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해리포터를 책이 나올 때마다 사 보고(큰 녀석이 목매고 기다린다), 영화도 나올 때마다 봤건만(이건 두 녀석이 다 목매고 기다린다) 좋은 줄은 모르겠다.

물론 재미가 없지는 않다. 책은 잡으면 네다섯권이나 되지만 하루내에 술술 읽히고(내 생각엔 출판사의 술수인 것 같다. 2권으로 내도 될 것을 아동도서라는 명목으로 글씨 키우고, 여백 많이 줘서 권수 늘리는 얍삽한...... 거기다 번역도 문제 있다고 본다) 영화도 1편을 볼 때는 책을 얼마나 완벽하게 재현했을까 하는 기대에 화면에서 눈을 떼지 않았었다.

그러나 2편은...... 남들은 어땠는지 모르지만 난 중간에 좀 졸았다.그리고 아이들 땜에 더빙으로 봐서 배우들의 연기력에 대해 말하긴 좀 뭐하지만 해리역을 하는 아역배우(이름 못외운다)는 너무 얼굴만 보고 뽑은 것 같다. 영화 내내 표정이 두세가지 밖에 안되니 말이다. 그래서 3편도 별 기대는 안하고 아이들 보여준다는 생각으로 갔다.

그런데, 3편은 좀 진화한 것 같다. 내용도 무거워지고.....원작도 워낙 기억에 남는 내용이었다.제법 그럴듯한 공포감도 조성되어 둘째 아이는 괜히 보러 왔다며 칭얼거렸다.

놀라웠던 것은..... 아이들이 부쩍 커버렸다! 더 이상 아이들이 아니다. 헤르미온느는 좀만 더 자라면 아주 매력적인 아가씨가 될 것 같고, 론은 좀 의젓해지긴 했는데 약간 미련스럽게 보일 기미가 엿보인다.(워낙  3편에서 론의 역할이 좀 미련스럽기 때문인가?)

해리는..... 난 왜 이리 해리가 맘에 안 드는 거지? 키도 훤칠해지고 잘 생긴 얼굴인데 말이야. 내 취향이 아닌가봐. 난 해리의 얼굴에 왠지 모르게 야비함이 엿보인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아, 이건 순전히 내 개인적인 취향이다. 

그리고 난 작가가 두들리 가족을 대하는 태도가 맘에 들지 않는다. 물론 이야기에 악역은 필요한 법이지만 해리포터에서 두들리 가족은 마치 모두가 한 놈 찍어놓고 놀리고 괴롭히는 이지메를 당하고 있는 것 같아서 나는 그들의 심술궂고 못된 짓이 응징을 당할 때마다 통쾌하게 웃어줄 수가 없다. 좀 불쌍하다.

이 작품을 관통하는 가벼움에 대해 난 찬성할 수 없기 때문에-마법을 책임감 있는 철학이 아닌 기술로 보는 태도- 영화를 즐기기가 쉽지 않았다. 내가 너무 고지식한 어른이어서인지도 모르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무비 2004-07-26 16: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해리포터 작가의 산문집 같은 게 나오면 한번 읽어보고 싶어요.
정말 좋아할만한 사람인지... 그녀가 너무 돈을 많이 벌어 질투하는 건가?
아무튼 유례없는 인세를 요구해 책값이 비쌀 수밖에 없다죠?
그 기사를 보고 조금 화가 났어요.
아이들이 컸다니 궁금하긴 해요.^^

깍두기 2004-07-26 1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런 생각했어요. 이 여자가 너무 돈을 많이 벌어 내가 배가 아파서 이러나.....?
근데 배 아픈 것 외에도 저는 이 사람의 철저히 자본주의적 접근 방식(이야기 속에서도, 밖에서도)이 맘에 들지 않고, 결론이 아직 나지 않아 뭐라 말할 수 없지만 다른 마법소설에서 볼 수 있는 철학이나 책임감(마법은 아무렇게나 휘두를 수 있는 게 아니다. 마법은 댓가를 치뤄야 한다. 자기 내면의 진정한 소원을 알아야만 마법을 행할 수 있다 등등)이 결여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그러나 바로 그런 부담없음 때문에 아이들은 열광하는 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