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하고 싶은 일본소설 베스트는?
집오리와 들오리의 코인로커
이사카 고타로 지음, 인단비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첫 장을 펼치면 독자만큼이나 아무것도 모르는 얼빠진 화자가 등장한다.
<오듀본의 기도>에서 이상한 섬에 떨어진 주인공처럼, 그는 아무것도 모른다.
우리에게 이야기를 전해주기 위해 나타난 캐릭터인데도 불구하고. 이것, 참.
그렇기 때문에 더 가깝게 느껴지기도, 정감이 가기도 하지만, 참 난감하다. 

그리고 이야기는 현재와 2년 전을 교차하며 진행된다. 화자도 각각 두 명이다.
현재는 '시나'라는 얼빠진 대학생이, 2년 전에는 '고토미'라는 여성이 화자이다.
인간보다 개나 고양이를 더 좋아한다는 '고토미'는 익히 나오던 이사카 코타로
캐릭터의 원형이다. 단, 머리보다 입이 먼저 움직이고 괄괄한 여성이란 점만 빼고. 

두 시점은 2년이란 시간차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교묘하게 닮았다. 마치
거울에 비친 상처럼. 그것은 이사카 코타로가 구사한 '반복 문단 구성' 때문이다.

 같은 숫자가 매겨진 현재와 2년 전 파트를 잘 살펴보면, 첫 문단과 마지막 문단의
형태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코가 오른 쪽으로 비뚤어진 구로 시바나
동물원에서 레서 판다를 훔친 남매를 과거와 현재에 등장시켜 글의 통일성을 부여했다.

 이야기의 전반부에 "'죽음'이나 '부활'은 신중하게 다루어야 할 단어이다"란 말이
나오는데, '사신의 정도'로 나오키상 후보에 올랐지만, "'죽음'을 가볍게 다뤘다"는
이유로 탈락한 그의 아픔이 느껴져 안타까웠다. 올해는 한 번 주는게 어떨지?

 이야기의 반전은 쌩뚱맞다 싶을 정도로 갑자기 등장하는데, 한국영화의 고질병인
'반전을 위한 반전'인 듯해 씁쓸해 하다가도, 치밀한 계산에 의한 것임을 알게 되고
놀랐다. 어쩜 그리 감쪽같이 속일 수가 있는지. 이것 또한 씁쓸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벚꽃 지는 계절에 그대를 그리워 하네>와 같이 우리의 편견이나 선입견에 의해 이뤄진
서술 트릭이기 때문이다. 난 안 그럴 줄 알았지만, 사실은 내 머리도 딱딱했던 것이다.

 내가 이사카 코타로를 좋아하는 이유는 그 특유의 말장난처럼 한없이 가볍다가도,
일본 정치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일본 특유의 국민성이 갖는 문제를 간파해내는
그의 능력 때문이다. 그 문제가 섬나라 때문이라는 변명은 가당치도 않은 말이다.

 이런 말이 나온다. "정치가가 잘못하고 있으면, 그 세계의 정의는 모두 잘못 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잘못되었는가 아닌가의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없다. 즉, 세계의 정의는
흔들리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상황 속에서도 그는 인간의 노력에 의해 변할 수 있다고
낙관적인 의견을 내놓는다.  "나는 그 이후 인간은 필사적으로 달려들면 대부분의 일을
할 수 있다고 낙관적으로 믿고 있다. 될 리 없다고 부정적으로 만사를 보는 인간의
대부분은 스스로 뭔가를 달성한 적이 없는 자이다" 그러니 필사적으로 노력하라고.

 또한 이번 소설에서도 이사카 코타로가 쓴 다른 소설의 인물이 등장했는데, 눈치 챘나?
극중 '시나'가 좋아하고 따르는 이모가 바로 <명랑한 갱이 지구를 돌린다>에 나오는
교노의 부인, 쇼코이다. 쇼코의 남편인 교노가 '성실한 호인상'은 아닌 괴짜라고 말해서
웃음을 주었다. 집필 시기로 <명랑한 갱이 지구를 돌린다>가 먼저니까 살짝 첨가했나 보다.

 이사카 코타로의 소설에 많이 등장하는 이러한 구조 때문에, "나는 완전히 주인공인
것처럼 살았지만, 잘 생각해 보면 다른 사람의 인생 속에서는 단역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나는 내가 주인공이고 지금 이렇게 생활하는 '현재'야말로 세상의 중심이라고
믿고 있지만, 실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인해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을 수도 있다.
왠지 이사카 코타로가 SF소설을 써도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대해 봐야지^^

 마지막으로, 다 읽고 밥 딜런의 <Blowin' In The Wind>를 흥얼거리게 만드는 효과까지 있다.

 
Blowin' In The Wind - Bob Dyla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