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도둑 - 고학년문고 3023 베틀북 리딩클럽 24
윌리엄 스타이그 글 그림, 홍연미 옮김 / 베틀북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

100쪽도 안되는 짧고도 무뚝뚝한 이야기에 정말 많은 것이 담겨 있다.

 

2.

사랑하는 사람들과 이 세상에 정말 최선을 다했는데 그들이 나에게 등을 돌릴 때, 그 성실과 사랑이 체념과 증오로 돌변하는 건 순간이다. 그리고 그 이후에 그 사람은 이전의 그와는 다른 인물이 된다.

거위 가윈은 왕국과 왕과 친구들을 정말 사랑했건만 왕국의 보물을 훔친 혐의로 왕에게 "너는 이 왕국의 수치다!"라는 말을 듣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모진 말을 들어본 사람은 알 것이다. 말이 칼이 된다는 것을. 그 순간  순진무구한 맘으로 왕을 숭배하던 거위의 단순하고 아름답던 세계는 파괴된다. 그는 이제 이렇게 말한다.

"이제 저는 생명이 있는 여러분 하나하나를 모두 증오합니다. 진심입니다. 여러분은 제게 원래 없었던 악을 저한테서 보았다고 하고 있는 겁니다. 다들 부끄러운 줄 아십시오!" 

이 세상의 악인들이 원래부터 악인일까. 거듭되는 오해와 불신, 나를 믿어주고 위로해 주는 자 하나 없음, 이런 것들이 악인을 만드는 거다. 20명이나 살해한 연쇄살인범도 초등학교 땐 착했다고 하지 않는가.

거위 가윈은 범죄자의 길이 아닌 도피자의 길을 걷게 되니 그나마 다행인가.

 

3.

양심의 가책. 진짜 도둑이 겪게 되는 괴로움. 처음엔 훔친다는 생각도 없이, 그저 잠깐 빌린다는 마음으로, 나중엔 허영에 취해, 훌륭한 보물과 함께 있으면 마치 자기 자신이 훌륭해 질 것처럼. 양심의 소리와 두려움이 스치면 재빨리 도리질쳐서 털어버리며.

진짜 도둑인 생쥐 데릭은 우리들의 어리석음을 몸소 보여준다. 자기 자신이 아닌 자기가 걸친 것들로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들(얼마나 많은가!), 모래밭에 머리만 숨기는 타조처럼 자신의 잘못과 어리석음을 보지 않으려고 눈 감고 귀막는 사람들. 그러나 데릭이 우리들보다 더 나았던 건 결국 데릭은 양심의 소리에 귀를 귀울였단 거다. 그는 해피엔딩을 만들었다.

 

4.

그를 저버렸던 사람들, 그들은 그럼 행복했나? 정의를 실현했으니? 

그들도 불행했다. 자기들이 한 짓이 정의라고 믿었을 때도 불행했고, 그게 오해라는 걸 알았을 때는 더 불행했다. 당연할 것이, 이 세상 어느 보석이 신뢰와 우정으로 쌓은 아름다운 인간관계보다 소중할 것인가?

 

5.

이 모든 어리석은 사건에도 불구하고 이 동화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은 현실의 우리보다 현명하다. 거위 가윈은 이 세상에 배신당했으나 복수하지 않았고, 그들을 용서했고, 데릭은 자기가 저지른 모든 잘못을 제자리에 돌려놓았으며, 왕과 가윈의 친구들은 진심으로 미안해 했다. 그러기가 어디 쉬운가. 현실에서는 서로 자신의 행위를 정당화하며 변명하기에 급급하지 않은가.

 

6.

이 부분이 가장 마음에 든다.

"하지만 그들 모두 고통을 받고 있어. 폐하께서는 그 누구보다도 괴로워하고 계시네."

"괴로워하게 내버려 두게. 다들 고통받게 내버려 둬. 난 다시는 그 누구도 보고 싶지 않아."

그렇지만 가윈은 그들이 몹시 보고 싶었고, 그보다 더 간절히 바라는 일은 없었다.

데릭은 잘 알고 있었다. 데릭은 가윈의 다리를 살며시 건드렸다. 그랬다 살아 있는 생물의 손길, 그리도 오래도록 목말라 있던 따뜻함을 느끼자 가윈의 언 마음도 누그러졌다.

"그래, 인정하지. 나도 그들이 보고 싶네. 많이 보고 싶어. 아마도 용서해야겠지."

 

윌리엄 스타이그, 당신은 인간에 대해 정말 너무 잘 알고 있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