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마라의 죽음' 을 연상시키는 표지 그림이 인상적이어서, 신간소개가 요란해서 골라들었다. 다 읽은 지금, 전체적인 느낌은 다빈치코드를 연상시킨다. 물론 다른점도 많지만 빠른 전개와 긴박감의 조성, 여러 각도에서 조명한 사건등은 아무래도 다빈치코드를 좋아하는 독자들이라면 이 책 역시 좋아할 것 같다는 느낌을 준다. -음모론이나 신화적인 그런 이야기들은 없지만-
책 소개에서는 프로이트와 융이 미국에 방문했을 때, 마침 일어난 살인사건의 해결에 연루된다고 나와있는데, 이 책의 주인공인 영거박사가 피해자의 정신분석을 맡고 프로이트가 조언을 해주고 있다. 그리고 나중에 프로이트와 결별하게 되는 융의 전조도 이 책에서 나타나고 있다.
새디즘과 미국 상류층의 이야기들은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오이디프스 컴플렉스를 자식이 아닌 부모가 느낀다는 해석은 새롭지만 지극히 주관적인 내 느낌은 이제 이런 소설들이 더 이상 재미있지도 흥미롭지도 않다.지난 20년간 너무 소설만 읽은 나의 편향적인 독서습관에 기인한 것일까? -이젠 소설이 좀 지겨워진다. 특히나 가벼운 내용들은. 반전이 없어도 밋밋하지만 매번 반전을 보여주는 소설과 영화탓에 이젠 왠만한 반전으론 반전의 묘미도 느낄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은 나의 개인적인 느낌일 뿐, 전체적으로 보면 괜찮은 소설이다. 영화평론가 심영섭씨도 뒤에 장문의 글을 붙이고 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