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원에 가기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미 많은 판매를 통해 친숙한 느낌을 갖게 되는 '알랭 드 보통'이라는 작가의 산문집이다. 그리고 나로서는 이 작가 작품에 대한 첫번째 독서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알랭 드 보통'이라는 작가에 대해서 나처럼 처음 대하는 독자에게는 결코 권하고 싶지 않은 책이다. (부정의 의미는 아니고, 다른 책들부터 읽으시라는...^^;)
독서경험은 받아들이는 태도 또는 시각, 그리고 여러 이유에 따라서 다를 수 있고, 또한 주관적인 것이기 때문에 그 느낌의 편차는 매우 클 수 있다. 독서는 정해진 결론과 해답을 찾아가는 길은 아니겠기에 당연하겠지만, 그렇다면 이런 리뷰를 남기는 것 역시 자유로운 것이지 않겠는가?
옮긴이의 말을 다시 옮겨보자.
'이 책에 실린 산문들은 대부분 그간 드 보통이 쓴 글들 가운데 그의 면모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대목들을 추려서 독립적으로 완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손을 보고 보완한 것들... (중략).. 저자가 직접 고른 구슬들을 다시 갈고 닦은, 말 그대로 주옥같은 글들이 모여 있는 셈이다.'- <옮긴이의 말 - 정영목>
또한 역자의 말에서 빌리자면, 이 책은 펭귄 출판사가 창립 70주년을 기념하여 출간한 문인들 70명의 작품 선집들 가운데 한 권이고, 드 보통은 70번째라는 상징적인 자리를 차지하며....(이 말뜻을 되새기면 그간 모 출판사에서 70주년 기념으로 70명의 출간작가들이 스스로 선정한 '주옥같은 대표작'을 모은 것이고, 70번째라면 가장 현실에 영향력이 있거나, 그러하기를 바라는 배치라는 것인데.... 라고도 읽힐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식과 치사에 어울릴만한 함량은 아니었다.
'(비행기에서 바라보면) 그 모두가 아주 작다. 땅 위의 원근법의 교훈은...' 누구나 비행기를 타거나 원형놀이기구를 타면 생각하는 것일 수도 있다. 노동의 근원에 대한 사유는 그 결론이 모호하다. '부르조아'에 대한 역사적 기능과 역할에 대한 저자의 시각은 극히 감상적이다. 그리하여 노동에 대한 생각 역시도 애매모호하다. 하물며 이미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는 '만화'에 대한 저자의 사유는 동시대 유명 저자의 사고임을 의심케 한다.(대표적 선집인데 이 모양이면, 아마도 관심 밖으로 접어두어야 할지)
난감한 생각에 읽어본 다른 분들의 리뷰는 진폭이 크다. 출판사의 상업주의를 의심하는 경우부터 불편한 심기를 비추는 글들도 많다. 반대로 '역시 보통'이라는 글들도 못지 않다. 결국 생각에 빠진다. 그의 소설부터 다시 한번 읽어보아야겠다고... 그러나 이렇듯 무심한 '보통' 독자가 아니고, 저자에 대해 호감을 갖는 독자라면, 어쩌면 이 책이 아쉬울 수도 있겠다는... (이 역시 자의적이겠다..._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