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시네마 12
수잔 헤이워드 / 한나래 / 199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처럼 영화가 대중들의 가장 큰 오락거리이자 문화를 즐기는 수단으로 된 적은 없었을 거다. 많은 대중매체들에서는 앞다투어 영화를 소개하고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내용은 단순한 흥미위주로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영화를 좀 더 알고 싶은 사람에게는 목마름의 연속인 것이다.

이 책은 그런 목마름을 조금이나마 해소시켜 줄 수 있는 책이라고 본다. 영화를 단순히 일회용 소비재처럼 여기기 보다는 두고 두고 음미하면서 그 매력을 탐구해보고자 하는 분들에게는 영화 외적인 것들에 대한 것의 이해도 영화를 보는데 있어 즐거움과 함께 기쁨이 되지 않을까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영화에 대한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하고 여태 지나쳐왔던 것들을 영화적 목소리로 재미나게 들려주고 있다.

다만,  "영화사전 [이론과비평]"이라는 우리 제목에 비해 "Key Concepts in Cinema Studies"라는 원제가 더어울리지 않았을까 한다. 한국식 제목으로 봐서는 영화에 대한 방대한 내용을 담은 것 같지만 이 책은 그런 책이 아니다. 영화에 관련된 많은 논의들 중에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을 뿐이다. 그런의미에서 원제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본다.

한글목차에 따라 주요한 영화이론과 비평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데, 지은이는 페미니즘적인 시각에서 영화를 본느 경향이 강하다. 그리고 정신분석학과 기호구조학과 같은 부분을 강조하여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읽기가 만만한 책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소재에 대해 어느 정도 기초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책읽기가 그나마 수월할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책장은 의외로 잘 넘어가지 않는다

하지만 위와 같은 글쓰기는 구태의연한 많은 영화 이론서에 비한다면 아주 참신하고 영화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하는 계기를 부여해 주기도 한 부분이다. 일반적인 내용이나 유사한 내용들은 과감하게 생략하고 영화를 보는데 있어 아니면 영화를 비평하는데 있어 남다른 시각을 가지기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안성마춤인 책이다.

우리나라 식의 제목은 이 책이 가진 본 의미를 약간은 오도하는 느낌이 든다. 방대한 영화지식을 한권에 모아둔 영화사전이라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구조주의, 포스트 구조주의, 거리두기, 기호학, 디제시스, 비디제시스, 상상계, 상징계 등 영화이론으로서 우리들이 쉽게 접하기 힘든 부분들에 대해 아주 상세하고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오이디푸스 관점에서 쓴 글들은 아주 매력적인 부분이었다. 영화를 그런 식으로 본다는 자체도 재미난 내용이었지만 그러한 것들을 전제로 영화를 만들었다는 감독들도 우리가 겉으로 보는 감독의 영화 만들기와는 또 다른 것들이 영화 이면에 숨어있다고 생각하니 눈에 보이는 영화가 전부가 아니라는 느낌에 그저 신기롭기만 하였다.

영화에 대대 조금 더 깊은 지식을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좋은 책이 될 것이지만 영화 전반을 다 알고 싶어하시는 분들에게는 지루한 책이 될 수 있는 책으로 되도돍이면 원제로 출간하여 소비자들이 잘못 판단하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