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로 보는 세계 미술사] 서평을 올려주세요
-
-
지도로 보는 세계 미술사
바이잉 지음, 한혜성 옮김 / 시그마북스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추운 겨울이면 미술관을 자주 찾는다. 계절의 정취상 가을에 미술관을 자주 찾을 것 같지만 가을은 야외활동을 하기 좋은 때라, 오히려 가을보다는 겨울이 미술관에 더 잘 어울리는 것 같다. 지금도 시립미술관에서는 퐁피두 미술전, 세종문화회관에서는 루벤스전, 예술의 전당에서는 렘브란트전 등 풍성한 볼거리가 열리고 있다.
미술관을 들어서면서 눈앞에 펼쳐질 세계를 생각하면 가슴이 두근거린다. 작가의 혼과 숨결이 뭍어나는 미술품을 보고 있노라면 그 작품이 탄생한 바로 그 순간으로 먼 시간 여행을 하는 느낌이다.
과연 작가는 무엇을 느끼고 무엇을 표현하려고 한 걸까? 라는 점도 궁금하지만, 내가 지금 눈으로 보는 작품이 창작될 당시 그 시간 지구의 다른 곳에서는 어떤 작가의 어떤 작품들이 만들어졌을까? 라는 점도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대부분의 책이 특정 작가나 유파 등 제한된 범위에서 미술사를 서술하고 있고, 세계 미술사라고 하더라도 한 눈에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는 책이 드문 편이다. 지은이는 지도를 이용해서 같은 시간대에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에서 어떤 예술이 일어났는지를 한 눈에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책은 기원전 3만 년의 선사시대부터 20세기의 현대예술에 이르기까지 회화, 공예, 조소, 건축 등 세계 각 대륙의 예술사를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미술사가 유럽을 중심으로 서술된 것들이 많았는데, 이 책은 유럽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등까지 소개하고 있어 우리에게 생소했던 다른 대륙에 대한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색다른 미술사를 경험하게 되고, 또한 예술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작품에 대한 풍부한 그림을 싣고 있어 책읽는 흥미를 돋운다.
지은이가 중국인이어서인지 아시아 특히 중국와 일본에 대한 작품 소개는 많이 되어 있다. 마지막 장에는 중국의 1980년대 이후의 미술이라는 독립된 장을 둘 정도로 중국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 작품에 대한 소개는 현대작가인 백남준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무하다.
그리고 한꺼번에 너무 많은 것이 간략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어 각 대륙별 예술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본다는 취지가 생각처럼 쉽지 않은 것 같다. 다소 산만한 느낌이다. 용어도 중국식이어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용어와도 많이 차이가 난다. 그래서인지 책장이 잘 안넘어간다. 그야말로 예술의 역사를 정리한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설문>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동시대의 각 대륙별 예술사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제가 읽은 책으로는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슈미트의 '근대회화 소사', 두첸의 '세계명화의 비밀', 스탬프의 '르네상스의 비밀' 등
· 서평 도서와 동일한 분야에서 강력 추천하는 도서 (옵션)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미술사를 전체적으로 조망해보고 싶은 분이라면 누구나 다 해당될 것 같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오면 상업적 목적에 영합하는 이미지가 등장하면서 예술의 서민화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대중매체를 광범위하게 이용하게 된다. 포스트모더니즘 작가들은 기계와 산업사회에 대한 반감을 오히려 기계 산업과의 결합으로 전환시키고, 주관적인 감정의 전달에서 객과적 세계로 전환하면서 개성과 스탕일 경시하거나 적대시했다(32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