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 문화사 - 축음기에서 MP3까지 살림지식총서 204
김토일 지음 / 살림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는 기계문명의 급속한 발다달로 인해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고 있다. LP판을 곱게 닦아 턴테이블에 올려 놓던 시절을 지나 이제는 컴퓨터에서 음악을 다운받아 MP3에 담아 듣는 시대가 되었으니 가히 놀랄만한 미디어의 발전이 아닐 수 없다. 이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들이었는데 그런 현실이 눈앞에 다가왔으니 말이다.


요즘 뜨거운 감자로 이슈가 되고 있는 “벅스뮤직”이나 “소리바다”는 미디어의 발달과 사회의 변화가 상호 어떠한 식으로 발전 변화되어 왔는지를 알아 볼 수 있는 단적인 예로 지은이는 이러한 미디어의 발전 변화가 우리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위와 같은 현상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지은이는 대뜸 책의 도입부에서 “MP3 좀 듣자는데 무슨 말이 그리 많을까?”라는 도전적인 글로 시작한다. 하지만 이 글은 지금 현재 MP3의 등자으로 발생한 갈등과 혼란의 모습은 이미 이전에도 „M었던 것으로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할 때마다 발생한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미디어가 발생하는 역사를 되집어 봄으로써 현재의 MP3에 대한 분쟁과 갈등의 모습을 진단할 수있고 앞으로에 대해서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에디슨이 발명한 축음기와 원통형 레코드에 관한 이야기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에디슨이 발명한 원통형 레코드가 원반형 레코드보다 음질이 뛰어남에도 원반형 레코드가 선택된 것에 대해 “세상과 대중들은 단순히 나은 음질만을 향해 단선적으로 진보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매개변수들을 종합해서 새로운 음악 미디어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원반형레코드와 원통형 레코드의 경쟁 과정에 끼어든 비음악적 변수 가운데는 근대의 주요한 속성인 '대량'의 문제가 잠복해 있었다. 당시의 대중들에게 '대량'이라는 시스템은 소수의 전유물이었던 재미와 행복이 보다 폭넓게 배분된다는의미로 다가오지 않았을까 싶다.”(본서 제14쪽 내지 제15쪽 참조) 라고 서술하고 있는데, 이는 대중들이 대량으로 생산되어 자신들이 그 소비행렬에 동참할 수 있는 미디어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이는 “음고의 표준화에 내포된 또 하나의의미로서 음악 산업의 대량화 혹은 상품 생산 공정의 효율화, 그를 통한 자본의 이윤 극대화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본서 제37쪽 참조)라는 점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라디오라는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음반의 로열티와 라이브를 업으로 살아가는 저작권자들과 연주자들에게 커다란 위협이 되었고, 변방의 뮤지션들 즉 흑인들의 음악이었던 리듬 앤 블루스나 시골 백인들의 음악이었던 컨트리 앤 웨스턴이 이러한 혼란을 틈타 어부지리 격으로 주류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고, 카세트의 복제기술은 제3세계 뮤지션들이 자신들의 음악을 녹음하고 복제해서 대중들에게 전파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이는 지금의 MP3의 저작권 문제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앨범의 등장은 뮤지션들의 사회적 지위를 엔터테이너에서 아티스트로 대접받을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러한 미디어의 발전은 시디를 거쳐 최근에는 MP3의 단계에 까지 오면서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위에서 본것처럼 소리를 재생하는 플레이어와 미디어의 발전은 좀 더 많은 대중들이 음악에 접근하게 해줄 수 있게 해주었고, 우리의 문화를 풍부하게 해주었다고 간접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MP3에 관한 현재의 논의에 대해서도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이해하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저작권과 관련해서 지은이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소식지의 204년 12월호 기사를 인용하면서 저작자들의 저작권 수입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MP3의 등장으로 저작자들의 권리가 침해되고 있다는 주장은 단선적인 주장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저작권이란 창작자의 권리만을 보호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법률이 전혀 아니라는 사실(본서 제90쪽 참조)을 언급하면서, 역사는 반복된다는 주장과 진보한다는 주장이 공존하는 것처럼, 오늘날의 음악적 환경을 둘러싼 많은 논란들은 지난날의 경험을 반복하고 있으며 또한 지난날의 경험은 그 말미에 대중들의 권리가 향상되는 쪽을 걸어간 발자취를 역사라는 이름으로 기록해 두고 있다(본서 제93쪽 내지 제94쪽 참조)며 “거시적으로 볼 때 역사의 진보 혹은 대중들의 풍요로운 삶의 확장이라는 직선적인 흐름에 거스르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일에서부터 시작되는 것, 그것이 그 해법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본서 제95쪽 참조)라고 글을 맺고 있다.


MP3에 대한 지은이의 주장이 전적으로 타당하거나 전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하기 이전에 지은이가 미디어와 플레이어의 발전과정에서 들려준 이야기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미 FTA저작권이라는 세계화의 진행단계에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점이기도 하다.


문고본이지만 지은이의 레코드 미디어에 대한 해박한 지식은 문고본이 가진 지면상의 한계를 넘어서며, 적은 지면에서 많은 것들을 전해주고 있어 매우 유용한 책이다. 다만 아쉬운 점이라면 각장들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고 글이 산만하다는 느낌이다. 그건 아마도 지은이의 글쓰기가 에세이 형식이어서 그런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