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문명의 풀리지 않는 의문들 - 상
피터 제임스 외 지음, 오성환 옮김 / 까치 / 2001년 1월
평점 :
품절


그레이엄 핸콕이 지은 <신의 지문>이나 <신의 거울>을 읽은 독자라면 그의 글에 깜짝 놀랄 것이다. 고고천문학, 지질학, 고대신화에 기반하여 방대한 자료조사에 하여 그는 사라진 고대 선진문명의 존재를 입증하려 했다. 그의 강렬한 문제제기에 독자들은 빠져들면서 그가 제기하는 퍼즐 맞추는 게임에 몰입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사라진 고대 선진문명이 있었던 곳을 지적하는 대목에서는 무릎을 치면서, 스핑크스나 피라미드, 티아우아나코 등이 그들이 남긴 지문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레이엄 핸콕이 방대한 자료조사를 했다 하지만, 그가 기자 출신이고, 또 그의 주장이 기존의 수많은 연구로 정형화되어온 역사를 단칼에 부정하는 획기적인 주장을 하는 것이기에 다소 논리의 균형감각을 찾고 싶어질 것이다. 그런 사람에게 <옛 문명의 풀리지 않는 의문들>을 권하고 싶다.

상, 하권 두 권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책으로 치면 족히 네 권은 될 듯한 분량의 책이다. 그러나 그 분량에 기죽을 필요는 없다. 8장에 걸쳐 다양한 주제로 불가사의한 건축물, 고대신화, 고대 천문학, 탐험가의 발견에 관한 논증 등을 다루고 있어 금방 책에 젖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피터 제임스와 닉 소프는 고대사와 고고학을 전공한 학자다. 그레이엄 핸콕이 하나의 주장을 위하여 기승전결 방식으로 일관적인 논리 전개를 하는 반면, 이들 저자는 학자답게 현존하는 해석을 늘어놓고, 때로는 물음표를 남기고, 때로는 자신의 주장을 강력하게 제기하고 있다. 그레이엄 핸콕은 발견된 사실을 수미일관 자신의 논조에 맞춰 끌어당기고 있지만, 이들은 발견된 사실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고, 아직 명확하게 논증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기도 하면서 자신의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

그레이엄 핸콕의 저작을 읽고 흥분감과 함께 의구심을 동시에 가질 수밖에 없었던 나에게 이 책은 나의 사고에 균형추를 다시 한번 세워준 책이었다. 그 균형추는 단지 예전의 주류파의 해석에게로의 단순 회귀는 아니었다. 현재의 '주류 진리'는 현재라는 한계 속에서 주어지는 진리라는 점에서 다른 해석의 존재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 균형에 기반한 회귀라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자. 우리는 현재 콜럼부스를 아메리카 대륙을 처음 발견한 사람으로 100%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을 읽어보면 이는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처음 발견한 사람으로 추정된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아직 명쾌하게 다양한 논거를 전개할 수는 없지만 10,11세기에 바이킹이 아메리카에 도착했다는 몇가지 증거들이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고대부터 내려온 신화나 전승은 단지 허구로 무시할 것이 아니라 거기에는 일말의 진실이 담겨있다는 진지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 역시 새삼스럽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책이다. 슐리만이 많은 사람이 허구로 알고 있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믿고 트로이 유적을 발굴해내는 것은 모든 말이나 글에는 나름의 진리가 포함되어 있을 뿐 우리가 이를 제대로 해석해내지 못하는 것이라는 느끼게 해준다.

이 책은 일반 독자를 겨냥하고 재밌게 쓴 책으로 후반부에 가서는 여러 흥미거리 주제를 많이 다루고 있다.

이 책의 저자들이 영국 사람이어서 스톤헤지, 글래스턴베리의 나선 도형, 아서왕, 로빈훗 등이 다른 것에 비해 좀 더 비중있게 등장하고 있어 다소는 흥미를 삭감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흥미를 유발시키는 요소가 훨씬 많아 지겹지는 않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