 2023-03-14 10:24   좋아요 1 | URL
축하 감사합니다. 게을러질 때마다 한번씩 일깨우네요. 서니데이님도 다가오는 봄 만끽하시기 바랄게요. ^^
 
The Road To Wigan Pier (Paperback)
George Orwell / Repro Books Limited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르주아 계급에서 태어나 노동자 계급의 수입으로 살아가는 조지 오웰이 탄광촌의 실상 취재 청탁을 받아 시작한 글이다. 5년 동안 식민지에서 점령국의 경찰 생활을 하면서 (지독히도 싫어하는 일을 견디면서) 빼앗긴 사람들, 억압받는 사람들에 대한 각성은 영국 전체를 강하게 사로잡고 있는 계급의식, 다른 계급에 대한 적대감에 대해 더, 더 깊이 들어가도록 추동했던 모양이다. 뭐, 그렇게까지…,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좁아터진 집구석에서 한 침대에 성인들이 구겨져 잠을 청하고, 임산부가 화장실을 가기 위해 매번 골목 끝까지 돌아서 가야 하는 집, 탐욕스러운 집주인들이 밑바닥 계급 사람들에게 내놓은 집을 구석구석에 현미경을 들이대는 그의 모습에 ‘집요함’과 ‘근성’은 물론, 부랑자들이 머무는 숙소에 위장 잠입하면서 그들에게 두들겨 맞지 않을까 걱정했던 자신의 품에 술 취한 누군가 ‘차 한 잔’ 하라며 쓰러지는 모습에 무장해제당하는 모습은 지극히 연민이 가득한 ‘인간’으로 느껴진다.

인간이 인간에게 갖는 적대감의 시작이 냄새에서 시작되고, 그 냄새의 원인을 주관적인 감상이 아니라 실체적인 근거를 찾기 위해 그들과 함께 생활하는 모습은 책상에 앉아 책으로 계급의식을 상상하고, 소파에 앉아 불평등 문제를 논하는 ‘Parlour Bolsheviks’들을 움찔하게 하는 힘이 있다.

If I want real contact with him, I have got to make an effort for which very likely I am unprepared. I have got to suppress not merely my private snobbishness, but most of my other tastes and prejudices as well.

누군가를 이해하는 건 우주를 이해하는 것만큼이나 광대한 이해력을 요구한다.
자아가 강하고, 가진 원칙이 강할수록,
알고 있다고 자부하는 지식과 뿌리 깊은 퍼셉션이 강할 수록,
그 벽을 깨고 나오기란 우주를 접는 일만큼이나 어렵다.

누군가를 이해하기 위해서, 무엇인가 알기 위해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원하는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미처 자신이 준비되지도 않았다는 불안감과 의심마저 극복하면서,
발바닥으로, 손바닥으로, 온몸으로 한 줄 한 줄 남긴 그의 기록에 박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사회주의자들이 자신들보다 못한 사람들이라고 해서 사회주의를 거부하는 건 티켓 검수원 얼굴이 맘에 들지 않는다고 기차 여행을 거부하는 것처럼 얼척 없다고 하는 건 타고난 유머 감각인가?

To recoil from Socialism because so many individual socialists are inferior people is as absurd as refusing to travel by train because you dislike the ticket-collector’s face.

기계화의 함정을 알면서도 기계화를 거부하는 것에서 답을 찾을 수 없다고 보았던 그의 생각에서
기술사회에 대한 생각의 단초를 얻는다. 좀 대충 읽었던 <1984>를 다시 읽어야겠다는 생각도 들고. 아직 읽지 않은 <멋진 신세계>를 찬찬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도 들고….

HE LIKED WIGAN VERY MUCH - THE PEOPLE, NOT THE SCENERY.

가장 맘에 들었던 문장.





노동자, 사회주의, 계급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ersona 2023-01-01 17: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이 펭귄보다 표지가 더 주제를 잘 드러내는 느낌이에요. ㅎㅎㅎ

나뭇잎처럼 2023-01-01 17:41   좋아요 1 | URL
아 새해 맞아 잘해보려고 서재 정리하다가 리베카 솔닛 관련 글을 실수로 모두 삭제하고 말았어요. 이건 원복하는 방법 없겠쥬? ㅜㅜ 하.. 예전에 그냥 생각 없이 읽었던 책, 마치 읽은 것처럼 착각이 드는 책, 읽으려고 벼르다가 결국 못 읽고 만 책... 올해는 고런 책들 위주로 함 읽어보려고요. ^^ 글게요. 저도 저 선명한 빨간색에 끌려서 뽑았다지 말입니다. 풍경이 아니라 사람을 만나러 가는 여행. 아아주 먼 기억처럼 느껴지네요. 덕분에 잉글랜드 구석구석을 돌아다닌 느낌이 들었답니다. 퍼르소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persona 2023-01-01 17:42   좋아요 1 | URL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persona 2023-01-01 17:43   좋아요 1 | URL
아고 아까워서 어째요. ㅠㅠ

나뭇잎처럼 2023-01-01 19:31   좋아요 1 | URL
새해가 되었으니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라는 뜻으로 삼으려고요. ㅋㅋ ㅜㅜ 새해에도 열독하시길요^^

persona 2023-01-01 20:04   좋아요 1 | URL
파이팅이요! 새해에는 그만큼, 아니 더 좋은 글들 많이 쓰실 거에요! 기다릴게요! 좋은 책들 많이 만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