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서운 칼바람과 싸라기눈이 내리치던 추운 날이었다. 할머니는 피난 짐을 싸고 남은 음식을 모아 봄이에게 줬다. 반쯤 말린 숭어를 정신없이 먹는 봄이의 모습을 보며 할머니는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짐을 다 꾸리고 집밖으로 나가자 봄이가 낑낑거리며 따라 나왔다. 평소 봄이는 꼬리를 치면서 따라오다가도 집으로 돌아가라고 하면 바로 알아듣고 돌아가던 아이였다. 하지만 그날은 할머니가 따라오지 말라고 아무리 얘기해도 신작로까지 쫓아왔다. 사람들이 자신을 떠난다는 것을 알아챈 듯이 낑낑대면서 돌아가지 않겠다고 고집을 부렸다. 증조모가 신작로 모퉁이에 쪼그리고 앉아서 봄이를 쓰다듬으며 말했다. 

   - 봄이야, 우리 봄이야. 

   봄이가 바닥에 배를 깔고 엎드려서 증조모를 올려봤다. 

   - 여기서 헤어지자. 이제 우리를 따라오지 말라는 말이야. 내레 미안해......

   증조모의 말이 끝나자 봄이는 자리에서 일어나 가족들의 냄새를 한 번씩 맡더니 집 쪽으로 걸어가기 시작했다. 한참 멀어졌을 때야 한 번 뒤돌아봤을 뿐이었다. 할머니는 혹시나 봄이가 돌아올까봐 봄이의 이름도 부르지 못했다. 등을 돌린 채로 걸어가는 봄이를 보며 할머니는 목에 두른 목도리가 다 젖도록 소리 없이 울었다. 그후로 누구도 다시는 봄이를 언급하지 않았다. 봄이가 존재하지도 않았다는 듯이. 그냥 개일 뿐이야. 할머니는 그렇게 생각하려 했지만 그런 거짓말로 스스로를 위로할 수는 없었다. 


(...)

  

   그렇게 며칠을 더 걸어서 대전에 도착한 그들은 경부선 철길을 따라 대구 쪽으로 걸어갔다. 대구에 가까워지면서 가져온 양식도 바닥을 드러냈다. 가끔 마주치는 민가에서 주먹밥이나 물을 건네기도 했지만 대부분 하루에 겨우 한 끼를 먹었다. 하루는 민가에서 내놓은 주먹밥을 먹다가 어떤 아이를 만나게 됐다. 많아봐야 대여섯 살 정도로 보이는 여자아이였는데 가족 없이 혼자였다. 한쪽 눈은 다래끼 때문에 부어올랐고 봄에나 입을 만한 얇은 겉옷을 걸치고 있었다. 아이는 증조모의 치맛자락을 붙잡고 증조모를 한참 동안 쳐다봤다. 

   증조모는 짐에서 할머니의 겉옷을 꺼내 아이에게 입히고 목도리로 머리를 싸매줬다. 삶은 감자와 고구마 몇 개를 보자기로 싸서 아이의 손에 들려줬다. 그러고는 자신을 잡고 있는 아이의 손을 떼어내고 걷기 시작했다. 아이가 증조모에게 달려가서 치맛자락을 잡았지만 증조모는 아이의 손을 다시 한번 떼어내고는 따라오지 마라, 따라오지 마, 소리를 질렀다. 

   - 어마이, 같이 가도 되지 않갔어요.

   그 말을 들은 아이가 할머니를 꼭 안았다. 그 와중에도 피난민들은 빠른 속도로 그들을 지나쳐 걸어가고 있었다. 여자애 둘이 길 한복판에 서 있으니 방해가 된다는 듯이 화를 내는 사람들도 있었다. 증조모가 짐을 내려놓고는 아이를 할머니로부터 떼어냈다. 

   - 어마이.

   - 됐다. 

   - 이렇기 간다는 말이시까.

   - 기래. 

   - 어마이, 이러지 마시라요. 

   말이 끝나자마자 증조모가 할머니의 얼굴을 때렸다. 한 번, 두 번, 다음에는 머리를 쳤다. 바닥에 쓰러질 정도로, 증조부가 말릴 때까지. 아이는 더이상 그들을 따라오지 않았다. 입을 다물고 길을 걷다보니 해가 졌다. 그믐밤이었다. 별 무리가 아주 낮게까지 내려와 밝게 빛났다. 그걸 보면서 할머니는 생각했다. 우리는 이런 아름다움을 보고 느낄 자격이 없는 존재들이라고. 짐승만도 못한 존재들, 천한 존재들, 세상에서 사라져야 할 존재들이라고. 

나는 이런 장면을 잘 못 읽는다. 눈 앞이 뿌얘지면서 숨이 잘 안 쉬어진다. 고통스러워서 차라리 죽어버리고 싶다는 생각마저 든다. 한 마디로 어쩔 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