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픈 다이얼로그
송후림 옮김 / 북앤에듀 / 2022년 3월
평점 :
오픈 다이얼로그, 열린 대화법, 의미는 여러곳에서 들었지만, 막상 열린 대화법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잘 몰랐는데, 이 책을 통해서 어느정도 이해하게 되었다. 흔히는 열린생각, 열린마음은 대화에서도 중요하지만, 업무적으로 아이디어 회의할때도 강조되는 생각이다. 누군가의 의견에 토달지 말고, 비판하지 말고, 일단 인정해주고 들어주는것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열린대화법은 정신과적 치유방법으로 효과적인 방법중의 한가지라고 한다. 그래서, 치유방법으로서의 열린대화법에 집중하고 있다. 흔이 알고 있는 상담과는 큰 차이가 있는데, 일대일 상담이 아니라, 팀을 이루어 상담이 진행된다는 점이다 갈등관계의 두사람이 있을때, 이들과 상담해주는 사람은 2명 이상이 팀을 이루어 끊임없이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다. 어떤 대안이나 해결책을 제시하려거나 어떤 목표를 설정하지 않은채 대화를 진행하다보면 답이 보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 특징적인 것은 '반영하기'단계인데, 이것은 좀 낯설다. 갈등관계의 당사자들을 앞에 두고, 상담했던 팀원들간에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는 것이다. 치유당사자들이 제3자적 관점에서 그들이 자신들에 관해 나누는 이야기를 듣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원래의 오픈 다이얼로그의 특징인것 같다.
우리는 살다보면 생각이 다른 사람을 참 많이 만나게 됩니다. 말이 안통하는 것같이 답답할때는 차라리 보지않고 지내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관계라면 그렇게라도 임시효과를 얻겠지만, 가족이나 부부처럼 서로를 향한 깊은 관계가 있을 경우에는 쉽게 남남이 되기 어렵다. 그럴때 바로 이런 열린대화법이 문제를 해결해가기 좋을듯하다. 부모들은 자녀들에 대해 어떤 해답을 보여주고 싶어하고, 그 해답에 빨리 이르게 하기 위해 자녀의 의견보다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펼쳐놓고 선택을 강요하는 경향이 많다. 그러다보면, 어느순간 벽이 생기게 마련인데, 서로가 그 벽을 뚫고 다시 대화하기 어려운 지경까지 가기도 한다. 그런 사람들에게 이 책의 방법이 도움이 될거 같다. 우리나라 의료체계상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지만, 치유과정은 생략하고, 열린 대화법을 통해 상대방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다보면 조금씩 문제가 해결되어 질것이다. 그것이 이 책이 바라는 목적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