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를 금하노라 - 자유로운 가족을 꿈꾸는 이들에게 외치다
임혜지 지음 / 푸른숲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략 300권을 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빈곤한 내 책장. 성격상 쌓아두고는 못살아서 바로바로 정리하던 습관은 어느새 사라지고 그나마 임시방편으로 상자에 넣어두다 보니 책장이 많이 비었다. 그럼에도 아직 읽지 않은 책이 남았다는 사실은 행복인지도. 그러나 가끔은 읽었는지 가물가물하거나 내게 이런 책도 있었나 싶은 책도 심심찮게 만난다. 오늘의 책 「고등어를 금하노라」를 손에 들고는 어떤 경로로 내게 왔었나 잠시 고민해본 책이다. 아무런 정보도 생각나지 않는 걸 보니 내가 산 책이 아니라는 것만 확실했다. 제목은 별로인데 저자와 가족의 이력을 보니 흥미가 바로 생겼다.

 
 아, 이 책을 왜 이제야 보았을까! 아주 재미있잖아! 저자 임혜지는 독일인 남편과 아들, 딸과 독일에서 산다.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공학박사 학위도 받았으며 글도 쓰고 주부로 사는 자유영혼이었다. 개인적으로 건축학에 관심이 많은데 보통 사람과 다른 환경까지 속한 저자에게 호감이 갔다. 이 책은 한마디로 저자와 가족의 삶의 방식에 관한 이야기이다. 누군가의 인생관, 철학 이야기를 듣는 순간 상대의 반짝이는 눈빛이란. 비록 책을 통해서지만 그 자유로움과 확고함에 상쾌함마저 느껴진다. 
 
 물리학 박사로 고학력이지만 돈보다 아이들과의 시간을 소중하게 생각해서 적정량의 돈만 벌고 사는 남편. 환경에 남다른 관심이 있어서 계산기를 두드리며 효율을 따지는 사람이 저자의 남편이다. 또한, 아들은 아빠처럼 물리학을 공부하고 학교생활을 아주 두루 즐겨서 바쁜데도 대학시험을 앞두고 취직까지 한다. 이 가족의 막내인 딸은 식구 중 자기만 정상이라고 생각하며 술도 마시고 춤도 추러 다니고 멋쟁이라 옷을 사고자 빚까지 낸단다. 책 출간이 2009년이니 지금 조금씩 변화가 있으리라 추정한다 해도 근본적으로 이 가족의 유대감과 철학은 크게 달라졌을 거 같지 않다.
 
 지금은 둘 다 예전의 꿈과 거리가 먼 일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돈은 소중하게 여기며 열심히 하고 있다.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부모의 돈이 아니라 부모의 시간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평생에 걸쳐 철저하게 실천할 수 있었던 걸 우리는 자랑스럽게 여긴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감사한다. 아이들이 없었다면 이렇게 풍요로운 인생을 맛볼 생각도 못 했을 것 아닌가?
 
- 85쪽, 아이들이 선물한 풍요로운 인생중에서.

 돈을 많이 벌지 않지만, 절약을 하기에 돈이 더 필요하지 않은 소박한 가족. 환경을 생각해서 에너지를 아끼며 추운 겨울에는 보온 물주머니와 사랑에 빠지는 행복감에 빠질 줄 아는 사람. 아이를 위해 기꺼이 시간을 내주는 부모. 의견을 나누고 충돌과 화해를 반복하는 부부. 서로의 의견을 나눌 줄 아는 대화하는 부모와 아이들. 이것이 이 책의 내용이다. 공감하는 바도 있었고 정말이지 심심하지 않은 가족이다 싶었다. 딸 성교육 이야기는 생각해본 적 없는 거였는데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왜 지금까지 난 아들 성교육만 생각했었는지 모르겠다. 첫째가 아들이라 그런가. 아직 어린 유아기 아이들을 생각하며 부모의 인생관이 얼마나 그 집안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돌아보았다.

 

 책 후반기로 가면 독일 이야기로 그중에서 특히 대재앙이었던 나치 이야기와 역사청산 부분이 기억에 남는다. 일본과 비교되는 독일의 반성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 책 전반을 차지하는 가족 이야기에서 유모와 사랑이 가득하다면 후반은 역사에 대한 진지함과 성찰이 담겼다. 물론 저자의 자유로움과 거침없음이 시원시원하다. 저자처럼 우리는 무지개색이란 빨주노초파남보라 배우는데 독일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 내게 또 다른 화두를 주었다. 당연한 사실이란 무엇인가. 이 책이 더 많이 알려져서 많은 독자와 만났으면 좋겠다.

 

 

 

■간단 서평: 가족에 대해 돌아보게 되는 책. 독일에 사는 한국인 주부와 독일인 남편과 아들, 딸. 이들이 펼치는 유쾌한 하모니. 자유영혼. 교육관. 역사관. 우리가 언제 가장 행복하지?

 

□저자의 웹사이트: http://www.hanamana.de/hana/ (빨간치마네 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