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노량진에는 머무는 사람보다 지나가는 사람이 많았다. 혹 오래 머물더라도 사람들은 그곳을 '잠시 지나가고 있는 중'이라 생각했다. 그것은 나도, 재수생 언니도, 민식이도, 총무오빠도 마찬가지였다. 사람들은 알고 있었다. 그렇게 '지나가는' 곳에서의 생활, 관계가 어떤 것인지를. 나는 거리나 지하철에서 나와 같은 사람을 알아볼 수 있었다.
... (중략)
2005년 가을. 사람들 틈에 끼어 서울의 불빛을 바라봤다. 그리고 노량진의 이름을 생각했다. 다리 량(梁)자와 나루터 진(津)자가 동시에 들어간 곳. 1999년 내가 지나가는 곳이라 믿었던 곳. 모든 사람이 지나가는 곳. 하지만 그곳이 정말 '지나가기만' 하는 곳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7년이 지난 2005년 지금도 나는 왜 여전히 그곳을 '지나가고 있는 중'인 걸까.
김애란 <자오선을 지나갈 때> (창작과 비평, 2005년 겨울호)
......................................................................................................................................................................
2009년 여름-가을-겨울초입은,
나에겐 위 단편소설의 노량진이 서소문이나 명동으로 대체될 수 있던 기간이었다.
3주간의 답답한 시간이 겨우 지나 부분합격의 결과를 받아들었다.
시험이 끝나던 일요일, 내리던 비를 맞으며 귀가하던 몹쓸 기분에 비해선
분명히 기대이상이긴 했다. 그런데 합격이라고도, 불합격이라고도 말하기 애매한
그 지점에 걸린 500 명 중의 한명이 되어, 나는 김애란의 표현대로
"여전히 지나가고 있는 중"이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