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영화포스터 커버 특별판)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2년 3월
평점 :
품절


기억과 시간에 대한 확신이 우리에게 가능할까?

기억의 불완전함은 결국 자신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저장되어 나를 보호하며 그것이 사실이라고 믿게까지 된다.

하나의 상황이나 사건을 두고 각자가 기억하는 것이 다른 이유일 것이다.

이 소설은 반전 그리고 책장을 덮자마자 다시 읽게 된다고 유명하다.

소설의 내용만을 보자면 흔할 수 있지만 작가가 이야기하려는 목적의식이 뚜렷하게 보여서 독특하게 기억된다.

줄거리 자체보다 각자의 기억을 돌아보게 하는 힘에 강한 무게가 실렸다.

결국 기억하게 되는 것은, 실제로 본 것과 언제나 똑같지는 않은 법이다.



- 11쪽.

`역사는 부정확한 기억이 불충분한 문서와 만나는 지점에서 빚어지는 확신이다.`



- 106쪽. 에이드리언의 말.

어쩌면 나는 대략 합의하에 결정된 역사가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아니면 전과 똑같은 역설이거나, 즉, 바로 우리 코 앞에서 벌어지는 역사가 가장 분명해야 함에도 그와 동시에 가장 가변적이라는 것. 우리는 시간 속에 살고, 그것은 우리를 제한하고 규정하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역사를 측량하게 돼 있다. 안 그런가? 그러나 시간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 속도와 진전에 깃든 수수께끼를 파악하지 못한다면, 우리가 역사를 어찌 파악한단 말인가. 심지어 우리 자신의 소소하고 사적이고 기록되지 않은 것이 태반인 그 단편들을.



- 106쪽~107쪽.

어쩌면 이것이 젊은 사람과 나이 든 사람의 차이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젊은 시절에는 자신의 미래를 꾸며내고, 나이가 들면 다른 사람들의 과거를 꾸며내는 것.



- 141쪽.

우리는 살면서 우리 자신의 인생 이야기를 얼마나 자주 할까. 그러면서 얼마나 가감하고, 윤색하고, 교묘히 가지를 쳐내는 걸까. 그러나 살아온 날이 길어질수록, 우리의 이야기에 제동을 걸고, 우리의 삶이 실제 우리가 산 삶과는 다르며, 다만 이제까지 우리 스스로에게 들려준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도록 우리에게 반기를 드는 사람도 적어진다. 타인에게 얘기했다 해도, 결국은 주로 우리 자신에게 얘기한 것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 16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