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뒤흔든 열흘
존 리드 지음, 서찬석 옮김 / 책갈피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05년 러일전쟁 패배.
1905년 노동자, 농민들 '빵과 평화' 요구. 짜르 니콜라이 2세 폭력 진압. 피의 일요일. 
          의회는 만들어짐. 하지만 노동자, 농민의 요구를 만족시키기엔 부족. 

1914년 1차세계대전 시작. 
프랑스, 영국, 러시아, 이탈리아 <->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제국, 불가리아

1917년 2월 혁명. 짜르체제 붕괴. 멘셰비키 케렌스키 임시정부 수립. 
지주, 부르주아, 멘셰비키 타협하는 가운데 반혁명세력 대두.

1917년 10월 25일. 볼셰비키 무력투쟁 선언.

레닌. 1870년생. 47살. 
트로츠키. 1879년생. 38살.
스탈린. 1879년생. 38살. 
케렌스키. 1881년생. 36살.

저자 존 리드. 1887년생. 30살.
히틀러. 1889년생. 28살.
처칠. 1874년생. 43살.
프랭클린 루스벨트. 1882년생. 35살. 

레닌과 트로츠키, 스탈린이라는 인물이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는 러시아 10월 혁명. 

1917년 2월 혁명으로 짜르체제를 무너뜨리고 들어선 임시정부는,
왕정을 복고하려는 지주들과 자신들의 권리를 쟁취하려는 자본가 계급(부르주아),
평화적인 민주정부를 목표로 하는 멘셰비키 세력 사이에서
원래의 혁명의 목적을 잃어가고 있다.
토지재분배와 같이 명확히 논의되었던 정책들도 거의 시행되지 못하는 가운데
노동자, 농민들의 삶은 여전히 힘들다.

책은 볼셰비키가 주도하는 10월 혁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저자는 자신이 볼셰비키의 편이라 얘기하고 있지만 
책 자체는 더이상 객관적일 수 없을 정도로 사실에 충실하다.
아쉬울 정도로 건조하고 담담하게 상황을 풀어놓지만, 그 때문에 신뢰가 간다.

왕당파, 귀족, 지주, 부르주아는 반혁명 세력으로 똘똘 뭉쳐 혁명을 분쇄하려고 하지만
반대 쪽은 노선의 차이로 계속해서 논쟁하기 바쁘다.
정말 읽다보면 답답해서 가슴이 터져나간다.

그래도 점점 더 볼세비키 세력은 노동자, 수병, 병사들의 협조로 세력을 넓혀가고,
결국 철도소비에트, 농민소비에트와도 연합을 이루는 가운데 책은 끝이 난다.
 
독일과의 휴전, 1차세계대전의 종전을 거쳐 반혁명세력을 물리치고
결국 1922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이 수립된다. 

하지만 저자 존 리드는 다음 작품에서 더 많은 내용을 풀려고 했었으나, 
1920년 33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만다.
 
그 이후 레닌은 1924년 뇌동맥 경화증으로 죽고,
트로츠키는 스탈린과의 세력다툼에서  패배,
터키, 프랑스, 노르웨이, 멕시코에서 망명생활을 하다
1940년 스탈린의 사주를 받은 이에게 암살당한다.

스탈린이 전면에 나선 러시아는 그야말로 지옥이다.
노동자, 농민이 꿈꾸던 프롤레타리아 세상은 더이상 없다.
혁명 전보다 더 나을게 없다.

레닌과 존 리드는 여기까지 보지는 않았으니 어떻게 보면
혁명의 성공을 기억한채 떠날 수 있어서 다행이었겠다 싶다.
반면에 트로츠키는 죽을 때까지 아쉬움을 떨칠 수 없었을 것이다.
자기가 꿈꾸던 세상이 시궁창이 되어가는 모습을 지켜보기란 
여간 고통스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저자도 중간중간 얘기하지만,
혁명은 성공하는 순간 허물어지기 시작한다.

레닌과 트로츠키도 체제를 이끌어나가기 위해
결국에는 그들이 욕하던 멘셰비키 세력처럼
군대에 짜르시대의 지휘관 세력을 영입하기도 한다.

또한 굶주림에 대한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해,
노동자, 농민, 사병 계급의 불만이 높아지자
강제적으로 진압하기도 한다.
그리고는 신경제체제(NEP)라는 일부 자본주의를 도입하기도 한다.
이 때 극좌파들은 그들의 수정주의를 욕한다. 

그들이 욕했던 세력들처럼 그들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렇게 혁명은 쇠퇴하기 시작한 것이다.

제대로 계급의식도 없는 우리나라와 비교해보면
100년 전의 러시아의 민중들은 정말 위대했다.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그렇다고 그 시도의 찬란함이 빛을 잃는 것은 아니다.

지금 우리 사회에는
혁명의 방향에 대해 자신있게 얘기하는 세력도 없고,
혁명의 모습에 대해서 마음껏 상상하는 사람도 없다.
자기가 극좌파라고 얘기하는 사람들조차. 나도 마찬가지다.

100년 전 러시아 같은 모습은 아니겠지만,
또 다른 우리 시대에 맞는 혁명을 기다린다.
이번에는 시도만으로 끝나지 않을,
완성될 때까지 계속될 혁명을 기다린다.

P.S. 이 책이 발간된 1919년 3월.
       우리나라에서도 3.1운동이 일어났다.
       감기만 전염되는 것이 아니라,
       혁명도 전염되는 것이라
       기득권들이 그리도 두려워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르네상스 미술 이야기 - 피렌체편 - 김태권의 미술지식만화
김태권 지음 / 한겨레출판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아껴가며 읽었는데 벌써 다 읽어버렸다. 
쉽게 읽힌다고 내용이 가벼운건 아니다. 

작가의 '십자군 이야기'를 너무나 재밌게 읽은 후, 
3권 나오기만을 오매불망 기다리고 있는 사이 
이 책이 나와 바로 주문을 하고 받아보았다.

음.. 이 책은 십자군 이야기보다 한 발 더 나아간다.
작가도 얘기했듯이 회화와 만화를 뒤섞는 구성능력에는 
정말 박수를 아끼고 싶지 않다.

메디치가, 도나텔로, 보티첼리,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안젤로, 라파엘로.

이 천재들이 나고 자랐던 피렌체를 배경으로
신이 부여한 능력을 가진 그들이었지만, 
다행히도 그들도 시기심을 가진 
우리와 같은 인간이었다는 보여주는 이야기는 아주 매력적이다. 

특히, 원숙미를 가진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패기넘치는 미켈안젤로와의 대결은 압권이다.

이렇게 쉽고, 재밌는 이야기는 '르네상스'라는 말을 창안한 바사리의 '르네상스 미술가 열전'의 영향이 클 것 같다. 작품이 궁금하지만 아직 번역되지 않은 상태인가 보다.  

하지만 무엇보다 큰 역할은 김태권 작가의 몫이라 하겠다. 
어려운 이야기를 쉽게 풀어내는 것이 가장 힘든 일인데,
작가는 특유의 박식함을 바탕으로 만화라는 매체의 힘을 
최대한 사용하여 르네상스를 우리 눈앞에 생생하게 펼쳐놓는다.

2권에서는 미켈안젤로의 '시스티나 성당의 최후의 심판' 이야기와 라파엘로라는
천재와의 대결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이 얘기는 또 어떻게 펼쳐질지 궁금하다.
작품이 나오기 전에 기대가 되는건 작가에 대한 믿음이 크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로부터의 귀환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전현희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3년에 간행된 책.

 

일본의 지성 다치바나 다카시가

우주를 방문했던 우주인들을 인터뷰한다.

 

지구를 떠나보지 않은 사람의 우주에 대한 궁금증 어린 질문과

지구를 떠나본 사람들의 애정어린 답변이 충돌한다.

 

"지구는 푸르다."

- 유리 가가린, 스푸트니크 1호

 

""이것은 한 인간의 일보에 불과하지만, 인류에게는 거대한 도약이다."

One small step for man, one giant leap for mankind

- 닐 암스트롱, 아폴로 11호,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남긴 사람.

 

"나는 우주 체험에 관해서는 말하고 싶지 않다."

- 버즈 올드린, 아폴로 11호, 달에 2번째로 발자국을 남긴 사람. 정신병원에 들어가게 됨.

 

그들 중에는 영적으로 깊은 충격을 받고 전도사가 된 사람도 있고,

우주여행이라는 목표를 잃고 정신병원에 입원한 사람도 있고,

정치적, 비즈니스적으로 성공한 사람들도 있다.

 

"지구를 떠나 보지 않으면,

우리가 지구에서 가지고 있는 것이

진정 무엇인지 깨닫지 못한다."

- 제임스 라벨,

 

"우주에서 보면 국경 따위는 없다.

인간이 정치적 이유로 마음대로 만들어 낸 것일 뿐, 원래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립하고, 전쟁을 일으키고, 죽인다.

이건 슬프고 어리석은 짓이다."

- 월터 쉬라,

 

"신이란 우주 영혼, 혹은 우주 정신, 우주 지성이라고 해도 좋다.

그것은 하나의 거대한 사유이다.

그 사유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 과정이 이 세계이다."

- 에드가 미첼,

 

"지구는 우주의 오아시스다."

- 유진 서넌, 제미니 9호, 아폴로 10호, 17호

 

"저 멀리 지구가 오도카니 존재하고 있다.

이처럼 무력하고 약한 존재가 우주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

이것이야말로 신의 은총이라는 사실을

아무런 설명 없이도 느낄 수 있다."

- 제임스 어윈

 

그들은 말한다.

지구를 떠나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것이 있다고.

지구라는 것이 무한한 우주 속에서 어떤 존재인지를,

그 속의 인간들은 어떤 존재인지를,

나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를 알기는 힘들다고 얘기한다.

 

예수, 부처, 마호메트가 평생 추구하여 깨달았던 정신적 가치를

우주 여행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는 얘기가 계속해서 나온다.

인간은 물질적 존재가 아니라 정신적 존재로 진화하고 있다는 말이 가슴에 와닿았다.

과연 우리는, 나는 그 곳으로 진화해가고 있는 것일까.

그렇다면 우주로 나가지 않고도 도달할 수 있을까.

 

 

<달개척 연표>


참고 : 달개척 일정, 위키백과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 계획>

 

머큐리(Mercury) 계획 1961~1963, 단독 탑승, 총 6회 6명.

제미니(Gemini) 계획 1965~1966, 2명 탑승, 총 10회 20명.

아폴로(Apollo) 계획 1968~1972, 3명 탑승, 총 11회 33명.

스카이랩(Skylab) 계획 1973~1974, 3명 탑승, 총 3회 9명.

아폴로.소유즈(Soyuz) 계획 1975, 한 번의 소련 우주선과의 도킹 비행, 총 3명.

 

총 71명(실제 수는 43명)

 

제1기생  7명 1959년

제2기생  9명 1962년

제3기생 14명 1963년

제4기생  6명 1965년

제5기생 19명 1966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ick 스틱! - 뇌리에 착 달라붙는 메시지의 힘
칩 히스.댄 히스 지음, 안진환.박슬라 옮김 / 웅진윙스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뇌리에 착 달라붙는 메시지의 힘.

대충 읽으려다 푹빠져서 정독.

 

기억에 오래도록 남는 메시지에는 6가지 원칙이 있다.

 

JFK

"앞으로 10년 안에 인간을 달에 착륙시키고 무사히 지구로 귀환시킨다."

 

SUCCESs

 

1. 단순성(Simplicity)

속담과 같이 긴 경험(핵심)에서 우러나는 짧은 문장(간결함).

사우스웨스트 '가장 저렴한 항공사', 지역신문 '이름, 이름 그리고 또 이름'

클린턴 '경제라니까, 이 멍청아!'

손 안에 있는 한 마리 새가 숲 속의 두 마리보다 낫다.

역피라미드 구조. 뉴스기사의 리드

 

2. 의외성(Unexpectedness)

사람들의 관심을 어떻게 끌 것인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놀라움과 재미. 상황적 흥미.

미스테리 구조. 결말을 알 수 없는 상황, 예측을 유도하고 과도한 자신감을 유도하라.

호기심은 지식의 공백을 느낄 때 발생한다. 배경지식을 제공하라.

 

3. 구체성(Concreteness)

이솝우화. 여우와 신포도.

구체성을 목표를 투명하게 만든다.

다른 사람은 내가 아는 것을 모른다. 지식의 저주

 

4. 신뢰성(Credibility)

헬리코박터균과 위궤양.

진정한 권위는 그 지위가 아니라 출처의 정직성과 신뢰도에서 온다.

세부사항, 통계, 시내트라 테스트, 청중

시내트라 테스트. 여기에서 할 수 있다면, 어디에서라도 할 수 있다.

 

5. 감성(Emotion)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자기 자신'이다.

매슬로우의 동기유발 피라미드 이론.

초월 : 자신에게 내재된 잠재성을 깨닫도록 다른 이들을 돕는다.

자기실현 : 잠재적이고 자기충족적인 경험의 최절정.

미학 : 대칭, 질서, 미, 균형.

학습 : 알고 이해하고 정신적으로 연결되다.

자기존중 : 성취, 유능함, 인정받기, 독립성, 지위.

소속감 : 사랑, 가족, 친구, 애정.

안전 : 보호, 안전, 안정성.

생리적 욕구 : 허기, 갈증, 신체의 편안함.

 

분석은 생각을, 감정은 행동을 일으킨다.

 

6. 스토리(Story)

메시지를 보다 삶에 가까운 형태로 만들어 보여주는 정신적인 시뮬레이션.

스토리의 청취자는 그 시뮬레이션 안에서 곧바로 행동할 준비를 갖춘다.

 

의사 소통의 구조

1. 관심을 끈다. : 의외성

2. 메시지를 이해하고 기억하게 한다. : 구체성

3. 동의, 신뢰하도록 부추긴다. : 신뢰성

4. 각별히 여기도록 자극한다. : 감성

5. 행동을 유발한다. : 스토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가 잃어버린 것을 기억하라 - 시칠리아에서 온 편지
김영하 글 사진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이 마흔에 김영하는 모든 것을 다 가진 사람이 되어 있었다.

국립예술대학의 교수였고 네 권의 장편소설과 세권의 단편소설집을 낸 소설가였고

라디오 문화 프로그램의 진행자였고 한 여자의 남편이었다.

서울에는 내 이름으로 등기된 아파트가 있었고 권위 있는 문학상들을 받았고

서점의 좋은 자리엔 내 책들이 어깨를 맞댄 채 사이좋게 놓여 있었다.

소설들은 베스트셀러는 아니었지만 꾸준히 팔려나가는 편이었고

개중에 어떤 것은 영화나 연극으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또 몇 권의 소설은 해외에서도 출판되었다.

밟으면 으르렁거리며 달려 나가는 힘 좋은 승용차도 있었고 묵직한 오디오 시스템도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그 무렵, 한 일간신문으로부터 연재소설 제의도 받았다.

한마디로 부족한 게 없던 시절이었다.

 

2007년 가을에 <퀴즈쇼>의 연재가 끝나고 책이 나왔다.

다섯 번째 장편이었다. 오래전부터 나는 다섯 권의 번듯한 장편소설을 가진 작가가 되고 싶었다.

어느새 나는 그렇게 돼 있었다.

 

'어느새' 나는 이런 인간이 되어 있었다. 모텔에서 그날의 일정을 가늠하며 눈을 뜨는,

노트북과 휴대폰의 배터리 잔량을 걱정하는, 서울의 은행에서 빠져나갈 자동이체 공과금들을 생각하는 그런 사람.

 

내 안의 어린 예술가는 어디로 갔는가? 아직 무사한 것일까?

 

작가 김영하는 캐나다로 떠나기로 결정하고, 남는 시간동안 이탈리아 시칠리아 여행을 떠난다.

 

떠나기로 결정하자 온갖 물건들이, 온갖 청구서들이 달라붙는다.

 

시칠리아의 섬 리파리.

리파리에서는 모두가 모두를 알았다.

 

죽음을 기억하라는 메멘토 모리(Memento Mori)와

현재를 즐기라는 카르페 디엠(Carpe Diem)은 어쩌면 같은 말일지도 모른다.

 

어린 날의 나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무위의 날, 건달의 세월을 견딜

줄 알았고 그 어떤 것도 함부로 계획하지 않았고 낯선 곳에서 문득 내가

어떤 종류의 인간인지를 새삼 깨닫고 놀랄 줄 아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나는 전혀 다른 종류의 인간이 되어 있엇다. 그런데도 나

는 내가 변했다는 것조차 모르고 있었다. 비슷한 옷을 입고 듣던 음악을

들으며 살았기 때문에 나는 내가 어느새 내가 그토록 한심해하던 중년

의 사내가 되어버렸다는 것을 눈치 채지 못했던 것이다. 아니, 애써 외

면해왔는지도 모른다. 정말 젊은 사람들은 젊은이의 옷을 입는 사람이

아니라 젊게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다. 젊게 생각한다는 것은 늙은이들

과 다르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늙은이들은 걱정이 많고 신중하여 어디

로든 잘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의 육신과 정신을 이제는 아주 잘

알고 있다고 믿는다. 반면 젊은이들은 자신의 취향도 내세우지 않으며

낯선 곳에서 받는 새로운 감흥을 거리낌 없이, 아무 거부감 없이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사람들이다. 늙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세상과 인

생에 대해 더 이상 호기심을 느끼지 않게 되는 과정이다. 호기심은 한편

피곤한 감정이다. 우리를 어딘가로 움직이게 하고 무엇이든 질문하게

하고 이미 알려진 것들을 의심하게 만드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