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창의력을 깨우는 일곱가지 법칙
켄 로빈슨 지음, 유소영 옮김, 백령 감수 / 한길아트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창의성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특히 디지털 시대로 접어든 21세기에는 이전의 아날로그적 시대에 비해 더욱 창의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는 추세다. 정권이 바뀔때마다 교육제도를 혁신한다고 매번 공약하지만, 창의적인 인재를 확보하기는 해가 거듭될 수록 더욱 어려워진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다.

이러한 창의성에 대한 관심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위와 같은 현실을 감안한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기존의 창의성 개념에는 무언가 잘못된 것이 있으며, 그와 같은 잘못된 창의성 개념을 가지고 교육을 하다보니 당연히 현실과 괴리가 발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창의성에 대한 올바른 개념 정립과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를 생각해 보아야 하는 것이다.

지은이는 위와 관련하여 오늘날의 교육제도는 19세기 산업혁명기를 거치면서 당시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여 창의성을 아카데미시즘과 동일시하였고 학교교육은 논리력과 사실의 암기라는 매우 좁은 범위의 지능만을 개발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는 지금 현재 우리 교육현실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즉 국어․영어․수학을 중요시하고 나머지 과목은 그저 주변과목으로 전락해 버렸으니 말이다.

책 제목은 “내 안의 창의력을 깨우는 일곱가지 법칙”이라고 되어 있지만, 이 책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은 요즘 유행하는 처세서와 같은 어떠한 법칙을 내세우는 것은 아니다. 총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은이는 먼저 현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교육개혁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현재와 같은 교육이 이루어진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면서 지능과 인간의 능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잘못 이해되어져 온 창의성의 개념을 바로 잡고, 인간은 본연적으로 창의성을 타고 난다는 점을 강조하고 이를 길러주기 위한 사회적․문화적 환경의 조성을 강조하면서 글을 맺고 있다.

지은이는 “창의성은 각자가 타고난 능력을 효율적으로 발현하는 방식”이라고 하며, 창의성을 지능지수와 같이 개인이 타고나는 특성이라고 하는 기존의 통념을 깨트리면서, 모든 사람은 창의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한다. 그리고 그와 같이 모든 사람이 타고난 창의성을 실현시킬 수 있도록 교육제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역설한다.

사교육 광풍이 몰아치고 있는 우리 교육환경에 대한 좋은 충고가 될만한 책이 아닐까 한다, 예전에 비해 많은 교육을 받고 있음에도 실질적으로 아이들의 학습능력은 저하되고 있다는 지적이 많은 매스미디어를 통해 보도되고 있다. 이는 우리 교육제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반증하는 대목이라고 하겠다. 즉 지금 우리의 교육은 기존의 지능개념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환경에 대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는 전문가는 없었다. 오히려 이런 교육환경에 편승하여 어떻게 하면 성적을 잘 받을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책들이 우후죽순으로 출간되는 안타까운 현실이 발생하고 있다. 2001년도에 이 책이 출간되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은이의 혜안이 느껴진다. 그와 같은 지은이의 우려는 아직도 우리 사회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지은이가 “당신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 이상의 존재다”라고 말하는 것에서 느낄 수 있듯이, 우리 모두들은 저마다 가진 창의성이 있는데 획일적인 교육과 잘못된 지능에 대한 개념에 연연하여 단순히 논리와 암기에만 치중하는 교육을 함으로 인해 21세기가 요구하는 미래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교육지백년대계”라는 말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우리의 교육현실에 대한 따끔한 충고가 되는 책이라고 하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8-11 20:4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