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규야 미안해
최관하 지음 / 상상북스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터넷을 통해 이 책을 주문했을 때 이 책이 없는 줄 알고 조마조마했다. 이 선생님이 앞에 쓰신 [울보선생]은 이미 품절되고 없었기 때문이다. 나는 예전에 우연히 [울보선생]이라는 책을 통해 이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기독교사대회 때 이 선생님의 선택식 강의가 있었지만, 사람들이 다 몰려가도 나는 책을  통해 만났기에 듣지 않았다. 아주 교만한 생각이었던 것 같다.

기독서점에서 [울보선생] 책을 사면서 [울보선생]의 후편으로 [병규야, 미안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 역시 앞선 [울보선생]과 같은 형식으로 쓰였다.

두 책을 보면서 이 선생님의 열정과 기도가 느껴졌다. 도전적으로 말씀하고 있었다. 이 선생님은 기도의 사람이었다. 기도로 시작하고 기도로 끝을 내는 열정적인 기독교인이었다. 영혼을 품으려고 노력하며 수업 시작하면서 기도할 수 있는 사람이었다.

나는 이제 불과 몇 달 후면 초등학교 선생님이 될 것이다. 이 선생님처럼 기도로 완전 무장하고 나갈 수 있을지 걱정이다. 나는 기도에서 쉽게 무너진다. 4년 동안 기도했지만 No라고 응답하신 하나님을 바라보며 실패의식과 패배의식이 내 주위에 감돌고 있다. 13일 발표, 어떻게 될지 모른다. 하나님은 나에게 어떤 것으로 채우시려 할까. 기대나 소망보다는 두려움이 앞선다. 내가 앞서지 말아야 하는데 내가 앞서는 까닭이다. 이 선생님은 철저히 하나님이 앞서도록, 하나님께서 일하시도록 기도했다. 내가 교직에서 이렇게 기도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초등학교에서 수업 전에 기도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해보는 데까지 해야 할까.. 사람들이 두렵다. 하나님을 두려워 해야 하는데.. 이 선생님의 열정이 느껴져 옴에도, 내가 그렇게 살아야 함을 앎에도, 4년 간의 기도가 실패했다(?)는 의식 때문에 하나님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가 힘들다. 분명 하나님은 더 좋은 것으로 채우실 것을 기대했으면 좋겠다. 좋은 교사 아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안의 성공을 찾아라
강영우 지음 / 생명의말씀사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정말 도전이 많이 되는 책이었다. [우리가 오르지 못할 산은 없다]를 읽다 말아서 그 책은 잘 모르겠지만, 헬렌 켈러 위인전을 읽는 느낌이랑 비슷했다. 눈은 비록 보이지 않지만 얼마나 밝고 건강하게 살아가고 있는지.. 그 정신만큼은 청년이었다. 제일 감동(?)받은 건.. 정치에 대한 생각이었다. 우리나라처럼 정치 이야기만 나오면 사람들이 욕을 하는 것처럼, 나도 우리나라 정치 이야기만 나오면 관심끄고 싶을 정도로 싫어한다. 그런데 강영우 박사는 그렇지 않았다. 부시 대통령에 대해.. 우리나라 기독교인들조차 평화 운운하며 기독교인이 뭐 저렇냐 이러는데 강영우 박사는 아주 공손하게 대통령에 대해 호평하고 있었다. 하긴 미국에 사는 강영우 박사가 대통령에 대해 악평을 하면 자신이 가진 그 위치는 어떻게 되겠는가. 하지만.. 내 생각에 강영우 박사는 일구이언하지 않을 것 같다.

늦깍이 공부를 시작해서 지금은 엄청 성공한 강영우 박사를 보면서, 두 눈이 다 멀쩡한 나는 지금까지 살면서 뭘 하고 있나 생각을 해본다. [Remember the titans] 영화에 보면 11살짜리 여자애가 나오는데 그 애는 미식축구에 대해 얼마나 꿰뚫고 있는지 정말 놀랐다. 그 애보다 인생을 반이나 더 살았건만 나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나.

한 순간 한 순간 주님의 도우심을 바라며 최선을 다하는 수밖에 없다. 믿음의 사람들을 모델로 삼으며 비교하지 않고 열심히 최선을 다한 강영우 박사님처럼 나도 믿음의 사람들을 모델로 삼아볼까 하는 생각은 있으나.. 비교의식에 너무 사로잡혀 있어서 잘 모르겠다. 매 순간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삶이어야 할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하세요 성령님
베니 힌 / 열린책들 / 199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지난 여름방학 때 다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는데 이때까지 와버렸다. 아주 황당하다.ㅡㅡ^ 학기 시작 전까지 50페이지 정도밖에 안 남았었는데..

처음에 이 책을 읽을 때 찌릿찌릿 감동이 왔었는데 그걸 지난 여름방학 때 끝냈다면 어땠을까. 사람들은 성령님을 하나님이나 예수님보다 낮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나도.. 이론적으로는 성령님이 하나님이시고 동등한 분임을 알고 있지만, 그리고.. 하나님, 예수님, 성령님이 하시는 일만 다르지 한 분임을 알고 있지만, 교회에서 자주 언급하지 않는 탓일까. 성령님하면 약간 멀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내 삶 속에서 내 삶을 이끄시는 분은 성령 하나님이심을 안다. 그런데.. 참 아이러니한 것은 성령님이 내 안에 계시길 원하면서 성령님이 내 삶을, 내 모든 것을 움직이시도록 하지 않으려 한다는 것이다. 어떤 소책자에 따르면 '명의변경'이 아직도 안 된 셈일 거다. 아마.. 난, 나를 잃어버리고 나를 죽이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 같다. 성령님께 내 전부를 드리면, 나는 나 자신을 잃어버리게 될 것 같다는 불안감이 있는 것 같다. 사람의 제일되는 목적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영원토록 주를 즐거워하는 것이듯이.. 하나님도 역시 사람을 영화롭게 하시기를 원하신다고 그랬는데.. 그게 완전히 믿어지지 않는 모양이다. 만약에 내가 성령님께 순종한다면, 그때 성령님이 나더러 '사모'하라는감동을 주시면 어쩌지.. 이런 얼토당토않은 생각까지 든다. 하지만 난 두렵다. 난 '사모'라는 직분 감당하기 싫은데, 감당 안 하겠다고 하나님께 말씀드렸는데, 하나님이 하라고 하시는 것 같은 느낌을 받곤 하기 때문이다(단지 내 생각인지도..;;). 난 그냥 평범하게(?) 아이들 가르치며 전도하는 게 더 좋다고 생각하는데.. 그래서 성령님이 내 삶 전체를 몽땅 주관하시는 걸 거부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책의 말대로 하자면, 난 성령님을 근심케 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참으시고 기다리시면서 내가 "안녕하세요 성령님"하고 성령님께 더 깊이 나아오기를 원하시고 계실텐데.. 난 그걸 주저하고 있기 때문이다. 꼭.. 이삭이나 아브라함이 애굽도 가나안도 아닌 그랄에 거한 격이랄까. 분명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시점이 온다. 아무튼 난 아직까지 '사모'로 헌신하고픈 생각은 없다. 내 환경을 내가 만드려한다는 느낌은 들지만, 아직은 싫다. 하지만, 만약 하나님이 '사모'하라시면, 정말 그게 내 길이라면 빨리 준비하는 게 나을텐데.. 모르겠다. 성령님을 근심케 하고 싶지는 않다.

 

너무 개인적인 내용이 많은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머화술 업그레이드
김진배 지음 / 엘맨 / 1999년 9월
평점 :
품절


말은 사람을 움직인다. 옛말에도 "말 한마디로 천냥 빚 갚는다"는 말이 있듯이, 말 한마디로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 내가 앞으로 교사가 될텐데(지금도 주일학교 교사를 하고 있지만), 내 말이 아이들에게 엄청난 위력, 영향력을 행사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다. 앞으로를 대비해서 말을 조금 유연하게 해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조금 더 내 말을 효과있게 전하려면... 분위기를 화기애애하게 만드려면... 그러나 역시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다른 사람을 웃긴다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한 가지 이 책을 보고 터득한 것은 자기 자신과 삶을 유머의 소재로 삼으라는 것이었다. 울 선교단체 간사님 중에서도 웃긴 분이 있는데, 이 책을 읽고 생각해보니 자기 자신이 유머의 소재였다(예를 들면, 혀짧은 권상우라든지..^^;;)

혀를 어떻게 놀리느냐에 따라 사람을 웃길 수도, 울릴 수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썰렁한 개그보다는 사람을 웃길 방법을 찾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입술의 열매 1 - 약이되는말
꿈이많은사람 지음 / 하늘사다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제목을 보면 떠오르는 성경 구절이 있다. "그 때에 내가 말하되 화로다 나여 망하게 되었도다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요 입술이 부정한 백성 가운데 거하면서 만군의 여호와이신 왕을 뵈었음이로다"(사 6:5) 이사야가 환상을 보면서 자신은 입술이 부정하니 망하게 되었다고 고백하는 장면이다. 이사야 시대의 사람들은 부정적으로 비관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많았던가 보다. 이사야도 그런 사람 중의 한 명이었던 것 같다. 첨단과학 시대를 사는 오늘, 나의 모습은 어떠한지 돌아보게 된다. 이사야 6장 5절에 나오는 이사야의 고백은 바로 나의 고백이 아닌가..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요'.. 내가 얼마나 부정적으로 말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상처주는 말을 많이 했던가. 요즘은 나아졌지만. 대학교 들어오기 전까지만 해도 부정적인 입술의 대명사 역할을 수행했다. 대표적인 예로 CEF에서의 에피소드를 들 수 있다. 정말 충격적인 말이었다. 아이들에게 부정적으로 묻지 말라는 것. 복습게임 후에 "재미없죠?" 라고 했다가 간사님이 그런 말 하지 말라셨다. 그때 당시 마음이 많이 상해있었던 상태여서 그런지 그 말은 나에게 상당한 충격을 주었다. 이 책을 읽을 그 당시까지도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었다. 지금은 조심하려고 노력하지만 여전히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얼마나 혀를 마음대로 놀리는지 실감할 수 있었다. 따뜻한 말 한마디보다는 다른 사람을 정죄하려는 말을 더 많이 한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옛 속담도 있듯이, 말을 조심해야겠다. 말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켜주는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