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본질적으로 가르는 차이란 없다는 점에서 우리는 사람으로서 보편성을 공유하지만, 세상에 차별이 있는 한 차이는 실재하고 우리는 그 차이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 P185

평등은 그냥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다. 평등은 인간 조직이 정의의 원칙에 의해 지배를 받는 한, 그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다. 우리는 평등하게 태어나지 않았다. 우리는 상호 간에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우리의 결정에 따라 한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평등하게 되는 것이다. - P2052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본주의는 어느 순간까지 활기의 원천이다가, 어느 순간부터 괴물이 되는 걸까? 그 지점을 어떻게 간파하고 제동을 거는지가 이 시대의 과제인 것 같다. - P86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애인‘, ‘다문화‘ 등의 용어가 다시 낙인을 담은 비하성 용어로 사용되는 것처럼 단어를 바꾸어도 그 대상을 비하하는 마음이 사라지지 않는 한 낙인은 지워지지 않고 다시 살아난다. - P9394

"누군가를 무언가로 호명할 수 있는 것은 권력이다. 누군가를 향한 놀림을 ‘가벼운 농담으로 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가 그 사람의 사회적 위치와 권력을 알려준다. - P9495

그러니 "누가 웃는가?"라는 질문만큼 누가 웃지 않는가?"라는 질문도 중요하다. ‘웃찾사‘의 흑인 분장 사건처럼 웃지 않는 사람들이 나타났을 때 그머는 도태된다. 누군가를 비하하고 조롱하는 농담에 웃지 않는 것만으로도 "그런 행동이 괜찮지 않다"는 메시지를 준다. 웃자고 하는 얘기에 죽자고 달려들어 분위기를 싸늘하게 만들어야 할 때가최소한 무표정으로 소심한 반대를 해야 할 때가 있다. - P9899

대중을 상대로 영업을 하여 얻은 이익을오롯이 사유재산이라고 주장할 수만은 없다. 크든 작든 기업도 자회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윤리와 책임이 있다.
- P1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록 에쓰코는 좋은 엄마가 되지 못했지만 엄마라는 것만은 영원히 변치 않는 사실이었다. 엄마로서의 삶은 죽어도 사라지지 않는 인생의 일부였다. - P255256

노아는 감수성이 예민한 아이였고, 모든 규칙을 지키며 최고가 되려 했다. 그리고 그렇게 되면 적대적인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다. 노아가 그런 잔인한 이상에 사로잡히도록 내버려 둔 것이 선자의 실수였다. 그 때문에 노아가 죽었다. - P282283

"미국에서는 강꼬꾸징조센징이니게 없었어. 왜이라는내가 남한 사람 아니면 북한 사람이 돼야 하는 거야? 이건 말도 안돼! 난 시애틀에서 태어났어. 우리 부모님은 조선이 분단되지 않았을 때 미국으로 갔고." 피비가 그날 하루 동안 편협한 대우를 받았던 일들 가운데 하나를 소리 높여 이야기했다. "왜 일본은 아직도조선인 거주자들의 국적을 구분하려고 드는 거야? 자기 나라에서4대째 살고 있는 조선인들을 말이야. 넌 여기서 태어났어. 외국인이 아니라고! 이건 완전 미친 짓이야. 네 아버지도 여기서 태어났는데 왜 너희 두 사람은 아직도 남한 여권을 가지고 다니는 거야? 정말 이상해."
한반도가 분단된 이후, 일본에 거주하는 조선인들은 북한과 남한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잦았고, 그 선택으로 거주자 신분도 달라진다는 사실을 피비도 솔로몬만큼이나 잘 알고 있었다. 조선인이 일본 국민이 되기는 여전히 어려웠고, 그런 짓을 수치스럽게 여기는 사람들도 많았다. 조선인이 자신들을 억압했던 압제자의 국민이 되려고 하는 것은 수치스러운 짓이라 여겼던 것이다. - P314315

선자가 그리워하는 사람은 한수도, 심지어는 이삭도 아니었다. 선자가 꿈속에서 다시 마주한 것은 젊음과 시작, 소망이었다. 그랬다.
선자는 그렇게 한 여자가 되었다. 한수와 이삭 노아가 없었다면 이땅으로 오는 순례의 길을 떠나지 않았을 것이다. 할머니가 된 지금이 순간에도 일상 너머로 아름다움과 영광이 반짝거리는 순간들이있었다. 그 사실을 아무도 모른다 해도 그것이 진실이었다. - P3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많은 치료사들이 "스토리 에디팅" 또는 "리프레이밍reframing"이라는 기법을 사용해 환자가 자신에 대한 인식을 좀 더 긍정적인 빛으로 물들이도록 부드럽게 유도하기 시작했다. 이때 핵심은 자기기만이 적당한 수준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수의 연구가 밝혀낸바, 극단적 부인이나 기만은 오히려 적응에 해롭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순한 거짓말, 하얀 거짓말, 작은 장미봉오리 같은 거짓말은 무척이로운 효과를 낼 수 있다. 요컨대 힘들어하는 어떤 사람을 붙잡고그 사람이 자신에 관해 품고 있는 이야기를 약간 더 긍정적인 이야기-그가 실제보다 조금 더 강한 사람, 실제보다 더 친절한 사람으로 그려지는 이야기, 연인과의 이별에서 자신의 잘못이 겉보기만큼 그렇게 크지 않게 보이는 이야기로 이끌어갈 수 있다면,
그 사람의 인생에 심오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 P139140

데이비드가 한 일이라고 의심하고 있는 바로 그 일을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것일까? 그러니까 자신의 세계관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자신감은 부패를 불러온다는 내 아버지의 믿음을 확인하기 위해 사실들을 왜곡하는 일을? - P174

예를 들어 사람은 생후 4개월째에 이미 고양이와 개를 구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직관적 질서가 우리 내부에 장착된 장치의 일부라는 사실이 그 질서가 진실임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그저 그 질서가 유용하다는 의미일 뿐이다. 그 질서가 우리 인간 종이 우리를 둘러싼 혼돈을 성공적으로 항해하고 탐험하도록 도움으로써 수 세대에 걸쳐 기여해왔다는 뜻이다. - P245

나는 전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그 순간 한 가지는 알 수 있었다. 물고기의 반대편에 다른 뭔가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 물고기를놓아주는 일은 그 결과로 또 다른 어떤 실존적 변화를 불러온다는것. 그리고 그 결과는 사람에 따라 다다를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별들의 경우에 꼭 그랬던 것처럼. - P2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