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도 안 한 데다가, 그래서 잔뜩 바가지욕을 몰아 먹은 데다가, 시험전날도 밤새 인터넷하고 당일 아침엔 8시까지 늦잠을 잔 경우가 되니, 어제까지의 항전결심은 온데간데 없고... 본능적으로 토요일 아침의 강렬한 휴식의 유혹에 시험응시를 포기하는 마음으로 굴러갔지만... 아내의 택시 불호령에 반신반의하며 집을 나서야 했고... 입실시간 거의 맞추어 고사장에 기어들어가 시험을 치르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런 몹쓸 경험도 해볼 만하다는 생각이다. 공부를 안 하고 시험을 보는 일의 처참함을 어디 가서 몇만원에 할 수 있을 것인가. 

 1교시만이라도 내가 낼 수 있는 최선의 답을 써보자고 덤벼든 게 작전상 좋았다. 그러나 계산문제는 거의 건드릴 수 없었다. 하하. 1년전 열공했던 PER도 그 간단한 공식이 명확해지는 데 5분 이상이 걸려야 했다. (이게 1교시 문제였는지도 가물가물하다. 분명 3교시는 아니다.) d1의 개념을 캐치하지 못했던 것이다. 그래도 이게 어디인가. 실업률의 분모가 무엇인지 헷갈려야 했고, 방금 전 네이버로 검색해보고 한 문제 더 틀린 걸 알게 되는 현실.  

 어제까지의 상상으로는 시험의 난이도가 1교시<2교시<3교시라 겁먹고 있었고 체력의 저하와 맞물리게 되면 이 끔찍한 90분씩 두 게임을 어떻게 견디나 하는 게 오전 11시쯤 걱정이었으나.. 오히려 뒷 교시로 갈수록 시험은 더욱 공격적으로 덤벼볼 만했다. 잘 몰라서 그랬지. 3교시는 33문제가, 솔직히 느낀 바대로 말하자면, 문제 안에 답이 있는 경우가 더러 있어 성실하게 한 문제 한 문제 집중할 수 있었다. 3시 30분 벨소리를 들으며 난 OMR 카드를 제출할 정도로 간만에 몰두하였다. 

 현충일날 까페베네에서 서너시간 공부 설렁설렁한 거 가지고 달콤한 결과를 바라겠나. '(부분합격으로라도) 붙으면 어쩌지?' 이런 생각이 든 건 그 때문이다. 사람은 자신이 들인 정성만큼 기대하는 게 바람직한 법이다. 스스로에게 민망해하면서도, 10KM 마라톤에 처음 참가해 완주하면 이런 기분이 아닐까 싶은... 더불어 2교시 후 점심시간에 동기와 만나서 한달여만에 식사할 수 있었던 일, 시험 끝나고 안동교회 작은 다실에서 상국이와 정주 자매 잠시 만난 일... 이런 소소한 사건이 같이 어우러진 것으로도 충분히 오늘 하루의 보람을 되새길 만 했다.  

또 무슨 문제가 있었지? 어떤 개념의 보완이 필요했더라? 당좌비율, 연결재무제표... 내일은 메모도 좀 해야겠다.

 

zero-castle-steel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균윌 2011-07-01 2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33 33 107 67
 

달러인덱스란,  

세계 주요 6개국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평균적인 가치를 한눈에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6개국 통화의 비중은 경제규모에 비례해 결정됩니다. 즉, 유로 57.6%, 일본 엔 13.6%, 영국 파운드 11.9%, 캐나다 달러 9.1%, 스웨덴 크로네 4.2%, 프랑스 프랑 3.6%로 비중이 정해져 있습니다. 구성비중으로 볼 때 달러-유로 환율이 달러 인덱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달러인덱스의 활용 

첫째, 최근과 같은 금융위기에는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기축통화이자 안전자산으로 인식되는 달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기 때문에 달러인덱스가 높아지는 경향이 존재합니다. 달러인덱스의 움직임을 보면 세계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도의 높낮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달러인덱스를 통해 위험자산에 대한 시장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둘째, 달러화로 표시된 원자재 가격의 방향성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달러가치 하락으로 달러인덱스가 낮아지면 달러로 표시되는 원자재 가격은 상승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셋째, 최근 주식시장을 좌지우지하는 원-달러 환율의 방향성도 달러인덱스를 통해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달러인덱스가 상승한다는 것은 달러가치가 상승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달러에 대한 원화가치는 반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달러인덱스 차트: http://stockcharts.com/charts/gallery.html?$USD 

 

written by SHINHAN BNPP 자산운용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Q. 저(고객)의 1년 생활비가 36,000천원인데 은퇴후 은퇴기간 동안 걱정없이 노후를 보내려면
(기타 소득원이 없으므로 추가 부담을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1)
현재 얼마의 자금이 필요하며,  

2) 그 자금이 없을 경우 매년 얼마나 저축을 해야하나요?

고객의 1년 생활비가 36,000천원이고, 물가상승률은 4%, 투자수익률은 6%이며,
은퇴까지의 남은 기간은 20년, 은퇴기간은 25년이라고 가정합니다.
단, 저축은 매년 물가상승률만큼 증액한다.

 

현재 36,000천원은 20년 후 78,880천원이 됩니다. (첫 번째 단계)
Tip. 빠르게 구하시려면 36,000 * 1.04^20 하면 됩니다.

20년 후부터 매년 초에 은퇴비용이 25년간 필요한데
이것을 은퇴시점. 즉, 20년 뒤의 현가로 땡기면 두 번째 단계의 계산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것은 1,583,901천원이 현재의 시점이 아닌 20년 후의 시점의 돈입니다.
반드시 기시모드 바꿔주는거 잊지 마시구요...

다시 1,583,901천원을 현재의 가치로 계산하면 세 번째 단계의 과정이 됩니다.
즉, 현재 493,868천원이 있으면 이 고객은 노후대비가 되는 것입니다. (
1번 답)

TIP: 빠르게 구한다면 1,583,901/1.06^20 !

여기서 좀 헷갈릴 수 있는게 처음에 물가상승률로 올려주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왜 현재가치로 내려줄 때는 투자수익률로 계산하느냐 하는 것이죠.
간단하게 이렇게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내 통장에 있으면 되는 돈은 투자수익률만큼 이자가 붙기 때문에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할인할 때 투자수익률로 내려주는 것입니다.
지금 내 통장에 493,868천원이 있으면 6% 투자수익률로 20년간 기다리면 1,583,901천원이 되는 것이죠.


문제는 이 고객이 현재 493,868천원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매년 얼마나 저축을 하면 20년 뒤에 1,583,901천원이 되느냐..
이것을 구하는 단계가 네 번째 단계입니다.
 

여기서 왜 다시 K율이 쓰일까요?
곰곰이 생각해보면 내가 저축하는 순간에도 이자가 붙고 물가는 물가상승률만큼 오르기 때문입니다.

참, 앞서 미래가치 1,583,901천원을 현재가치로 구할 때 기말모드로 바꾸지 않았는데
여기서 기말모드와 기시모드의 의미는 없습니다.
다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일을 하고 월말에 월급을 받기 때문에 보통 저축은 기말모드라고 가정합니다.
90%이상의 경우가 비용은 기시, 저축은 기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네 번째 단계의 PMT 값에 1.04를 곱해준 이유는  

기시에 저축을 했으면 이자가 붙었겠지만
기말에 저축을 했으므로 증액률 만큼 더 저축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2번 답)

지금까지의 과정을 반대로 생각 해보겠습니다.

 

매년 초에 일정한 가치로 나누어 사용하고자 할 때,
은퇴 첫 해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 현재의 가치로 얼마인지 알고 싶어합니다.

이것이 지하철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내가 저축하는 순간에도 이자가 붙고 물가는 물가상승률만큼 오르기 때문입니다.
참, 앞서 미래가치 1,583,901천원을 현재가치로 구할 때 기말모드로 바꾸지 않았는데
여기서 기말모드와 기시모드의 의미는 없습니다.
다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일을 하고 월말에 월급을 받기 때문에  

보통 저축은 기말모드라고 가정합니다.
90%이상의 경우가 비용은 기시, 저축은 기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네 번째 단계의 PMT 값에 1.04를 곱해준 이유는  

기시에 저축을 했으면 이자가 붙었겠지만
기말에 저축을 했으므로 증액률 만큼 더 저축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2번 답) 

매년 말에 31,178천원 만큼 증액하는 금액은 연초의 29,979천원과 같습니다.
29,979 * 1.04 = 31,178 입니다.
은퇴기간 동안 매년 초에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처음부터 기시모드의 값으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첫 단계의 로직이 20년간 증액한 자금을 현재의 가치로 계산했을 때의 금액입니다.
매년 말에 31,178천원을 물가상승률 만큼 증액한 자금이 현재의 493,868천원과 동일한 것이죠.

두번째 단계는 현재의 가치를 미래가치로 환산한 것입니다.

세번째 단계는 은퇴시점의 총 금액을 25년간 동일한 가치로 나누었을 때의 자금이며,

네번째 단계는 은퇴 첫 해의 자금을 현재의 가치로 계산한 것인데,
여기서 투자수익률로 할인하지 않은 이유는
얼마의 값어치가 있는지를 구하는 것이지,

내 통장에 있어야 하는 가치를 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이게 좀 헷갈려 하실 수 있어요. 곰곰이 생각해보시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지하철 계산의 로직인데요..
지하철이라고 부른 이유는

지하철 역에 도착해서 문이 열리고 닫힐 때까지
총 8단계를 처리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게
계산기를 두드릴 수 있어야 합격을 할 수 있다는 뜻에서
나온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미도 / 외화번역가  :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거의 10년 동안 하루 3시간씩 1만 시간을 투자해서 한 것이 있어요. 그게 영어공부거든요. 그런데 지금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는 방법이 잘못된 거잖아요. 공교육이든 사교육이든. 그러니까 이를 테면 문법만 놓고 보더라도 완성돼 있는 문장을 놓고 분해하는 공부를 했어요. 자르고 갖다 붙이고. 그래서 문법에 대한 이론은 뭐 충분히 무장돼 있는데 문법이라는 게 단어를 엮어서 문장을 만드는 법칙을 배우는 건데 사실 문법을 떼고도 문장을 만드는데 어려움이 있잖아요. 그래서 제가 권하는 방법은 시험을 위한 영어단어 공부는 굉장히 풍부하게 많이 돼 있으니까 근데 약한 점이 뭘까, 기본단어들을 활용을 잘 못해요. 그래서 예를 들면 사람들한테 아이디어가 뭔지 설명해보십시오라고 하면 전부 생각 그걸로 끝이에요. 그런데 영영사전을 보면 a picture in the mind예요. 머릿속의 그림이잖아요. 그래서 imagine이라는 동사는 to form a picture in the mind거든요. 머릿속에 그림을 그리다가 되잖아요. imagination은 the ability 또는 the power to make pictures in the mind 머릿속에 많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능력이죠. 그렇게 단어를 우리가 익히고 접근을 했다 라면 지금쯤 굉장히 문장을 잘 만들고 말을 잘 할 수가 있어요. 그런데 한글로 뜻만 익히고 그걸로 끝나버렸기 때문에 반쪽 또는 반에 반쪽 영어공부를 한 거거든요. 그래서 제가 권하는 방법은 필사즉생, 적자생존은 스토리를 적자, 그러면 산다는 뜻이에요. 미국의 초등학생용 영영사전, 미국인이 나서 죽을 때까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가장 빈도수가 높은 핵심 필수어휘가 들어 있는 영영사전을 하루에 한 페이지씩, 필사를 하면 1년만 시간을 투자하면 10년 동안 잘못해왔던 것을 바로 잡을 수 있어요. 그리고 스토리 이야기책이건 동화가 됐건 에세이가 됐건 이런 것들을 신경숙씨가 여고시절에 문학소녀를 꿈꿨을 시절에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을 그래도 베끼면서 문학공부를 하셨던 것처럼 그래서 필사즉생, 적자생존을 적극 권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Q1. 일반보험계약자를 보호하고 보험계약관리를 유지하기 위해 약관을 법률로 제한하는 법이 아닌 것은?   

1. 보험계약법 2. 보험업법 3.공정거래법 4.약관규제법 

 

Q2. 법인대리점의 법인격은?  1. 상법상 2. 민법상

 

Q3. 보험대리점의 소득신고일자는?  1. 2월 2. 5월 3. 9월

 

Q4. 계약자-남편, 피보험자-남편, 수익지-부인인 보장성보험을 가입중이다.  

남편이 사망시 수익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세금은? 1. 상속세 2. 증여세 3. 종합소득세 4. 양도소득세 

 

그밖에 "대리점" 관련 문제가 비중을 어느 정도 갉아먹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