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알버트 라즐로 바라바시 지음, 강병남 외 옮김 / 동아시아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이 가져온 사회적 변화는 가히 놀라울 정도다. 오랜 시간에 걸쳐 인간의 역사에서 일어난 변화가, 아주 짧은 시간에 한꺼번에 일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제까지 접근할 수 없었던 정보가 모든 사람들에게 공유되었고, 사람과 사람의 거리를 좁히고 시간의 제약을 넘어서는 혁명적인 발명품이라 하겠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만한 것은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한 인간관계의 변화다. 이 책의 제목인 ‘링크’는 이러한 관계에 관한 것이다. 인간관계 뿐만 아니라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한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지은이는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의 창시자로 유명한데, 이러한 무질서하게 보이는 복잡계 이면에는 수많은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질서가 존재하고 있다며, 네트워크가 어떻게 생겨났으며, 어떤 모양으로 생겼으며, 어떻게 진화하는지를 하나의 링크에서 다른 링크로 넘어가면서 차근차근 짚어보고 있다.

지은이는 모든 것들은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를 습득함으로써, 사회, 경제, 환경, 생물, 정치 등 그 이면에 숨겨진 관계에 대해 알게 되고 이는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는 것이다.

그와 관련해서 허브와 커넥터, 80/20법칙, 아인슈타인의 유산, 아킬레스건, 바이러스와 유행이라는 개념을 빌려, 네트워크가 가진 구조적인 특성을 설명하면서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다.

2002년도 출간된 책이어서 이 책에서 언급되어진 부분 중에서 이미 논의가 많이 이루어진 부분들도 있어 그렇게 생소하게 다가오지는 않았다. 다만 수하 공식이 등장하는 등으로 인해 일반인이 이해하기에는 수월한 책만은 아니었다. 책이 전해주고자 하는 주제는 명확하였지만, 개인적으로는 국내 서적과 달리 주제를 풀어 나가는 지은이의 글이 합리론이 우세한 서구 중심의 시각에서 쓰여져서인지 선뜻 가슴에 와닿지 않았다.  

네트워크라는 것이 단순히 인간관계 만이 아니라, 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과 관련되어 있으며, 우리는 이러한 네트워크를 앎으로 인해 사물을 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신선한 내용이었다. 계속 링크해두고 들춰봐야 할 책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