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기한 식물일기 ㅣ 리네아의 이야기 3
크리스티나 비외르크 지음, 레나 안데르손 그림, 김석희 옮김 / 미래사 / 1994년 12월
평점 :
아이들은 궁금해 합니다. 과일을 먹고 나면 남는 씨를 보면서 말이지요. 엄마, 이거 땅에 심으면 다음에 과일이 날까? 수박을 먹다가도 포도를 먹다가도 자두를 먹다가도 묻습니다. 아이의 성화에 못 이겨 아파트 화단 구석에 경비 아저씨 몰래 씨를 심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이렇게 멋진 원예책을 만났습니다. 처음엔 그저 간단한 식물이야기겠거니 했지요. 흠~ 하지만 이 책은 단순한 동화책이 아닙니다. 이것은 리네아라는 소녀의 아주 사랑스럽고 섬세한 원예노트입니다.^^
반신반의하며 먹던 과일의 씨앗을 아이들과 아파트 화단에 심었었지만 리네아의 설명을 보니 정말 우리가 먹고 남은 과일의 씨앗으로도 싹을 틔울 수가 있네요. -아파트 화단에 싹이 나서 과일나무가 자랐냐구요? 아쉽게도 그런일은 일어나지 않았지요. 아마도 너무 그늘진 곳에 심어서 그랬나 봐요. -__-
이 책에서 재미있게 본 것은 바로 콩 올림픽이예요. 각각의 콩에 이름을 붙여주고 그것들의 싹 트는 시기와 자라는 정도를 겨뤄보는 것이지요. 참, 아이다운 발랄한 생각입니다.
또 하나 흥미롭게 본 것은 봉선화이야기였어요. 친정집에서 얻어 온 봉선화 화분이 있었는 데, 작년 가을엔가 얻어왔었지요. 겨울에도 거실에서 꽃을 피우는 것이 참 신기하고 기특하여 예뻐했던 화분이었지요. 그런데 겨울을 넘기지 못 하고 줄기에 하얀 곰팡이 같은 것이 껴서 죽고 말았어요.
리네아의 기록을 보니 봉선화는 거의 일년 내내 꽃을 피운다고 합니다. 그래서 '바쁜 리지'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지요. 겨울에도 20도정도가 유지 되면 꽃이 핀다고 해요. 가끔 꽃 봉오리가 맺혔다가 피지 못 하고 떨어지기도 했는 데 아마도 낮에만 난방을 했던 거실 온도가 봉선화에게는 모자랐었나 봅니다.
또 봉선화는 해충이 잘 생긴다고 합니다. 햇살이 너무 강하면 진드기가 생기고 공기가 너무 건조하면 진딧물이나 온실가루이가 생긴다고 해요. 아마도 그 하얀 곰팡이가 온실 가루이가 아니었을까 싶어요. 겨울철 아파트의 거실은 가습기를 틀어야 할 정도로 건조하니까요.
이 정도면 단순한 식물책은 아니지요? 저에게 이만큼 유용한 원예정보를 주었으니까요. 그 밖에도 원예의 기본 지식을 상세히 알려주고 있습니다. 물 잘 주는 법이라든지, 집 비울 때 물 주기, 비료 주기, 작은 정원 만들기,해충이라든지, 화분갈이라든지 기초적인 화분 가꾸기에서부터 구근의 구조, 식물을 통한 물의 순환, 씨앗을 이용한 놀이의 소개, 씨앗을 이용한 요리, 꽃 잎 물들이기를 이용한 선물 만들기, 마지막으로 식물의 건강진단법까지.
정말 멋진 초보를 위한 원예 지침서가 되어 줄 것입니다. 아이들과 엄마에게 식물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또 손쉽게 실천할 수 있게 해 주는 책입니다.
이 책을 알라딘 곳곳에서 보다가 보관만 해 놓고 구입은 미루고 있었는 데 다른님의 페이퍼에서 봤던 듯 싶은 데 기억이 안 나네요. 그리고 가을산님의 예쁜 싹들도 이 책의 그림들 위로 겹쳐지곤 했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