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 세월호 추모시집
고은 외 지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7월
평점 :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 고은 외, 실천문학사(2014)
세월호 추모시집
세월호 참사 1주기. 아이들의 1주기로 광화문에 모인 사람들 위로 캡사이신 비가 내렸다. 갈 수 없어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 있자니 추모의 자리는 또다시 아비규환을 떠올리게 했다. 유족은 분노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 나라에서 아이를 키우고 사는 모든 부모들은 이때 무슨 생각을 했을까. 이들의 현재진행형인 끝나지 않는 싸움 앞에서 함께 울고 절망했을 것이다. 그리고 분노한다. 2014년과 2015년 분명히 해는 다르건만 나아진 게 없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이런 역적 같은
이런 강도 같은 참변 앞에서
과연 이 나라가 나라 꼬라지인가 물었습니다
이런 무자비한 야만이 저지른 희생 앞에서
이 사회가
언제나 청정한 하루하루일 것인가를 따졌습니다
인간이 인간에 대하여
얼마나 인간이었던가를 뉘우쳤습니다
영혼이라는 말
양심이라는 말이
왜 있는지 몰라야 했습니다 알아야 했습니다
(24쪽, 고은 시인의 '이름 짓지 못한 시' 일부 발췌)
각자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세월호 참사를 추모한다. 그러나 국민을 책임질 이 나라는 일련의 여러 사건 때처럼 잊히기를 기다린다. 보통의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무엇인지 자문하게 된다. 국민의식은 높아져가지만 정치의식은 제자리걸음인지 오래이다. 진정한 진보란 무엇일까. 비단 세월호 참사뿐 아니라 전체적인 상황을 유추해보며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용감한 이들이 있다. 다시 말하지만 나는 보통의 사람. 추모만이 길이 아닌 분노와 관심이야말로 보통의 우리에게 필요한 게 아닐까 싶다. 나와는 무관한 삶이 아니라 그들은 모두 우리네 아이였고 우리였다. 추모시집의 제목처럼 그렇게.
뒤집어라, 뒤집힌 저 배를 뒤집어라
뒤집어라, 뒤집힌 세상을 뒤집어야 살린다
탐욕으로 뒤집힌 세상, 부패와 음모와 기만으로 뒤집힌 세상
이게 아닌데, 이럴 순 없어, 뒤집지 못한 우리들
가슴을 치며 지켜만 봐야 하다니, 회한의 눈물을 삼키며
우리가 너희들을 다 죽이는구나, 뒤집어라,
폭력과 약탈로 뒤집힌 세상을 뒤집어야 살린다
이렇게 내버려둘 순 없어 저 죽음을 뒤집어라
뒤집지 않고서는 살리지 못해 저 죽음의 세력을 뒤집어라
(85쪽, 백무산 시인의 '세월호 최후의 선장 박지영' 일부 발췌)
이 책은 세월호 참사 100일을 앞두고 나온 추모시집이다. 그러니 작년 7월에 출판되었는데 지금 읽어도 가슴 먹먹하기는 여전하며 뭐하나 시원하게 해결된 것도 없어서 절망적이기까지 하다. 세월호 관련 책으로 아마도 가장 많이 읽은 책은 「금요일엔 돌아오렴」이겠지만 나는 시인들의 추모시를 먼저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아마도 다음 주에는 「금요일엔 돌아오렴」을 읽고 있을 것이다. 차마 못 읽어나갈 거 같아서 마주하지 않았던 책. 이제 얼굴을 맞대고 바로 읽어야만 하겠다.
돌려 말하지 마라
온 사회가 세월호였다
오늘 우리 모두의 삶이 세월호였다
자본과 권력은 이미 우리들의 모든 삶에서
평형수를 덜어냈다
(89쪽, 송경동 시인의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일부 발췌)
시인들은 저마다의 목소리로 투명하지만 힘센 시를 지어올렸다. 누군가는 슬퍼하고, 분노하고, 미안해하고, 넋을 위로하고, 썩어빠진 권력 등을 비판했다. 그들의 자괴감이야말로 우리의 자괴감이었다. 그러나 정작 부끄러워해야 할 이들은 여전히 그렇지 아니하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 이제는 잊지 못할 것이다. 아이들뿐 아니라 화물차 기사들, 20대 청년들 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은 이들까지. 또한 간접적인 영향으로 타격을 입은 진도 시민들의 정신적 타격, 살아남은 이들의 정신적 충격 등 우리는 그 모든 아픔을 잘 모른다.
엄마 아빠
부탁이 있어요
우리 없다고 이 나라를 떠나지는 마세요
우린느 죽지 않았어요
검은 리본은 싫어요
노란 리본을 달고 계세요
우리는 지금
천년의 장미를 찾아 수학여행을 떠나는 길이에요
엄마 아빠도 아시잖아요
천녀의 장미를 찾아 돌아오는 날까지
노란 리본을 달고 계세요
몸은 여기 두고 250개의 물방울이 되어
홀가분하게 더나요
무사히 돌아오는 그날
엄마 아빠 안 계시면 우린 무척 슬플 거예요
(101쪽, 안상학 시인의 '엄마 아빠 노란 리본을 달고 계세요' 일부 발췌)
그들이 물방울 되어 홀가분하게 날아오르는 날은 과연 언제란 말인가. 살다 보면 누구나 억울한 날 있다지만 이건 그런 차원을 넘은 비교할 수 없는 인재, 수장이 아니던가. 전 국가적인 충격 앞에서 어찌 보면 국민 모두가 마음 어딘가에 구멍이 뚫렸을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우린 살아있지 않은가. 그러니 지나친 우울증에 빠지라는 게 아니다. 그렇다면 잘못 생각한 것이다. 우린 깨어나야 하고 이들을 지켜보고 응원해야 한다.
교육부가 추모관 건립을 추진하는데 단원고 학생과 교사만 해당된다고 한다. 교육부가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진행했다면 학생과 교사가 아닌 다른 이들까지 평등하게 추모할 수 있었겠지. 게다가 우리도 안 하는 일을 외국인이 한단다. 배우 오드리 헵번의 아들 션 헵번 페리가 비정치성, 비이념성으로 세월호 기억의 숲(9일 착공식이 있었다)을 조성한다. 그가 나선 이유는 간단했다. 한국에서 첫 영화 일을 시작한 인연 때문이라고 했다. 그게 30여 년 전 일이라는데 이 외국인은 나라와 민족을 떠나 세월호 유족을 위해 이 일을 추진한 것이다.
고맙고 동시에 얼굴이 벌겋게 달아오른다. 유대인들은 학살 당시의 역사적 이야기와 상황을 철저하게 되새겨 배운다고 한다.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될 일이라 꼭 되짚고 넘어가는 것이다. 그렇게 가슴에, 뼈에 넣어두는 거란다. 일련의 참사들 앞에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숙고해볼 일이다.
■간단 서평: 세월호 관련 책 중 이 책은 시인들이 모여 쓴 추모시집.
유가족의 목소리 대신 시인들에게서 터져 나오는 우리네 마음이 시집에 들어있다.
엄마 아빠
부탁이 있어요
우리 없다고 이 나라를 떠나지는 마세요
우린느 죽지 않았어요
검은 리본은 싫어요
노란 리본을 달고 계세요
우리는 지금
천년의 장미를 찾아 수학여행을 떠나는 길이에요
엄마 아빠도 아시잖아요
천녀의 장미를 찾아 돌아오는 날까지
노란 리본을 달고 계세요
몸은 여기 두고 250개의 물방울이 되어
홀가분하게 더나요
무사히 돌아오는 그날
엄마 아빠 안 계시면 우린 무척 슬플 거예요
(101쪽, 안상학 시인의 `엄마 아빠 노란 리본을 달고 계세요` 일부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