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과 떨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과거 일본 황실의 의전에, 천황을 알현할 때는 <두려움과 떨림>의 심정을 느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나는 사무라이 영화의 인물들이 보여 주는 모습에, 사무라이들이 초인적인 숭배의 감정으로 목소리가 녹아들면서 자신의 두목을 배알하는 모습에 그렇게 딱 부합하는 이 표현을 늘 끔찍이도 좋아했다. -두려움과 떨림, 150p

자 그럼, 현대에 다다른 일본에서 그 <두려움과 떨림>은 어디에 적용되고 있는가? 품격 없게도, 직장 상사를 알현할 때에 쓰인다. 거 참.... <두려움과 떨림>은, 그 제목만으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본의 대기업 생리 안에 던져진 한 서양인의 분투(참으로 특이한, 분투)를 다룬 책이다. 아.... 이 문장을 써 놓고 한참을 고민했다. 상당히 재미없고 딱딱하고 호전적으로 비치는 저 문장은, 이 종잡을 수 없이 매력적인 책에 적합한 표현은 아니다. 허나 가동률 떨어지는 머리가 딱 들어맞는 문구를 골라내지 못하고 있으니, 그냥 넘어가자.

이국의 사람이 쓴 책을 읽으며, 내가 한국사람이기에 이 책을 200% 즐길 수 있다고 쾌재를 불러보긴 처음이다. 서양인의 경우엔 작중 화자인 아멜리에게 감정을 이입할 수는 있겠지만, 소설의 또다른 주인공인 유미모토사(그렇다. 모리도 아니고 사이토나 오모치도 아닌, 유미모토사가 주인공이다. 아멜리의 지적대로, '일본에서, 존재는 바로 회사'이므로)에 대해서는 이해하거나 공감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소설의 절반밖에는 즐길 수 없겠지? 그리고 만약 일본인이라면....자신이 몸 담고 있는 사회의 부조리가 이방인의 눈을 통해 낱낱히 풍자되는 것에 초연한채로 소설을 즐길 수 있을까? ㅎㅎ, 하지만 나는 모든것이 가능했다. 사실 책 속의 <일본>이란 단어를 모두 <한국>으로 바꾸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아멜리 노통이 이국의 언어로 공들여 표현하고자 했던 일본 대기업의 상황과 그 이면의 묘하게 비뚤어진 의식들을 나는 십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작중 화자의 (너무도 투명해서) 신랄한 풍자에 보조를 맞추며 큰 소리로 웃을 수도 있었다.  

자살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일본 여성에게 찬사를 보내야 한다는 대목에서는 가슴이 먹먹해졌다. 분명 과장되고 왜곡된 부분이 없지 않았지만, 그녀의 지적은 가슴이 서늘해지도록 예리하다. 일본에서(그리고 한국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는 것이 힘에 겨운 일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기묘한 카리스마를 가진 이국 여성의 입을 빌어 그 사실을 확인하는 것은, 고통스러우면서도 일면 후련한...그런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서재질(?)을 하면서 매번 통감하게 되는 두 가지 사실. 세상엔 책이 너무도 많으며, 그럼에도 그 중 상당수를 소화해 내는 존경할만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책 꽤나 읽는다고 목에 힘을 주고 다녔건만....아멜리 노통, 이 작가를 이제야 만나다니.... 나에게 찍혔다. 어설픈 전작주의 대상 명단 말미에, 이 이름도 올랐다. 다음 타깃은, 당연히 요즘 뜨고 있는 그녀의 처녀작 <살인자의 건강법>이 되겠지?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nda78 2004-06-10 2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앞으로 아멜리 책들 사시면 열린책들 판 양장본일 텐데, 이것만 페이퍼북이라 짝이 안맞겠네요... ㅡ..ㅡ;;;;

▶◀소굼 2004-06-10 2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의 화장법과 오후 네시도 읽어 보시와요![뭐 말안해도 다 읽으실테지만^^]

마냐 2004-06-10 2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저 지금 '살인자의 건강법' 읽고 있슴다. '두려움과 떨림'은 다음 타자로 대기시켜놓아야 겠군요.

sunnyside 2004-06-10 2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이(->아멜리 노통)이 맘에 들더라구요. 사랑의 파괴 밖에 안 읽어 봤지만. ^^; 곧 살인자의 건강법을 읽어볼 생각입니다. 이 책도 리스트에 업!

두심이 2004-06-11 0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별다르게 꼬지않고도 재미난 구성과 화술이 재밌었습니다. 이책은 제가 안읽어본 책이네요.
저도 함 읽어 봐야겠습니다. 진우맘님이 별을 다섯개 주셨네요.

마태우스 2004-06-11 1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이미 아멜리 노통 책을 다 읽었어요. 최근에 나온 것 빼구요. 그러니 진우맘님은 노통학에 있어선 제 후배!! 근데 리뷰 정말 잘쓰셨어요. 그래서 추천합니다.
-적이지만 인정할 건 인정하는 마태우스-

진/우맘 2004-06-11 15: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판다님> 그게 뭐 중요합니까! 판다님 아니었음 이 작가와의 만남이 더 늦어졌을텐데요. 고마워요~
소굼님, 마냐님, 서니님> 코멘트를 읽으니, 마음이 조급해 지네요. 헥헥.
두심이님> 사실, 제가 별점이 좀 후한 편이라..^^;;
마태우스님> 선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