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도를 기다리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문학의 역량은 어디까지일까. 단순한 이야기를 넘어서 독자에게 전달하는 작가의 메시지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으랴마는. 개인적으로 그보다 더 중요한 건 자신만의 철학을 세우거나 삶에 적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려고 고민한다는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이것뿐이다. 적어도 나에게 있어서는! 책장을 덮고 파묻히는 책보다 자꾸만 돌아보게 하는 답 없는 책이 좋다. 그런 면에서 사뮈엘(사무엘) 베케트의「고도를 기다리며」는 최고다. 읽을 때마다 여운이 강렬하기 때문이다. 단순한 줄거리 그러나 그들 속에 담긴 나를 발견하는 순간, 희극은 비극이 된다.
다시 말하지만 이 책의 줄거리는 간단하다. 5명의 등장인물이 있고 그중 2명의 시답지않은 대화가 중심으로 이들은 고도를 기다린다. 끝끝내 나타나지 않고 명료하게 정의조차 되지 않는 고도를 향한 집념만이 이들의 공통사이다. 그리고 나머지 말은 한마디로 머저리들의 대화 혹은 어릿광대 놀음이나 그마저도 소통이 되지 않은 불협화음이다. 마주 보되 마주치지 못하는 형국이랄까.
가까운 예로 나도 그러고 산다. 동문서답을 하고 의미 없는 말이 오가거나 침묵하거나 대화로 풀자면서 이성에 지배를 받아 감정에 치우친 상대의 말을 간단하게 넘겨버린다. 물론 그리고는 후회한다. 차라리 모르면 고민이나 안 할 텐데 뻔히 보여서 말이다. 인지한다는 것은 때로 고문이다.
다시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의 대화로 돌아가자면 그들의 이야기나 행동을 그저 웃고 지나칠 수 없다. 사람은 감정이입을 하기에 단 한마디의 단어나 문장만으로도 충분하다. 자신만의 세계를 꺼내기에 말이다.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은 사람의 장점이니까. 작가는 정답을 제시하지 않은 채 독자를 끌고가며 독자는 과연 고도가 누구인지 혹은 무엇인지 생각하며 반복되는 문장을 좇는다.
에스트라공 그자 이름이 고도라고?
블라디미르 그럴걸.
에스트라공 이런! (먹다 남은 당근 청의 한 끝을 손에 들고 눈앞에서 돌려본다) 이상한데, 먹을수록 맛이 없어진단 말야.
블라디미르 나는 정반대다.
에스트라공 정반대라니?
블라디미르 난 먹을수록 맛이 난단 말이다.
에스트라공 (한참 생각하더니) 그게 바로 정반대라는 거냐?
블라디미르 기분 문제지.
에스트라공 성격 문제다.
블라디미르 그렇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지.
에스트라공 날뛰어봤자 소용없은 일이지.
블라디미르 타고난 대로니까.
에스트라공 꿈틀거린다고 별수 있니?
블라디미르 근본이야 달라지지 않는 거지.
에스트라공 별수없는 거야. (먹다 남은 당근을 블라디미르에게 내민다) 마저 먹을래?
(31쪽. 대화 부분 발췌.)
포조 이 세상의 눈물의 양엔 변함이 없지. 어디선가 누가 눈물을 흘리기 시작하면 한쪽에선 눈물을 거두는 사람이 있으니 말이오. 웃음도 마찬가지요. (웃는다) 그러니 우리 시대가 나쁘다고는 말하지 맙시다. 우리 시대라고 해서 옛날보다 더 불행할 것도 없으니까 말이오. (침묵) 그렇다고 좋다고 말할 것도 없지. (침묵) 그런 얘긴 아예 할것도 없어요. (침묵) 인구가 는 건 사실이지만.
(51쪽, 포조의 말 부분 발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