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름은 왜 죄가 되었나 - 부지런함이 숨긴 게으름의 역사
이옥순 지음 / 서해문집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종일 비가 오고 있다. 이런 날에 막걸리와 파전이 생각난다. ? 그건 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비가 오거나 무더운 날씨는 일하지 않아도 되는 좋은 핑계를 제공한다. 하지만 좀더 적극적으로 일하지 않아도 좋을 핑계를 찾으려면 이 책 '게으름은 왜 죄가 되었나'를 읽어보면 좋겠다. 이 책은 게으름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숱한 자료를 인용하며 역사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근면을 좋게 보고 태업을 나쁘게 보는 우리 사회의 풍조 때문에 오히려 착취와 파업이라는 극단을 낳게 되었다. 노동자의 파업에 폐업으로 응수하는 사용자, 이런 양극단에서 적절한 태업으로 길고 가늘게 살아보는 건 어떨까?

 

<밑줄 쫙>

게으르다고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요? 모든 걸 규정하는 자는 힘을 가진 사람입니다. 신하에게 왕이, 하인에게 귀족이, 노동자에게 부르주아가, 머슴에게 지주가, 학생에게 교사가, 자식에게 부모가 게으르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상대성원리를 발견한 유명한 과학자 아인슈타인의 게으름도 상대적이었습니다. 그는 대학 시절 게으른 개라는 좋지 않은 별명을 갖고 있었답니다. 게을러서가 아니라 전공인 물리학과 공부를 게을리해서 얻은 별명이었지요. 대학에서 강의를 들을 수 없는 전자기학을 독학하느라 다른 공부를 소홀히 했기 때문입니다. 대학 입장에서 보면 학업을 게을리한 것이지만 그가 절대적으로 게으른 건 아니었지요. 이처럼 게으름은 누가 보고 판단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솝우화에서 베짱이는 열심히 일하는 개미와 달리 풀숲에서 노래만 하는 게으름뱅이로 그려집니다. 그러나 실제 베짱이가 게을러서 굶어 죽는 건 아닙니다. 발성기관을 가진 베짱이는 먹을 것과 따뜻한 집이 있어도 오래 살 수 없습니다. 수명이 겨우 3~4개월이니까요. 3개월만 살 수 있다면, 그 누구라도 죽도록 일하기보다 노래를 부르며 하고픈 일을 하다가 죽을 겁니다. 게다가 개미와 달리 혼자 움직이는 베짱이는 스스로를 지키고 자손을 키우지도 않기 때문에 자신이 먹을 것만 모으면 됩니다. 개미처럼 죽도록 일하고 저축해야 할 필요가 없는 거지요. 근면의 상징인 개미가 부지런해서 겨울을 난다는 것도 과학적 사실이 아닙니다. 정교한 조직사회를 가진 개미들은 1년 정도 삽니다. 사회적 동물로 수많은 군락을 이루는 개미는 집단에 필요한 활동을 하지요. 집을 지키고 식량을 모으고 후손을 키웁니다. 먹을 것을 많이 모아도 자신을 위해 쓰는 것이 아니라 집단과 후손의 훗날을 위해 저장합니다. 그러나 부지런함을 상징하는 개미나 일벌이 낮의 20퍼센트만 일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개미와 일벌은 나머지 시간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야말로 빈둥거리는 진정한 게으름뱅이입니다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동시간 줄이고 농촌을 살려라 - 변산농부 윤구병과의 대화 이슈북 4
윤구병.손석춘 지음 / 알마 / 2012년 11월
평점 :
품절


100쪽도 안되는 작은 책에 정치, 노동, 교육, 철학, 사랑 등의 다양한 주제를 쉽게 풀어 쓴 대답집. 먹고 사랑하기 위해 일을 줄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러그를 뽑으면 지구가 아름답다 - 철학하는 발명가 후지무라 씨의 비전력화 프로젝트
후지무라 야스유키 지음, 장석진 옮김 / 북센스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후지무라의 또 다른 책 <적게 일하고 더 행복하기>를 먼저 읽고 좋아서 찾게 된 책이다. 탈전력은 탈핵, 적정기술 등의 주제로 더 읽어 나가게 해준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이 책을 읽고 난 보람은 냉장고를 창문 가까이에 둬야 효율적이라는 상식을 알게 해 준 점. 바로 우리집 냉장고의 위치를 바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건 없이 기본소득
바티스트 밀롱도 지음, 권효정 옮김 / 바다출판사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남녀노소 구분하지 않고 일을 하든 일을 하지 않든 돈이 많든 적든 살아만 있으면 월 수십만원의 용돈을 국가가 준다고 상상하니 행복하다.
박근혜 정부는 노인에게 월 20만원을 준다.
다음은 누굴 찍어야 모두에게 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화의 힘
조셉 캠벨 & 빌 모이어스 지음, 이윤기 옮김 / 이끌리오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신화, 종교를 아우르는 저자의 깊이있는 생각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지는 책이다. 다만 대담 형식이기 때문에 다소 산만한 것은 감안하고 읽어야 한다. 보통 책을 읽고서 인상깊은 구절을 모두 타이핑하는 게 독서후 습관인데 이 책만큼은 다 쓰는 걸 포기해야 겠다. 왜냐면 그랬다가 이 책 전체를 다 필사해야 할 듯해서 그렇다. 다만 교육과 관련된 부분만 남겨둔다.

 

<인상 깊은 구절>

 

캠벨 : “나는 평생 하고 싶은 일은 하나도 해보지 못하고 살았다”, 이게 (싱클레어 루이스의 책 바비트’의) 마지막 구절입니다. 이런 사람은 자기의 천복을 좇아보지 못한 사람입니다. 사라 로렌스 대학에서 가르칠 때도 바로 이 말을 들은 적이 있어요. 어느날 밤, 나는 여느 때처럼 내가 좋아하는 음식점에 들어갔는데, 마침 내 옆자리에 한 가족이 앉아 있습디다. 아버지, 어머니, 열 두어 살 되는 아들, 이렇게 왔던 거지요. 가만히 듣자니까 아버지가 아들에게 이러더군요.

네 몫의 토마스 주스는 네가 마시거라

그러자 아들이 대답하는 거예요.

마시고 싶지 않은걸요.”

그러니까 아버지는 좀 전보다 조금 더 큰 소리를 내어 명령조로 네 몫의 토마토 주스는 마시라니까하고 말합니다. 가만히 듣고 있던 어머니가 이러더군요.

먹기 싫다는데 뭘 그래요? 싫다는 건 하게 하지 말아요.”

이 말을 들은 아이 아버지가 자기 아내를 물끄러미 바라보면서 이러는 겁니다.

저 좋은 것만 하고 인생을 살 수는 없는 법이야. 저 좋은 것만 하고 세상을 살려고 했다가는 굶어죽어. 나를 봐! 나는 하고 싶은 일은 평생 하나도 해보지 못하고 살았어.”

나는 그 친구 말을 듣고 있다가 나도 모르게, “세상에, 여기에 바비트의 화신이 있었군하고 중얼거렸지요.

그러니까 그 사람은 자기 천복을 한 번도 좇아보지 못하고 산 셈입니다. 천복 같은 것과는 상관없이 성공을 거두는 사람도 있겠지요. 하지만 그런 성공으로 사는 삶이 어떤 삶일까 한번 생각해 보세요. 평생 하고 싶은 일은 하나도 못해보고 사는 그 따분한 인생을 한번 생각해보세요. 나는 학생들에게 늘, 너희 육신과 영혼이 가자는 대로 가거라, 이런 소리를 합니다. 일단 이런 느낌이 생기면 이 느낌에 머무는 겁니다. 그러면 어느 누구도 우리 삶을 방해하지 못합니다.

 

모이어스 : 선생님께서는 언제 선생님의 천복을 만났습니까?

 

캠벨 : 어릴 때 일입니다. 나는 고집이 세서 누가 무슨 말을 하건 듣지 않고 하고 싶은 대로 했습니다. 우리 가족은 늘 나를 도와주었어요. 언제 어디에서든 내가 하고 싶어하는 일, 내가 몰두할 수 있는 일을 하게 해 주었으니까요.

 

모이어스 : 부모 되는 사람들은 어떻게 하면 자식들로 하여금 자기 천복을 찾게 해줄 수 있습니까?

 

캠벨 : 아이를 잘 알아야 하고, 아이에게 늘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그러면 아이를 도와줄 수 있지요. 사라 로렌스 대학에서 가르칠 때 나는 학생들과 적어도 2주일에 한번씩 정도는 약 반 시간씩 개인 면담을 하고는 했어요. 가령 학생들과 독서 과제에 대한 이야기를 하노라면 학생이 보이는 반응에서 뭔가를 느껴낼 수 있지요. 자기 천복과 관계가 있는 이야기가 나오면 눈빛이 달라지고 낯빛이 달라지든지 하지요. 삶의 가능성은 바로 여기에서 열립니다.

나는 이런 가능성을 붙잡고, “ 이 학생은 여기에 매달리게 해주어야겠구나”, 이런 결심을 합니다.

  

모이어스 : ‘자기에는 우리가 잘 아는 자기와 우리가 잘 모르는 또 하나의 자기즉 진짜 자기가 있을 수 있겠는데요. 신화는 어떻게 하면 이 진짜 자기를 만날 수 있다고 가르칩니까?

 

캠벨 : 신화가 암시하는 첫째 방법은 신화 자체, 또는 영적인 지도자나 스승을 따르라고 가르칩니다. 신화나 영적인 지도자나 스승은 알고 있을 테니까요. 이것은 운동선수가 코치를 찾아가는 것이나 마찬가집니다. 좋은 코치는 선수에게, 팔은 어떻게 움직여야 한다, 다리는 어떻게 움직여야 한다는 등의 구체적인 지시는 하지 않아요. 좋은 코치는 달리는 것을 가만히 보고 있다가 선수의 천성적인 동작 양식만 조금 수정해줍니다. 좋은 스승은 제자가 하는 양을 가만히 보고서 그 제자에게 무엇이 가능한가를 알아냅니다. 좋은 스승은 충고를 할 뿐 명령은 하지 않습니다. “나는 이렇게 했다, 그러니까 너도 이렇게 해야 한다는 식의 명령은 제자에게 도움이 안 됩니다. 예술가들도 제자를 이런 식으로 가르칩니다. 그렇다고 가만히 있는 게 좋은 스승이 되게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이따금씩 말을 해줌으로써 실마리가 될 만한 것을 던져 주어야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