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위대하지 않다 (양장)
크리스토퍼 히친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마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신이라는 존재에 대해서 그것도 신성 자체에 대해 도전을 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신의 존재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는 책들이 부쩍 많이 출간되고 있다. 얼마전에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라는 책이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키며 베스트셀러가 된 적이 있었는데, 최근에는 ‘신은 위대하지 않다’라는 책이 나왔다.

“신은 전지전능한 존재다.”
이는 오랜 세월 동안 인간들에게 마치 하나의 명제처럼 받아들여진 것이었다.
두려움과 불안을 가지고 있는 인간에게 있어 종교는 구원의 손길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종교와 신은 인류의 역사와 같이 하고 있다. 이승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이 사라지지 않는 한 종교와 신이 없어지리라고 기대하기는 힘들것이다. 그런 연유로 인해 오랜 동안 신과 종교는 인간생활의 정점을 차지하며 신성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그 신이 위대하지 않다고 하니 상당히 도발적인 제목이 아닐 수 없다. 지은이는 위와 같은 제목에 걸맞게 처음부터 신과 종교의 자기 모순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면서 공격적인 논조를 이어간다. 종교가 가진 야만성과 폭력성으로 인해 인간은 종교를 통해 평화와 행복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실로 당혹스럽지 않을 수 없다.

구약이나 신약이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이야기를 즉흥적으로 꿰맞추어서 그 내용이 서로 맞지 않고, 코란은 유대교와 기독교의 신화를 빌려 온 것에 지나지 않는다며, 코란이나 성경과 같은 경전 내용을 일일이 파고 들어 그 모순을 지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교는 건강에도 해로울 뿐만 아니라 파괴적인 속성까지 가지고 있다고 한다.

“황홀하기 짝이 없는 내세를 이야기하면서도 이승에서 권력을 잡고 싶어한다. 이건 당연한 일이다. 종교는 결국 속속들이 인간이 만든 것이니까 말이다. 게다가 종교는 자신의 다양한 가르침을 스스로 믿지 못하기 때문에다른 종교와의 공존을 받아 들이지 못한다(본서 33-34쪽 참조)” 

신과 종교가 가진 특성에 대한 지은이의 생각이 아주 간략하게 드러난 대목이 아닐까 한다.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 바로 신과 종교인 만큼, 그 본질상 당연히 권력을 잡고 싶어하고 그 권력을 유지하려고 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 결과 반목과 질시가 판을 치고 서로를 부정하게 되는 것이다. 종교라는 미명하에 일어나는 각종 테러는 이러한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종교가 가진 폭력적인 성향을 그대로 드러내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그 어느때보다 과학과 이성이 발달한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신과 종교는 아직까지도 우리들을 지배하고 있다. 물론 종교나 신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찾고 생활의 활력을 얻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이야기 할 수 있지만, 크게 보면 이러한 논의는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고 종교는 오히려 그러한 인간의 마음을 이용한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처음부터 종교와 신은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종교와 신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을 언급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아니 아예 그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이라는 것이 인간의 자기 위안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은이가 이 책을 통해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들이 결코 지어낸 이야기이거나 거짓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다만 알고 싶지 않은 이야기들 일 수있다. 그래서 이 글이 불편하게 와닿을 수도 있다. 하지만 불편한 진실이라도 진실을 가려서는 안될 것이다.

지은이는 "우리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새로운 계몽주의 운동이다. 인류의 견본은 비로 인간 그 자체라는 의식을 바탕으로 한 계몽주의 운동 말이다. 예전의 계몽주의자들처럼 대단히 용감하고 재능 있는 소수의 영웅적이고 획기적인 성과에만 의존할 필요는 없다. 새로운 계몽주의 운동은 평범한 사람들의 능력 범위 안에 있다(본서 412-413쪽 참조).“라는 말로 이 책의 끝을 맺고 있다. 인간이 세상의 중심에 서는 새로운 인본주의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